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보 188호 천마총 금관 249 천마총금관 국보 188호 경북 경주시 신라시대 천마총에서 발견된 신라 때 금관이다. 천마총은 경주 고분 제155호 무덤으로 불리던 것을 1973년 발굴을 통해 금관, 팔찌 등 많은 유물과 함께 천마도가 발견되어 천마총이라 부르게 되었다. 이 금관은 천마총에서 출토된 높이 32.5㎝의 전형적인 신라 금관.. 국보, 유물방 2009.01.19
일본인들의 보물인 조선의 그릇 일본인들의 보물인 조선의 그릇 아래 그릇 들은 조선의 작품인데 일본인들이 일본에 가져가서 소중히 모시고 있는 것들입니다. (이름은 일본인들이 붙인 이름.) 이도 / 조선시대 16세기 / 높이 9.1cm 굽 부분 이도 / 조선시대 16세기 / 높이9.4cm 굽 부분 소바 / 조선시대 16세기 / 높이 7.0cm 굽 부분 미시마 / 조.. 국보, 유물방 2009.01.19
분청사기 23 점 보낸이 ' onclick="displayRelativeMail(this, event);" onmouseout=hideRelativeMail(this); href="javascript:;">연구가 (sg4811@hanmail.net) ' onclick=addAddrFromRelativeMail(this); href="javascript:;">주소록 추가 수신거부에 추가 09-01-10 14:02 헤더 보기 숨기기 받는이 <sg4811@hanmail.net> " onclick=addAddrFromRelativeMail(this); href="javascript:;">주소록 추가 .. 국보, 유물방 2009.01.16
한국 전통 도자기 보낸이 ' onclick="displayRelativeMail(this, event);" onmouseout=hideRelativeMail(this); href="javascript:;">연구가 (sg4811@hanmail.net) ' onclick=addAddrFromRelativeMail(this); href="javascript:;">주소록 추가 수신거부에 추가 09-01-10 14:03 헤더 보기 숨기기 받는이 <sg4811@hanmail.net> " onclick=addAddrFromRelativeMail(this); href="javascript:;">주소록 추가 .. 국보, 유물방 2009.01.14
보물 1440호 백자대호4 1837 백자대호4 보물 1440호 부산 남구 조선시대 높이에 비하여 몸통이 둥글고 다소 커 보이지만 입 지름과 굽 지름의 비는 대체로 이상적이어서 전체적으로 안정감이 있다. 굽과 입의 높이도 적당하여 몸통이 둔하거나 무거워 쳐져 보이지 않는다. 완전한 좌우대칭은 아니지만 약간 비틀어지고 변형된 .. 국보, 유물방 2009.01.13
고려시대 도자 예술 (순청자병/12세기 전반) (순청자주병/ 12세기전반) (순청자주전자/12세기전반) (순청자칠보투각향로/12세기 전반) (청자상감운학문매병/12세기중엽) (청자상감목단당초문주전자/12세기 중엽) (청자상감운황당초문화변형대접/12세기 후반) (청자진사채연화문주전자/13세기 전반) (청자추화연당초문주전자/12.. 국보, 유물방 2009.01.11
국보 293호 금동관세음보살입상 389 금동관세음보살입상 국보 293호 서울 종로구 삼국시대 1970년에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의 절터에 묻혀 있던 무쇠솥에서 다른 하나의 관음보살입상과 함께 발견된 보살상으로 높이는 21.1㎝이다. 머리에는 작은 부처가 새겨진 관(冠)을 쓰고 있으며, 크고 둥근 얼굴에는 부드러운 미소를 띠고 있다. .. 국보, 유물방 2009.01.10
국보로 지정된 조선백자 국보 93호,백자 철화 포도문호 ↑ 국보 107호, 백자 철사 포도문호 ↑ 국보 166호, 백자 철화 매죽 문대호 ↑ 국보 168호, 백자 진사 매국 문병 ↑ 국보 170호, 청화백자 매조죽 문호 ↑ 172-1호, 백자상감 초화 문편병 ↑ 국보 175호, 백자상감 연당초문 대접 ↑ 국보 176호, 청화백자 (홍치명) 송죽문호 ↑ 국보 2.. 국보, 유물방 2009.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