사적순례 史跡 巡禮 ;; (1) 史跡 1호 경주 포석정지 경주 남산 서쪽 계곡에 있는 신라시대 연회장소로, 젊은 화랑들이 풍류를 즐기며 기상을 배우던 곳이다. 중국의 명필 왕희지는 친구들과 함께 물 위에 술잔을 띄워 술잔이 자기 앞에 오는 동안 시를 읊어야 하며 시를 짓지 못하면 벌로 술 3잔을 마시는 잔치인 .. 민속 ,역사 .인물,방 2008.06.23
북한산성과 남한산성 북한산성과 남한산성 北漢山城 (사적 제162호) 백제가 하남위례성(河南慰禮城)에 도읍을 정하였을 때 한성을 지키는 북방의 성으로 132년 (개루왕 5)에 축성(築城)되었다. 1232년 고려 고종 때는 이곳에서 몽골군과의 격전이 있었고, 현종은 거란의 침입을 피하여 이 성에 태조의 재궁(梓宮)을 옮긴 일도 .. 민속 ,역사 .인물,방 2008.06.23
한국의 城 한 국 의 성 화 성 정조 18년(1794년) 건축되었으며 중국의 역사에서 장안은 국가의 안녕을 상징하는 문자로 이를 정조가 북문의 이름으로 정해 태평성대를 구가한 중국 漢,唐의 서울이었던 장안의 영화를 화성에서 재현하려 이름을 장안문이라 하였다. 長安門 華西門 (보물 제 403호) 華西門 蒼龍門 西將.. 민속 ,역사 .인물,방 2008.06.23
민속 자료 고택 민속 자료 고택 종 목 중요민속자료 177호 명 칭 하회동하동고택(河回洞河東古宅) 분 류 가옥 수 량 일곽 지정일 1984.01.10 소재지 경북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 739-2 시 대 조선 헌종 소유자 유단하 부속문화재 안채 (중요민속자료 177-1) 사랑채 (중요민속자료 177-2) 대문채 (중요민속자료 177-3) 방아간 (중요.. 민속 ,역사 .인물,방 2008.06.23
강릉에 있는 99칸집 강릉서 제일 큰 99칸 집 김영택의 펜화로 본 한국(18) / 강릉 선교장 안채 사랑채 외에도 별당이 세 채, 그리고 정자 사당에 행랑 곳간 등이 즐비하여 대저택의 면모가 그대로 보존된 귀중한 건물입니다. 경포대 주변 저동에 살던 효령대군의 11대손인 이내번이 족제비 떼를 쫓다가 명당터를 발견하고 집.. 민속 ,역사 .인물,방 2008.06.23
척사 사인검 원래 사인검이란 인년, 인월, 인일, 인시 즉 12지의 인寅이 네 번 겹치는 해, 달, 날, 시에 삿된 귀신邪鬼를 물리칠 수 있도록 인寅이 뜻하는 호랑이의 기운을 불어넣어 만든 검이다. 사실 상商대까지만 하더라도 십이지란 씨앗이 싹이 터 자라고 수확하는 모습을 상형한 것이었으니 인寅이라 해서 호랑.. 민속 ,역사 .인물,방 2008.06.22
] 사적순례 종묘와 함께 토지의 신과 곡식의 신에게 제사를 지내던 곳이다. 조선을 세운 태조가 한양에 수도을 정하고, 궁궐과 종묘를 지을 때 함께 만들었다.토지의 신에게 제사 지내는 국사단은 동쪽에, 곡식의 신에게 제사 지내는 국직단은 서쪽에 배치하였으며, 신좌는 각각 북쪽에 모셨다. 제사는 2월과 8월 .. 민속 ,역사 .인물,방 2008.06.22
명 분 image-y031.jpg (41kb) 다운로드 image-y005.jpg (35kb) 다운로드 image-y003.jpg (53kb) 다운로드 image-y002.jpg (30kb) 다운로드 image-y004.jpg (37kb) 다운로드 image-y041.jpg (45kb) 다운로드 민속 ,역사 .인물,방 2008.06.22
평창무이예술관 강원도 평창 어느 조그만 마을에는 Artist들이 뜻을 모아 폐교를 이용하여 그들의 작품들을 전시하고 있었습니다. 그렇게 작지도 않은 초등학교 운동장과 교실 심지어 복도에까지 그들의 작품들이 넘쳐 나도록 전시되고 있었는데 그들의 예술열기가 나같은 문외한에게도 뜨겁게 느껴지기도 했습니다. .. 민속 ,역사 .인물,방 2008.06.22
안압지 츨두 유물 철제류 납가위, 칼 발(문에 치던 발)걸이 쇠칼 자물쇠 철제말재갈 투구 토기 글씨와 무늬있는 토기 단청용그릇 건물을 단청할 때 물감을 담아쓰던 토기들이다. 특히 주황색을 내는데 쓰였던 것으로 보이는 물감은 지금도 그 색이 고스란히 간직돼 있다. 그 당시에는 당채라 해서 중국에서 수입하는 순.. 민속 ,역사 .인물,방 2008.0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