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보 191호 금관 및 수하식<98호북분> 252 금관및수하식<98호북분> 국보 191호 경북 경주시 신라시대 경주시 황남동 미추왕릉 지구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 무덤인 황남대총에서 발견된 금관이다. 신라 금관을 대표하는 것으로 높이 27.5㎝, 아래로 늘어뜨린 드리개(수식) 길이는 13∼30.3㎝이다. 이마에 닿는 머리띠 앞쪽에는 山자형을 연속.. 국보, 유물방 2009.02.08
안동 임청각 정침 군자정 안동 임청각 정침 군자정 이 름 : 안동 임청각 정침 군자정[安東臨淸閣正枕君子亭] 지정번호 : 보물 제182호 지정연도 : 1963년 1월21일 설립연도 : 1519년 기묘년 (조선 중기) 소 재 지 : 경북 안동시 법흥동 20번지 분 류 : 누정[樓亭] 홈페이지 : www.imcheonggak.com 관리자 E-Mail : hj1225@hitel.net" target=_blank>hj1225@hit.. 국보, 유물방 2009.02.06
허리띠 251 금제과대및요패<천마총> 국보 190호 경북 경주시 신라시대 천마총에서 발견된 신라 때 허리띠(과대)이다. 천마총은 경주 고분 제155호 무덤으로 불리던 것을 1973년 발굴을 통해 금관, 팔찌 등 많은 유물과 함께 천마도가 발견되어 천마총이라 부르게 되었다. 과대란 직물로 된 띠의 표면에 사각형.. 국보, 유물방 2009.02.01
경주박물관 ↓ 경주박물관 입구 동산 ↓ 숭복사 쌍거북비석받침 ↓ 聖德大王神鍾을 보러온 유치원생과 외국인 ↓ 성덕대왕신종 (국보 제29호) 일명 "에밀레종"이라고도 하며 높이 3.75m, 입지름 2.27m, 두께 25∼11cm, 무게는 18.9톤 ↓ 성덕대왕신종의 상반신 종을 매다는 고리 역할을 하는 용뉴는 용머리 모양으로 조각.. 국보, 유물방 2009.02.01
국보 295호 나주 신촌리고분 출토 금동관-1 391 나주신촌리고분출토금동관 국보 295호 서울 종로구 백제시대 나주 반남면 신촌리 9호 무덤에서 발견된 높이 25.5㎝의 금동관이다. 나주 신촌리 9호 무덤은 1917∼1918년에 일본에 의해 발굴 조사되었다. 이 금동관은 삼국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외관과 내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외관은 나뭇가지 모양의 .. 국보, 유물방 2009.01.30
① 낙랑토기 ① 낙랑토기 낙랑토기는 낙랑군(樂浪郡)이 설치되었던 시기에 그 지역에서 출토된 모든 토기를 일컫는 말이다. 낙랑토기는 크게 화분형토기(花盆形土器)와 목항아리[壺]로 나눌 수 있다. 화분형토기는 곱돌[滑石]가루가 많이 섞여있는 점토를 빚어 틀에 포(布)를 대고 찍어낸 깊은바리모양토기[深鉢形.. 국보, 유물방 2009.01.29
1600년만에 깨어난 백제 금동관 1600년만에 깨어난 백제 금동관 충남역사문화원 문화재센터(센터장 이훈)는 20일 공주 수촌리 1호 고분에서 2003년 발굴한 백제 최고(最古) 금동관을 보존 처리한 뒤 공개했다. 서기 4세기 후반~5세기 초 것으로 한국·일본에서 발굴된 백제 금동관 10점 중 가장 오래됐다. 밑지름 14.7㎝, 높이 15㎝. 최고 권.. 국보, 유물방 2009.01.27
孤山 윤선도의 山中新曲 보낸이 ' onclick="displayRelativeMail(this, event);" onmouseout=hideRelativeMail(this); href="javascript:;">연구가 (sg4811@hanmail.net) ' onclick=addAddrFromRelativeMail(this); href="javascript:;">주소록 추가 수신거부에 추가 09-01-20 12:19 헤더 보기 숨기기 받는이 <sg4811@hanmail.net> " onclick=addAddrFromRelativeMail(this); href="javascript:;">주소록 추가 .. 국보, 유물방 2009.01.25
국보 189호 금모<천마총> 250 금모<천마총> 국보 189호 경북 경주시 신라시대 천마총에서 발견된 신라 때 모자이다. 천마총은 경주 고분 제155호 무덤으로 불리던 것을 1973년 발굴을 통해 금관, 팔찌 등 많은 유물과 함께 천마도가 발견되어 천마총이라 부르게 되었다. 금모(金帽)란 금으로 만든 관(冠) 안에 쓰는 모자의 일종.. 국보, 유물방 2009.0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