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 모음방

그대 향한 날개짓이 아파도...

모링가연구가 2009. 1. 24. 02:02

 그대 향한 날개짓이 아파도...
Psyche 



Seignac, Guillaume
Psyche




그대 향한 날갯짓이 아파도...


조용순




오랜 세월 그대 찾아 걸으며 발이 부르트고

입술이 터지는 어려움으로 목이 타는데

그대 찾아가는 길은 아직도 멀기만 해서

길가에 주저앉아 오늘은 망연히 하늘을 바라본다



내 안에 그림자로 드리워

영영 떠나지 않는 그대를 이젠 잊고 싶어

애처롭게 밀어내고 소리 나게 문을 닫아걸어도

아, 아, 끊임없이 눈물 속에 차오르는 그리움



멍에의 껍질이 벗겨지기까지

고독의 성에 갇혀 몸부림으로 아픔을 지나며

그대 향한 길목에 엉겅퀴를 걷어내고 헤쳐나가야 하는지...





-그대 향한 날갯짓이 아파도 중에서-







Seignac, Guillaume
Psyche






William Bouguereau
Le Ravissement de Psyche, 1895







Pierre-Paul Prud'hon
Psyche Carried Off by the Zephyrs, 1808







Lord Frederic Leighton
The Bath of Psyche








François-Pascal-Simon Gérard.
Amor and Psyche, also known as Psyche Receiveing Her First Kiss of Love









Andrea Schiavone (Italian, Venetian, 1522?–1563)
The Marriage of Cupid and Psyche








Burne Jones,
The Wedding of Psyche, 1895








Jacques-Louis David
Cupid and Psyche, 1817








Jean-Honoré FRAGONARD
Psyche showing her Sisters her Gifts from Cupid








John william Waterhouse
Psyche Entering Cupid's Garden, 1904








Sir Edward Burne-Jones.
Pan and Psyche








Spencer Stanhope
Psyche & Charon, detail








John william Waterhouse
Psyche Opening the Golden Box, 1903








Burne-Jones
Sir Edward Coley








Bouguereau
Cupid with a Butterfly,1888,


프시케 (그리스 신화)  [Psyche, 사이키]
이 이야기의 가장 완전한 형태는 라틴 작가 아풀레이우스의 변형담 〈황금나귀 Metamorphoses〉에 들어 있다.
아풀레이우스에 따르면, 질투심 많은 베누스는 자기 아들 큐피드에게 프시케로 하여금 가장 비열한
사람을 사랑하게 하라고 시켰다. 큐피드는 그렇게 하는 대신 자신만이 찾아갈 수 있는 외딴 곳으로
그녀를 데려갔다. 큐피드는 그녀에게 경고하기를 완전한 어둠 속이어야만 그녀를 찾아올 수 있다고 했다.
어느날 밤 프시케는 램프를 켜고 자기 옆에서 자는 사랑의 신을 보았다.
큐피드는 램프에서 떨어지는 뜨거운 기름방울에 잠이 깨어 프시케를 꾸짖고 사라졌다.
프시케는 큐피드를 찾아온 땅을 헤매다가 베누스에게 잡혀, 힘든 일을 해야만 했다.
마침내 프시케의 뉘우침에 마음이 움직인 큐피드는 그녀를 구출해냈다.
큐피드의 호소로 주피터는 프시케에게 영생을 주었고 큐피드와 결혼하도록 해주었다.
많은 민담에서 이 이야기를 주제로 다루었다.
아풀레이우스가 의도한 것은 '영혼'이 '사랑'에 인도되는 과정을 그린 알레고리였고,
르네상스 문학과 예술에서도 프시케 이야기는 그런 식으로 다루어졌다.
그리스 전승에서 영혼은 나비로 그려지고 있는데, 나비는 프시케라는 단어의 또다른 뜻이다.

-다음 백과사전에서-



Maria Callas, soprano
French National Radio Orchestra
Georges Prêtre, cond

 

 

 

 

 

<출처;eroom.korea.com/bssk>

 

 

'그림 모음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징주의 화가 르동의 작품 세계 -10-  (0) 2009.01.29
티치아노 베첼리오 Titian Vecellio  (0) 2009.01.24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그림   (0) 2009.01.22
도둑맞은키스  (0) 2009.01.22
요정 (妖精 Nymphs  (0) 2009.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