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子)①지지의 첫번째.②식물의 종자 또는 열매.③[동의어]태아.④[동의어]아들
자(字)①옛날에 동약의 분량을 표시하던 단위.②옛날 주로 양반들이 봉건적 관습으로부터 장가 든 뒤에 자기의 본래의 이름을 함부로 부르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달리 지은 이름
자[적](炙)[동의어]합초. 동약법제방법의 하나. 동약을 액체 보조재료에 재웠다가 볶거나 굽는 것
자( )[동의어]목자(눈구석과 눈귀)
자(煮)동약법제방법의 하나. 동약재에 물 또는 다른 액체 보조재료를 넣고 삶는 것
자( )[동의어]수염
자간(子癎)[동의어]임신간증, 임신풍경, 아풍, 자모, 임신경, 아훈. 대체로 임신 말기 또는 몸풀 때에, 드물게는 산후기 초에 의식을 잃고 온몸 경련이 일어나는 위급한 병증
자강향(紫降香)[동의어]강향
자계(刺 )①[동의어]엉겅퀴.②[동의어]조뱅이
자계(紫桂)[동의어]육계
자계채(刺 菜)[동의어]조뱅이
자고채(紫苦菜)[동의어]방가지풀
자골(刺骨)[동의어]족태양방광경의 속골혈
자괴화(刺槐花)[동의어]아카시아꽃
자구(自灸)①[동의어]자연구.②[동의어]바구지
자군(磁君)[동의어]자석(磁石)
자궁(子宮)①여성 내생식기의 하나.②경외기혈.③얼 굴침혈의 하나.④귀침혈의 하나.⑤[동의어]임맥의 관원혈
자궁(紫宮)임맥의 혈
자궁불수(子宮不收)[동의어]자궁탈수
자궁출혈(子宮出血)경외기혈
자궁탈수(子宮脫垂)[동의어]자궁탈출, 음탈. 자궁이 정상위치로부터 아래쪽으로 내려온 병증
자궁탈출(子宮脫出)[동의어]자궁탈수
자귀나무껍질 [의어]합환피, 야합피, 합혼피, 합장수피. 콩과에 속하는 자귀나무(Albizzia julibrissin Durazz.)의 껍질을 말린 것
자귀나무꽃 [의어]합환화, 야합화. 자귀나무의 꽃
을 말린 것
자근(紫根)[동의어]지치
자근양혈탕(滋筋養血湯)기혈부족으로 다리에 힘이 없어 걷지 못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자금(子芩)[동의어]속썩은풀
자금단(紫金丹)동약처방. 여러 가지 처방이 있다
자금사(紫金沙)[동의어]말법집
자금산(子芩散)심폐가 허약하여 가슴이 두근거리고 꿈이 많으며 식은땀이 나고 입 안이 마르는 데 쓰는 동약처방
자금우(紫金牛)백량금과에 속하는 자금우(Bladhia japonica Thunb. 또는 Ardisia japonica Blume)의 뿌리를 말린 것
자금정(紫金錠)[동의어]만병해독단. 독버섯중독, 보가지중독, 약물중독, 새, 짐승고기 중독 등에 쓰는 동약처방
자금환( 子芩丸)달거리가 잦거나 자궁부정출혈이 계속되는 데 쓰는 동약처방
자금환(紫金丸)[동의어]실소산
자기(子氣)①자종의 하나.②5행의 상생관계를 모자관계로 설명할 때 아들격에 해당하는 것
자뉵(自 )[동의어]홍한. 저절로 코피가 나는 것
자단(紫丹)[동의어]지치(자초)
자단설(紫短舌)자주색을 띠면서 오그라들어 짧아진 혀
자단향(紫檀香)[동의어]자진단. 콩과에 속하는 자단향나무(Pterocarpus indicus Willd.)의 목질부를 말린 것
자단향탕(紫檀香湯)부정자궁출혈 때 피멎이약, 진통약으로 쓰는 동약처방
자담(子痰)고환에 생긴 담증
자담대청설(紫淡帶靑舌)설질이 연한 퍼런 자주색을 띠는 혀
자담청근설(紫淡靑筋舌)설질은 연한 자주색을 띠고 혓바닥 가운데 퍼런 핏줄이 있으면서 습윤한 혀
자담회심설(紫淡灰心舌)설질은 연한 자주색을 띠고 혓바닥 가운데는 잿빛이나 검푸른 색을 띠면서 마르지도 습하지도 않은 혀
자도모기(子盜母氣)①모자관계로 5장 사이의 병리관계를 설명한 것.②[동의어]자병범모
자동운동법(自動運動法)[동의어]능동운동법. 자라고기[참조]자라등딱지
자라귀 [의어]조뱅이
자라등딱지 [의어]별갑. 자라과에 속하는 자 라(Trionyx sinensis Wiegman)의 등딱지를 말린 것. 자라등딱지갖풀[참조]별갑교. 자라알[참조]자라등딱지. 자라피[참조]자라등딱지
자락발관법(刺絡拔罐法)[동의어]자락부항법
자락법(刺絡法)[동의어]자락요법, 자혈요법, 방혈요법. 침 치료법의 하나. 침혈 또는 살갗의 세소동맥이나 정맥에 침을 놓아 피를 뽑는 방법
자락부항법(刺絡附缸法)[동의어]자락발관법. 침구치료법의 하나. 삼릉침이나 앞침으로 살갗을 찌르고 거기에 부항을 붙여 피를 뽑는 방법
자락요법(刺絡療法)[동의어]자락법
자로건숙설(紫老乾熟舌)설질이 자주색을 띠면서 윤기가 없어서 마치 삶아 익힌 간 같은 감을 주는 혀
자료두법(煮料豆法)정혈이 모자라 원기가 약해지게 되어 소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머리칼이 희어지며 눈이 잘 보이지 않고 이빨이 흔들리며 빠지는 데 쓰는 동약처방
자룡환(子龍丸)[동의어]공연단
자루( 漏)[동의어]누정(漏睛)
자리(子痢)[동의어]임신하리. 임신 때의 이질
자리(自利)설사시키는 약을 먹지 않았는데 절로 설사 나는 것
자리공 [의어]상륙, 야호, 장륙, 장류근. 자리공과에 속하는 자리공(Phytolacca esculenta V. Houtte)의 뿌리를 말린 것
자리자 (刺梨子)[동의어]금앵자
자림(子淋)[동의어]임신소변임통. 임신 때에 오줌 눌 때마다 아랫배가 아프면서 오줌이 조금씩 나오는 병증
자만(子滿)임신 5-7달에 배가 지나치게 커지고 가슴이 답답하며 오줌이 잘 나가지 않고 온몸이 붓는 병증
자말리근(紫茉莉根)[동의어]분꽃뿌리
자말리엽(紫茉莉葉)[동의어]분꽃잎
자말리자(紫茉莉子)[동의어]분꽃씨
자매과(刺 果)[동의어]생열귀나무열매
자맥(資脈)수소양삼초경의 계맥혈( 脈穴)
자명(子鳴)[동의어]자제
자모(子母)상생관계에서 모자관계
자모(子冒)[동의어]자간
자모력(子母 )나력의 크고 작은 멍울이 여러 개 있는 것
자모보사(子母補瀉)5행의 상생 및 모자관계 이론으로 장부병증을 치료하는 원칙
자목련꽃망울 [의어]신이. 목련과에 속하는 자목련(Magnolia liliflora Desr.)의 꽃봉우리를 말린 것
자문(子門)[동의어]자궁구. 자궁경의 아래 끝 복판에 있다
자미(滋味)영양분이 많고 맛이 좋은 음식
자반(疵瘢)헌데 자리
자발( 發)콧수염이 난 곳에 생긴 헌데
자방(子方)24방위의 하나
자백전풍(紫白 風)[동의어]자전풍, 전풍, 역양풍, 한반. 목이나 몸통 등 땀이 많이 나는 부위에 희 기도 하고 푸르기도 한 꽃보라 모양의 반점이 생기는 것
자번(子煩)[동의어]임신심번, 임신자번. 임신부가 가슴이 할랑거리며 답답해 하는 병증
자번위증(子 胃症)오조는 아닌데 임신 때에 게우면서 식사를 하지 못하는 것
자벽(子蘗)[동의어]황경피
자병(子病)[동의어]오조
자병(自病)어느 한 개의 장기에 생긴 병이 다른 장기로 파급되지 않았을 때의 그
병을 가리켜 이른 말
자병범모(子病犯母)[동의어]자탈모기. 5행의 상생관계에서 아들격에 해당하는 장기에 생긴 병이 어미격에 해당하는 장기에 파급되는 병리과정을 이르는 말
자보(滋補)보법의 하나. 자음강장약으로 신음을 보하는 방법
자보신음(滋補腎陰)①[동의어]강음.②신음을 보한다는 뜻
자보양영환(滋補養榮丸)허로 또는 기혈부족으로 온몸이 나른하고 맥이 없으며 소화가 안되고 밤눈이 어두워지는 데 쓰는 동약처방
자보환(滋補丸)하초의 원기가 허하여 온몸이 노곤하고 여위며 입맛이 없어지는 데 쓰는 동약처방
자부(紫芙)[동의어]지치(자초)
자부원(煮附元)기가 허하여 명치 밑이 부어 오르고 담이 몰려 가슴이 답답한 데와 적백탁이 있는 데 쓰는 동약처방
자분상(紫粉霜)[동의어]은 주
자불쑥 [의어]제비쑥
자비환(滋脾丸)체기를 받아 입맛이 없고 음식을 먹은 뒤에 명치 밑이 트적지근하고 소화가 안되면서 배가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자사복중(子死腹中)[동의어]사태(死胎)
자삼(紫蔘)[동의어]범꼬리풀뿌리
자삼피(紫蔘皮)[동의어]주목피
자상충심(子上衝心)[동의어]자현(子懸)
자상환(紫霜丸)식간(食癎)이나 식적이 있는 데, 어린이가 담적으로 인하여 젖을 게우는 데 쓰는 동약처방
자상황태건조설(紫上黃苔乾燥舌)설질은 자주색을 띠고 혓바닥 가운데는 누런 색을 띠는 이끼가 껴서 말라 있는 혀
자상황태습윤설(紫上黃苔濕潤舌)설질은 연한 퍼런 자주색을 띠고 누렇고 습한 이끼가 낀 혀
자색설(紫色舌)자주색을 띠는 혀
자색후풍(紫色喉風)후풍 때 목안이 자주색을 띠는 것
자생 [의어]쌍생
자생(茨生)[동의어]남가새열매
자생신생환(資生腎生丸)[참조]신기환①
자석(磁石)[동의어]현석, 처석, 자군. 산화물 동약으로서 산화철을 주성분으로 하는 자철광
자석( 石)[동의어]대자석
자석보음환(磁石補陰丸)노년기에 신음부족으로 귀에서 소리가 나고 잘 듣지 못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자석양신환(磁石羊腎丸)노년기에 기혈부족으로 인하여 귀에서 소리가 나고 잘 듣지 못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자석영(紫石英)[동의어]자수정. 할로겐화물 동약으로서 불화칼슘(CaF2)을 주성분으로 하는 형석
자설(子舌)[동의어]중설
자설(子泄)[동의어]임신설사
자설(紫雪)[동의어]자설단
자설단(紫雪丹)[동의어]자설. 높은 열이 나면서 가슴이 답답하고 불안하며 때로 의식을 잃고 헛소리를 하며 경련이 이는 데 쓰는 동약처방
자설설협(自齧舌頰)자신도 모르게 혀와 볼을 깨무는 증
자설창(子舌瘡)[동의어]중설
자설창(紫舌脹)혀가 헐어서 아픈 병증
자설창(紫舌瘡)[동의어]자설창(紫舌脹)
자소(子嗽)임신 때 기침을 자주 하는 병증
자소(紫蘇)[참조]차조기
자소반하탕(紫蘇半夏湯)습담으로 숨이 차고 기침을 하며 가래가 끓고 오한과 열이 반복되는 데 쓰는 동약처방
자소엽(紫蘇葉)[참조]차조기잎
자소음(紫蘇飮)임신 4-5달 때 태기가 치밀어 가슴과 윗배가 그득하면서 아프고 숨이 막히는 것 같은 데, 해산을 힘들게 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자소음자(紫蘇飮子)비, 폐가 허하여 열이 나고 머리가 아프며 기침이 나고 가래가 끓는 데 쓰는 동약처방
자소자(紫蘇子)[참조]차조기씨자소자원(紫蘇子圓)기가 치밀어 올라 가슴이 막혀 답답하고 명치 밑이 아프며 음식이 소화되지 않고 게우며 기침를 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자소자탕(紫蘇子湯)동약처방. 여러 가지 처방이 있다
자소탕(紫蘇湯)담이 몰려서 가슴이 답답하고 기침이 나며 입 안이 마르고 갈증이 심히 나는 데 쓰는 동약처방
자송(紫 )[동의어]무
자수기(子水氣)[동의어]자기(子氣)
자수불리(子水不利)[동의어]자종
자수정(紫水晶)[동의어]자석영
자수제화(滋水制火)[동의어]장수제양
자수함목(滋水涵木)신음을 보하여 간양이 상승된 것을 치료하는 방법
자수해어탕(資壽解語湯)심, 비경에 풍사가 들어가서 혀가 굳어지게 되어 말을 잘 하지 못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자시(子時)①지난날에 쓰던 12시간 가운데서 첫번째 시간. 밤 11시부터 새벽 1시까지.②지난날에 쓰던 24시간 가운데서 첫번째 시간. 밤 11시 반부터 0시 반까지
자시( )[동의어]시종, 함시창. 온독의 하나
자시경궐( 驚厥)자시(하선염)을 앓을 때에 경련이 이는 것
자신(滋腎)[동의어]보신음. 신음을 보한다는 말
자신명목탕(滋腎明目湯)기혈과 신음부족으로 정신이 맑지 못하고 눈이 잘 보이지 않는 데 쓰 는 동약처방
자신백보환(滋腎百補丸)음양부족으로 기침을 하고 식은땀이 나며 온몸이 노곤한 데와 유정이 있는 데 쓰는 동약처방
자신보원탕(滋腎保元湯)기혈부족으로 옹저가 터졌으나 잘 아물지 않는 데 쓰는 동약처방
자신육음(滋腎育陰)치료법의 하나. 신음을 보하
는 것
자신음(滋腎飮)방광에 습열이 몰려서 오줌이 쌀 씻은 물같이 뿌옇고 가슴이 답답하며 입 안이 마르는 백탁 초기에 쓰는 동약처방
자신통관환(滋腎通關丸)[동의어]자신환
자신통이탕(滋腎通耳湯)신허로 귀에서 소리가 나면서 잘 들리지 않는 데 쓰는 동약처방
자신환(滋腎丸)[동의어]설신환, 통관환, 자신통관환. 방광에 열이 몰려서 구갈은 없으면서 오줌이 잘 나가지 않고 아랫배가 불러 오르며 오줌 눌 때 오줌길이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자실(梓實)[참조]향오동열매
자암(子 )[동의어]임신실음, 임신불어, 신중암아, 아태. 임신 때에 목이 쉬고 심해지면 목소리를 전혀 내지 못하는 병증. 자애 어린이가 가슴이 답답하여 불안해 하는 병증
자야(子夜)밤 11시부터 새벽 1시까지
자양( 瘍)눈구석과 눈귀가 허는 것
자양간신(滋養肝腎)①간신음이 허한 것을 치료하는 방법.②신음을 보 해서 간음을 자양하는 방법
자양간신탕(滋養肝腎湯)빈혈이 있고 가슴이 할랑거리며 미열, 귀울음, 어지럼증 등 증상이 있는 데 쓰는 동약처방
자양고(滋陽膏)몸이 허약한 데 쓰는 동약처방
자양위음(滋養胃陰)[동의어]양위. 치료법의 하나. 위음을 보하는 방법
자연구(自然灸)[동의어]천구, 자구, 발포구. 뜸뜰 자리에 자극성 약물을 붙여 국소에 충혈이나 물집이 생겨 마치 뜸자리처럼 된 것
자연동(自然銅)[참조]산골
자연동산(自然銅散)타박으로 뼈가 상하고 어혈이 진 데 쓰는 동약처방
자연반슬(自然盤膝)도인법의 기본 체위의 하나
자연정(紫燕 )[동의어]자엽정
자엽정(紫 )[동의어]자연정, 간정. 정창의 하나. 손발의 뼈마디와 허리 옆구리에 생긴 자줏빛 나는 꽈리 같은 정창
자영(紫英)[동의어]김
자영산(滋榮散)머리칼이 빠지는 데 쓰는 동약처방
자영활락탕(滋榮活絡湯)산후에 혈부족으로 바람을 싫어하고 추위를 몹시 타며 머리가 아프고 이빨을 악물면서 목이 뻣뻣해지고 손발에 경련이 이는 데 쓰는 동약처방
자오가근(刺五加根)[동의어]가시오갈피나무뿌리
자오가엽(刺五加葉)[동의어]가시오갈피나무잎
자오가피(刺五加皮)[동의어]가시오 갈피
자오도구법(子午搗臼法)옛날에 쓰던 침보사방법의 하나
자오보사(子午補瀉)옛날에 쓰던 침보사방법의 하나
자오영수(子午迎隨)옛날에 쓰던 침보사방법의 하나
자오유주(子午流注)옛날에 쓰던 침법의 하나
자오인신주화(子午寅申主火)운기론에서 쓰는 말. 자오년과 인신년은 화열의 기가 주관한다는 말
자옹(子癰)고환에 생긴 옹
자옹(疵癰)①어깨와 팔죽지에 난 옹.②무릎에 난 옹
자옹( 癰)손바닥 중심에 난 옹이 온 손바닥에 퍼진 것
자운풍(紫雲風)다리에 푸른 반점이 나타나는 증
자웅인(雌雄人)[참조]인아①
자원(紫 )[참조]개미취
자원산(紫 散)①폐위로 기침이 나고 피고름이 섞인 가래가 나오면서 폐옹이 겹칠 우려가 있는 데 쓰는 동약처방.②허로 또는 폐위로 기침을 하고 피고름이 섞인 가래가 나오는 데 쓰는 동약처방
자원용탕(紫 茸湯)열사에 폐가 상해서 기침이 나고 목안이 가려우며 가래가 끓고 숨이 차며 옆구리가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자원탕(紫 湯)①임신부가 폐음이 부족하거나 풍한에 상하여 기침을 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②열사에 폐가 상해서 어깨와 잔등이 무겁고 코가 메며 재채기와 기침이나면서 숨이 찬 데 쓰는 동약 처방
자월(子月)[동의어]음력 동짓달(11월)
자위(紫 )[동의어]능소화. 능소화과에 속하는 능소화(Campsis grandiflora K. Schum.)의 꽃을 말린 것
자위피(刺 皮)[동의어]고슴도치가죽
자유자(刺愉子)[동의어]금앵자
자유적란( 惟赤爛)[동의어]자적란, 목자적란. 눈구석과 눈귀의 살갗이 벌겋게 되고 습진이 생기는 병증
자윤(滋潤)①눅여주다.②[동의어]자음윤조
자윤고(滋潤膏)언 상처, 불에 덴 데 등에 쓰는 동약처방
자윤탕(滋潤湯)중풍으로 정신이 흐리고 팔다리를 잘 쓰지 못하면서 배가 불러 오르고 대소변이 잘 나가지 않는 데 쓰는 동약처방
자음(滋陰)[동의어]보음
자음강화(滋陰降火)치료법의 하나. 음을 보하여 허화를 내리는 방법
자음강화탕(滋陰降火湯)①신음부족으로 화가 성하여 오후에 미열이 나면서 잘 때 식은땀이 나고 기침를 하며 때로 피가 섞인 가래가 나오고 입맛이 없으며 몸이 점차 여위는 데 쓰는 동약처방.②신음부족으로 화가 동하여 잘 때 식은땀이 나고 오후마다 미열이 나면서 손바닥과 발바닥이 화끈 달아 오르는 데 쓰는 동약처방
자음강화환(滋陰降火丸)오후마다 미열이 나고 기침을 하며 식은땀이 나는 데와 입 안에 열감이 있으면서 늘 입 안이 쓰며 가슴이 답답하고 번열이 나며 불안하면서 잠을 잘 자지 못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자음건비탕(滋陰健脾湯)심비허손으로 인한 기혈부족과 담음
으로 기운이 없고 몸이 무거우며 마음이 불안하고 어지럼증이 있는 데 쓰는 동약처방
자음고본환(滋陰固本丸)신음부족과 폐음부족으로 오는 골증열과 다리가 아프고 오후마다 미열이 나며 식은땀이 나고 기침을 하며 가래에 피가 섞여 나오는 데, 가슴이 답답하고 손발바닥이 달아 오르는 데 쓰는 동약처방
자음대보환(滋陰大補丸)허로로 기와 혈이 부족하여 쉽게 피곤해지며 다리와 허리에 힘이 없는 데, 늙은이들이 잠을 잘 자지 못하고 가슴이 두근거리는 데, 피부가 거칠어지는 데 쓰는 동약처방
자음백보환(滋陰百補丸)기혈부족으로 추웠다 열이 났다 하며 입맛이 없고 몸이 여위며 맥이 없는 데 쓰는 동약처방
자음보신환(滋陰補腎丸)신허로 허리가 시리고 아프며 다리와 허리에 힘이 없는 데 쓰는 동약처방
자음소간(滋陰疏肝)[동의어]화간
자음식풍(滋陰熄風)식풍법의 하나. 음허로 생긴 풍증을 치료하는 방법
자음식풍탕(滋陰熄風湯)간양상승으로 어지럽고 아프며 귀에서 소리가 나거나 귀가 잘 들리지 않는 데 쓰는 동약처방
자음신기환(滋陰腎氣丸)[동의어]익음신기환(益陰腎氣丸)
자음약(滋陰藥)[동의어]보음약
자음양영탕(滋陰養榮湯)소갈로 입 안과 목구멍이 마르고 찬물을 많이 마시는 데 쓰는 동약처방
자음억화(滋陰抑火)[동의어]장수제양(자수제화, 자음함양)
자음영신탕(滋陰寧神湯)심혈부족으로 오는 간질, 갑자기 정신을 잃고 넘어져 목안에서 가래가 끓고 손발이 오그라드는 데 쓰는 동약처방
자음윤조(滋陰潤燥)[동의어]양음윤조. ①윤조법의 하나. 조열로 폐와 신의 음이 허해져서 생긴 조증을 치료하는 방법.②음을 자양하여 마른 것을 눅여준다는 뜻
자음이습(滋陰利濕)①이습법의 하나. 습열에 음이 상하여 오줌이 잘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하는 방법.②음을 보하여 습을 오줌으로 나가게 한다는 뜻
자음지보탕(滋陰至寶湯)여성들이 허로로 인하여 몸이 여위면서 잘 먹지 못하고 오한과 발열이 반복되면서 식은땀이 많이 나는 데 또는 달거리가 고르지 않는 데 쓰는 동약처방
자음지황탕(滋陰地黃湯)음혈부족으로 허화가 성하여 미열이 나고 손발바닥이 달아 오르며 가슴이 답답하고 잠을 잘 자지 못하며 식은땀이 나고 입 안이 마르며 귀가 잘 들 리지 않는 데 쓰는 동약처방
자음지황환(滋陰地黃丸)[동의어]숙지황환. ①혈부족과 신허로 눈앞이 아찔하고 때로 꽃잎 같은 것이 나타나면서 잘 보이지 않는 데 쓰는 동약처방.②허로로 코피를 흘리며 기침할 때 피가래가 나오고 열이 나면서 식은땀이 나며 달거리가 고르지 않는 데 쓰는 동약처방
자음청위고치환(滋陰淸胃固齒丸)위열이 성하여 이뿌리가 들뜨고 잇몸이 부으면서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자음청위환(滋陰淸胃丸)위열이 성하여 잇몸이 붓고 아프면서 파이고 이뿌리가 들뜬 데 쓰는 동약처방
자음청화고(滋陰淸化膏)폐, 신음허로 미열이 나면서 숨이 차고 기침을 하며 손발바닥이 달아 오르는 데 쓰는 동약처방
자음팔미환(滋陰八味丸)[동의어]지백지황환. 신음부족, 음허화왕으로 골증조열이 있으면서 가슴이 답답하고 안타까우며 식은땀이 나고 허리와 무릎이 시큰시큰 아프며 유정이 있는 데 쓰는 동약처방
자음평간잠양(滋陰平肝潛陽)치료법의 하나. 음을 보하여 간양이 상승된 것을 치료하는 방법
자음함양(滋陰涵陽)[동의어]장수제양
자음해표(滋陰解表)[동의어]양음해표. 치료법의 하나. 보음약과 해표약을 같이 써서 음이 허한 환자의 외감표증을 치료하 는 방법
자의(子衣)[동의어]포의(태반)
자일(子日)지난날에 날짜를 천간지지와 맞추어놓은 것 가운데서 지지가 ?자?자로 된 날
자작나무껍질 [의어]화목피, 화피. 자작나무과에 속하는 자작나무(Betula playphylla Suk.)의 겉껍질을 말린 것. 자작나무버섯 구멍버섯과에 속하며 자작나무(봇나무)에 붙어 사는 버섯(Inonotus obliquus Pilat)을 말린 것. 자작나무버섯물약 방사선성 백혈구감소증에 쓰는 동약처방
자장(子腸)①경외기혈.②[동의어]임맥의 관원혈
자장(子臟)여성생식기인 자궁
자장랭무자(子臟冷無子)[동의어]포한불잉(궁랭불잉, 포랭무자)
자장불수(子臟不收)[동의어]음탈(자궁탈)
자장오인환(滋腸五仁丸)①해산 뒤 음혈부족으로 생긴 변비와 허약한 사람, 늙은이의 변비에 쓰는 동약처방.②[동의어]오인환
자저(刺疽)폐유혈부위에 생긴 저
자저(疵疽)[동의어]부골저
자적란( 赤爛)[동의어]자유적란. 자전 어린이가 가슴이 답답하여 불안해 하는 병증
자전(紫 )[동의어]자백전풍(역양풍)
자전목(紫 木)[동의어]자단향
자전풍(紫 風)[동의어]자백전풍
자정(子正)밤 12시를 달리 이르는 말
자정(雌 )정창의 하나. 정창의 끝이 누르고 속 이 검으며 뜸뜬 것처럼 주위에 물집이 생기고 발적이 있는 것.
자정룡아(紫頂龍芽)[동의어]말초리풀
자제(子啼)[동의어]자명, 아제, 복제, 명태, 태곡, 종명, 복곡종명. 임신부의 뱃속에서 아이울음소리 혹은 종소리와 같은 소리가 나는 것처럼 느끼는 것
자조(子朝)[동의어]자현(子懸)
자조(子燥)임신 때에 가슴이 답답하고 번조감이 나는 증상
자조양영탕(滋燥養榮湯)진액부족으로 살갗이 마르고 손발톱이 거칠어지면서 변비가있는 데와 노인성 변비에 쓰는 동약처방
자종(子腫)임신 후반기 특히 임신 말기에 몸이 붓는 병증
자주(紫朱)[동의어]대자석
자주(紫珠)[동의어]자형피. 자주꽃방망이 도라지과에 속하는 자주꽃방망이(Campanula cephalotes Nak.)의 옹근풀을 말린 것. 자주쓴풀 용담과에 속하는 자주쓴풀(Swertia pseudo-chinensis Hara)의 옹근풀을 말린 것
자주환(磁朱丸)[동의어]신곡환. 어지럼증이 나면서 눈앞이 아찔하고 잘 보이지 않으며 가슴이 두근거리고 잠을 잘 자지 못하며 귀에서 소리가 나고 잘 듣지 못하는 데 또는 예막, 내장, 외장, 겹보이기 등에 쓰는 동약처방
자중백활설(紫中白滑舌)설질은 자주색을 띠고 윤활한 흰 이끼가 낀 혀
자중적종건초설(紫中赤腫乾焦舌)혀 변두리는 자주색을 띠고 혓바닥 가운데는 벌겋게 붓고 말라서 탄 것같이 된 혀
자중홍반설(紫中紅斑舌)설질은 자주색을 띠고 붉은 반점이 가득 돋아 있는 혀
자진단(紫眞檀)[동의어]자단향
자질려(刺 藜)[동의어]남가새열매
자창 [의어]자소(子嗽)
자창(疵瘡)[동의어]정창( 瘡)
자채(紫菜)①[동의어]미역.②[동의어]김
자처(子處)[동의어]여성생식기인 자궁
자천 [의어]개미취
자첨배뢰설(紫尖 舌)혀끝부위에 멍울이 생기고 연한 자주색을 띠는 혀
자초(紫草)[참조]지치
자초(滋草)[동의어]별꽃
자초고(紫草膏)열독창, 태독 등으로 몹시 가렵고 피부가 헐면서 진물이 나고 밤에 보채면서 자지 못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자초목통탕(紫草木通湯)어린이가 보채면서 잠을 잘 자지 못하고 오줌을 누기 힘들어 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자초목향탕(紫草木香湯)[동의어]자초탕
자초용(紫草茸)①자교충과에 속하는 벌레인 자교충이 나뭇가지 위에 분비한 갖풀(교질)을 뜯어내어 말린 것.②[동의어]지치싹
자초탕(紫草湯)[동의어]자초목향탕. ①어린이의 대변이 묽으면서 음식을 잘 먹지 못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②어린이의 혈림과 열림에 쓰는 동약처방
자추피(刺楸皮)[동의어]엄나무껍질
자충( 蟲)별렴과의 땅속에서 사는 자충 곧 지별(Eupolyphaga sinensis Wallker.)의 충체를 말린 것
자침통기탕(紫沈通氣湯)삼초에 기가 잘 통하지 않아 옆구리와 배가 그득하고 불러 오르며 대변이 시원하게 나가지 않는 데 쓰는 동약처방
지침환(紫沈丸)음식이 체한 데, 찬 기운이 뭉쳐 음식을 먹은 뒤에 가슴과 명치 밑이 트적지근하고 배가 아프면서 메스껍거나 게우는 데 쓰는 동약처방
자탈모기(子奪母氣)[동의어]자병범모
자통(子痛)①[동의어]임신복통.②임신 때 명치 끝이 아픈 것
자패(紫貝)[동의어]자패치. 보패과에 속하는 Erosaria caputserpentis(L.), cypraea lynx(L.), Mauritia arabica(L.)의 껍데기를 말린 것
자패치(紫貝齒)[동의어]자패
자편설(紫遍舌)자주색을 띠는 혀
자평(紫萍)[동의어]개구리밥
자하거(紫河車)[동의어]태반
자학(子 )[동의어]태학
자한(自汗)한증의 하나. 깨어 있을 때 몸에 부담을 줌이 없이 절로 나는 땀
자함(紫陷)두창의 구슬이 검붉어지면서 꼭대기가 움푹 꺼져 들어가는 것
자현(子眩)[동의어]임신현훈
자현(子懸)[동의어]태기상핍, 태 상핍심, 태기상역. 임신 때에 태기가 조화되지 못하고 위로 치밀어 가슴이 부어 오르는 것처럼 아픈 병증
자혈(子穴)①5행침에서 해당 경맥의 5행속성에 따라 그의 상생관계에서 아들(자)격에 해당하는 혈.②5유혈의 합혈
자혈발관법(刺血拔罐法)[동의어]자락부항
자혈백보환(滋血百補丸)허로, 음혈부족, 신양부족 등으로 온몸이 노곤하며 허리와 다리에 힘이 없고 아프며 오후마다 미열이 나면서 손발바닥이 달아 오르는 데 쓰는 동약처방
자혈양근탕(滋血養筋湯)기혈부족으로 다리가 여위고 힘이 없어 걷지 못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자혈요법(刺血療法)[동의어]자락법
자혈탕(滋血湯)기혈부족으로 몸이 허약하며 얼굴에 핏기가 없고 머리털이 빠지며 소화가 잘 안되는 데, 달거리의 주기가 느려지는 데 쓰는 동약처방
자형피(紫荊皮)[동의어]내소, 자주. 콩과에 속하는 구슬꽃나무(Cercis chinensis Bunge)의 줄기껍질을 말린 것
자호 [의어]시호
자호(子戶)①여자의 음렬, 질.②혈 이름.[참조]포문자호.③[동의어]족소음신경의 기혈.④[동의어]임맥의 관원혈
자호종창(子戶腫脹)[동의어]부인음종
자화지정(紫
花地丁)[동의어]제비꽃
자황(雌黃)유화물 동약 으로서 삼류화비소(As2S3)를 주성분으로 하는 광석(Orpiment)
자후 [의어]천일창. 보통 사마귀
자훈(子暈)[동의어]임신현훈
작 [의어]마진
작강지관(作强之官)[동의어]신(腎)
작검폐(作瞼廢)윗눈까풀이 아래로 처져 올라가지 못하는 것
작경(爵卿)[동의어]무릎꼬리풀
작노(作 )근육, 살갗, 눈까풀이 저절로 푸들푸들 떨리는 것 또는 눈을 깜박거리는 것
작뇌궁(雀腦芎)[동의어]궁궁이
작두(鵲豆)[동의어]까치콩. 작두콩 콩과에 속하는 작두콩(Canavalia ensiformis DC.)의 여문씨를 말린 것. 작두콩깍지[참조]작두콩. 작두콩뿌리[참조]작두콩
작두향(雀頭香)[동의어]향부자
작란반(雀卵斑)[동의어]면간포. 작뢰 뇌풍(문둥병)의 하나.[참조]풍뢰
작리(爵李)[동의어]이스라치씨
작말(作末)가루를 내는 것
작맹(雀盲)[동의어]작목내장
작목(雀目)[동의어]작목내장
작목내장(雀目內障)[동의어]작맹, 계맹, 작목장. 어두운 곳에서 시력이 낮아지는 것
작목장(雀目障)[동의어]작목내장
작목혼정(雀目昏睛)[동의어]작목내장
작반(雀斑)[동의어]면간포
작상(爵床)[참조]무릎꼬리풀
작석(鵲石)[동의어]한수석
작아수(雀兒 )[동의어]보리수나 무열매
작약(芍藥)집함박꽃뿌리와 메함박꽃뿌리을 합해서 이른 말
작약감초부자탕(芍藥甘草附子湯)음양이 모두 허하여 오슬오슬 춥고 땀이 많이 나면서 팔다리가 아픈 데, 풍한사에 상한 데, 땀을 냈으나 병이 낫지 않고 오히려 오슬오슬 추운 데 쓰는 동약처방
작약감초탕(芍藥甘草湯)①혈이 잘 돌지 못하여 배가 심하게 아픈 데와 팔다리가 당기며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②땀을 낸 뒤에 오싹오싹 춥고 열이 나며 머리가 아프면서 오줌이 잘 나가지 않으며 팔다리가 당기고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작약백피환(芍藥栢皮丸)습열로 배가 몹시 아프고 대변에 피와 곱이 섞여 나오는 데 쓰는 동약처방
작약산(芍藥散)부인이 냉증으로 옆구리가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작약탕(芍藥湯)①농혈리로 배가 아프고 열이 나며 오줌이 잘 나가지 않고 가슴이 답답한 데 쓰는 동약처방.②비위에 열이 상하여 입 안과 입술이 허는 데와 소갈증으로 입 안과 목안이 마르고 음식을 많이 먹어도 이내 배가 고프며 찬물을 자주 마시는 데 쓰는 동약처방
작약황련탕(芍藥黃連湯)농혈리로 배가 아프고 열이 나며 가슴이 답답하고 대변에 피고름이 섞여 나오는 데 쓰는 동약처방
작열(灼熱)열이 비 교적 높아서 환자의 몸을 손으로 만지면 화끈화끈 달아 오르는 감이 있는 증상
작엽하초(昨葉荷草)[동의어]와송
작자 [의어]마진
작자반(雀子斑)[동의어]면간포
작채(綽菜)[동의어]조름나물
작탁구(雀啄灸)간접뜸의 하나
작탁맥(雀啄脈)10괴맥의 하나. 대체로 3번 뛰고 한번씩 멎는 맥
작탁법(雀啄法)침자극 방법의 하나.[참조]제삽법
작통(灼痛)불로 지지는 것같이 아픈 것
작표(雀瓢)[동의어]박주가리
작표자(雀瓢子)[동의어]박주가리씨
작한작열(作寒作熱)오한이 났다 열이 났다 하는 것
작후변농(*後變膿)마진경과 후에 대변으로 고름과 피가 섞여 나오는 것
잔꽃 [의어]망초. 국화과에 속하는 잔꽃 곧 망초(Erigeron canadensis L.)의 옹근풀을 말린 것. 잔잎쑥 국화과에 속하는 잔잎쑥 곧 개똥쑥(Artemisia annua L.)의 옹근풀을 말린 것
잔적(殘賊)[동의어]잔적맥
잔적맥(殘賊脈)외감사기에 의해서 정기가 상했을 때 나타나는 6가지 맥상
잔풍(殘風)[동의어]풍견검출
잠두(蠶豆)[동의어]완두
잠두싸리 [의어]갯활량나물. 콩과에 속하는 갯활량나물[Thermopsis lupinoides(L.)Link.]의 옹근풀을 말린 것
잠매(蠶 )[동의어]뱀딸기
잠사(蠶砂)[동의어]마명간, 잠시. 누에나비과에 속하는 누에와 누에나비[방](Bombyx mori L.)의 똥을 말린 것
잠순(蠶脣)[동의어]잠순풍, 백잠순. 입술에 생긴 종물
잠순풍(蠶脣風)[동의어]잠순
잠시(蠶屎)[동의어]잠사
잠아(蠶蛾)[동의어]유아
잠양(潛陽)①치료법의 하나. 음허로 간양이 상승한 것을 치료하는 방법.②양기가 위로 떠오르는 것을 가라앉게 한다는 뜻
잠자리 [의어]청령, 청정, 청랑자. 잠자리과에 속하는 잠자리(Cordulia aenea L.)를 말린 것
잠자리난초 [의어]십자란
잠진(潛鎭)[동의어]진잠. 치료법의 하나. 잠양작용과 진정작용이 있는 약을 같이 써서 정신이 불안하고 가슴이 두근거리며 잠이 오지 않는 것, 간양이 왕성하여 생긴 머리아픔, 어지럼증을 치료하는 방법
잠피(岑皮)[동의어]물푸레껍질
잠행산(潛行散)음허내열로 생긴 통풍과 허리 아래에 습열이 몰려서 붓고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잡기(雜氣)[동의어]여기( 氣)
잡리중원(雜理中圓)[동의어]봉수단. 잡병
(雜病)외감병(상한, 온병)을 제외한 모든 질병을 통틀어 이르는 말
잡병실음(雜病失音)여러 가지 병으로 목이 쉬거나 말을 하지 못하는 것
잡설옹(잡舌癰)설옹의 하나. 혀의 양쪽 변두리에 생긴 옹
잡설후풍( 舌喉風)후풍의 하나
잡증(雜症)①[동의어]잡병.②어떤 병증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이 나타나는 별개의 증상
잡풍( 風)[동의어]독맥의 뇌호혈
잣 [의어]해송자. 소나무과에 속하는 잣나무(Pinus koraiensis Sieb. et Zucc.)의 여문씨를 말린 것. 잣죽 늙은이 변비, 온몸쇠약, 어지럼증, 마른기침, 피게우기, 몸에서 물기가 많이 빠졌을 때 쓰는 동약죽
장(壯)직접뜸을 뜰 때 뜸봉의 갯수를 세는 단위
장(張)①왕성한 것.②벌린다는 뜻.③부어 오른다는 뜻
장(掌)[동의어]수장(손바닥)
장(腸)소장과 대장
장(障)눈을 가려 시력장애를 일으킨다는 뜻.[참조]내장, 외장
장( )[동의어]산람장기
장(臟)①[동의어]5장.②[동의어]5장6부
장간(腸癎)전간의 하나. 간질 발작 때 온몸이 뻣뻣해지고 굳어지는 증
장감(長感)돌림열병(유행성 감기)으로 열이 계속 나는 것
장강(長强)[동의어]궁골, 제상, 궐골, 조계로. 독맥의 혈. 독맥의 낙혈
장결(腸結)[동의어]족태음비경의 복결혈
장결(藏結, 臟結)①결흉증과 비슷한 증.②옆구리가 아래에 언제나 뜬뜬한 덩어리가 있는 것이 배꼽 옆에까지 내려가며 아랫배가 아픈 증
장계(長谿)[동의어]족양명위경의 천추혈
장고(腸蠱)고독으로 생긴 이질의 하나
장곡(長谷)①[동의어]족양명위경의 천추혈.②배에 있는 경외기혈
장골(長骨)긴 뼈
장골(掌骨)[동의어]오지골, 추골. 손몸뼈
장구(張口)입을 벌리고 있는 것
장구(腸垢)이질 때 곱이 섞인 대변이 나오는 것
장구대견(張口擡肩)[동의어]견식호흡. 숨이 차서 입을 벌리고 어깨를 들먹거리는 것
장구채 [의어]왕불유행, 전금화, 금궁화, 금잔은대. 패랭이꽃과에 속하는 장구채(Melandrium firmum Rohrb.)의 옹근풀을 말린 것
장군지관(將軍之官)[동의어]간(肝). 장군풀 조선대황.[참조]대황
장굴(腸屈)[동의어]족태음비경의 복애혈
장궐(藏厥, 臟厥)궐증의 하나. 내장의 양기가 허해서 팔다리가 싸늘해지는 병증
장기(長氣)여름철의 무성한 기운
장기( 氣)[동의어]산람장기
장기(臟氣)5장의 기
장뇌(樟腦)[동의어]캠퍼
장담(腸覃)아랫배에 뜬뜬한 종물이 있는 병증
장도(臟度)5도의 하나. 장부가 든든한가 약한가, 큰가 작은가 하는 것과 그 위치 와 기능상태를 가늠해보는 것
장독( 毒)[참조]산람장기①
장독(藏毒)①내장에 독이 쌓여서 생긴 이질.②변혈의 하나. 대변을 본 뒤에 피가 나오는 증.③[동의어]항문옹
장독각기( 毒脚氣)장기( 氣)로 생긴 각기
장독변혈(臟毒便血)[동의어]장독(臟毒)②
장독하혈(臟毒下血)[동의어]장독(臟毒)②
장두독(臟頭毒)[동의어]항문옹
장두풍(臟頭風)장내 기생충으로 항문이 몹시 가렵고 간혹 벌겋게 붓거나 살갗이 부어 오르는 증
장려( )[동의어]장학. 산람장기에 의하여 생긴 전염병
장련환(臟連丸)신음부족으로 몸이 여위고 허리와 무릎이 시큰시큰하며 힘이 없고 어지러우면서 눈앞이 아찔한 데와 귀에서 소리가 나고 잘 들리지 않는 데, 유정, 몽설 등이 있으면서 식은땀이 나고 오줌이 잘 나가지 않으며 열이 나고 기침을 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장류(腸瘤)대소장이나 장간막에 생긴 종물
장류근(章柳根)[동의어]자리공
장류수(長流水)[동의어]천리수. 먼 곳에서 흘러 내려오는 강물
장륙(章陸)[동의어]자리공
장맥(長脈)맥상의 하나. 촌구부위를 지나서까지 나타나는 맥
장맥(臟脈)①5장의 경맥 또는 수족 3음3양의 경맥을 합해서 이른 말.②[동의어]진장맥
장명(腸鳴)[동의어]복명, 복중명. 뱃속에서 꾸르륵꾸르륵 소리가 나는 증
장모(丈母)[동의어]경외기혈인 여 슬혈
장목(張目)눈을 부릅뜨는 것
장문(章門)[동의어]비모, 협요, 장평. 족궐음간경의 혈. 비의 모혈, 장회, 족소양, 족궐음의 교회혈
장문(掌紋)[동의어]손금
장미근(薔薇根)찔레나무뿌리.[참조]찔레나무열매
장미엽(薔薇葉)찔레나무잎.[참조]찔레나무열매. 장미영양약 비타민 C 결핍증, 급성, 만성 간염, 그 밖의 입맛없기, 소화장애 때에 쓰는 동약처방
장미자(薔薇子)[동의어]찔레나무열매
장미화(薔薇花)[동의어]찔레나무꽃.[참조]찔레나무열매
장벽(腸 )①이질의 옛날 병명.②피가 섞여 나오는 대변(변혈)
장병(長病)[동의어]만성질병. 오래 끄는 병
장병(臟病)[동의어]장증. 3음경에 해당하는 장에 생긴 병증
장병취원(臟病取原)5장에 병이 생겼을 때 장기에 해당하는 원혈에 침뜸을 놓아 치료하는 것
장복(長服)한 가지 약이나 음식을 오래 늘 먹는 것. 장부
(臟腑)①[동의어]5장6부.②내장장기를 통틀어 이른 말
장부경증(臟腑驚證)경풍 때 팔다리에 경련이 일면서 해당 장부의 증상이 나타나는 것
장부변증(臟腑辨證)변증의 하나. 장부의 생리 및 병리적 특징을 기초로 하여 임상증상들을 4진8강으로 분석 종합하고 5장6부의 음양, 기혈, 한열 , 허실 등의 변화를 갈라내서 어느 장부에 속하는 것인가를 가려내는 것
장부상관(臟腑相關)5장과 6부는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말
장부상합(臟腑相合)[동의어]장부유합
장부유합(臟腑有合)[동의어]장부상합. 5장과 6부는 배합관계에 있다는 말
장비(腸痺)대소장의 기가 막혀서 생긴 비증의 하나
장비(臟痺)[동의어]5장비
장빈(長頻)[동의어]수양명대장경의 화요혈
장사구(長蛇灸)[동의어]포구. 간접뜸의 하나
장산(腸山)[동의어]족태양방광경의 승산혈
장상(臟象)인체의 내장장기의 기능상태와 병리변화가 겉으로 나타나는 여러 가지 현상을 통틀어 이른 말
장상론(臟象論)장상에 관한 이론
장생(長生)오래 사는 것
장생불사초(長生不死草)[동의어]바위손
장수(漿水)①좁쌀죽 웃물.②수수쌀밥에 누룩을 섞어 발효시켜서 도수가 약하게 만든 식초.③[동의어]양수(羊水)
장수꽃 [의어]제비꽃
장수명목환(壯水明目丸)신음부족으로 눈이 잘 보이지 않는 데 쓰는 동약처방
장수버섯 [의어]만년버섯
장수산(漿水散)비, 신 허약으로 손발이 차고 식은땀을 흘리며 기운이 없고 설사를 자주 하면서 때로 게우는 데 쓰는 동약처방
장수원(長壽元)[동 의어]삼선단
장수제양(長壽制陽)[동의어]자수제화, 자음함양, 자음억화. 치료법의 하나. 수나 음이 허한 것을 보하여 허화나 허양이 떠오른 것을 억제하는 방법
장수침(漿水浸)[동의어]장수침포. 동약법제방법의 하나. 동약을 좁쌀죽 웃물에 담그는 것
장수침포(漿水浸泡)[동의어]장수침(동약을 좁쌀죽 웃물에 담그는 것)
장식(將息)병치료에 유리하도록 생활하는 것
장심(掌心)손바닥이나 발바닥의 한가운데
장심독(掌心毒)[동의어]수심독
장심풍(掌心風)[동의어]아장풍
장아채(獐牙采)[동의어]자주쓴풀
장애(腸哀)[동의어]족태음비경의 복애혈
장양(壯陽)①치료법의 하나. 더운 성질의 보약으로 양허증을 치료하는 방법.②양기를 세지게 한다는 뜻
장어(長魚)[동의어]뱀장어
장역( 疫)덮고 습기가 많은 지대에서 생긴 병독으로 돌림병이 생긴 것
장열(壯熱)①주로 실증 때 나타나는 높은 열.②고열이 지속되는 것
장열비(腸熱秘)대장열로 진액이 소모되어 생긴 변비
장온(場瘟)[동의어]온역
장온설(將瘟舌)[동의어]홍염설
장옹(腸癰)소장, 대장에 생긴 옹을 통틀어 이르는 말
장요(長 )[동의어]수양명대장경의 화요혈
장요(腸 ,腸繞)경외 기혈
장용환(藏用丸)[동의어]도수환
장원탕(壯原湯)하초가 허하고 차서 배가 붓고 오줌이 잘 나가지 않으며 숨이 차고 심하면 음낭과 양쪽 허벅다리, 얼굴까지도 붓는 데 쓰는 동약처방
장원환(壯元丸)심허증으로 잘 잊어버리고 온몸이 나른하며 잠을 잘 자지 못하고 가슴이 두근거리는 데 쓰는 동약처방
장위(腸胃)①위와 장을 합해서 이른 말.②입에서 항문까지의 소화기관을 이르는 말
장위기양(腸胃奇 )위장 속이 가려운 것 같은 감을 느끼는 증
장유(長幼)어른과 어린이을 합해서 이른 말
장유(臟兪,臟輸)①경외기혈.②[동의어]독맥의 신도혈(神道穴)
장유오십혈(臟兪五十穴)5장과 연계된 5개 경맥의 5유혈인데 정, 형, 경, 합 혈 등 5개 혈씩 한쪽에 25개, 양쪽을 합하여 50개 혈을 통틀어 이르는 말
장육(掌肉)손바닥의 근육
장저( 疽)장기(*氣)의 독으로 생긴 저의 하나
장절(腸絶)10절증의 하나. 장 기운이 거의 끊어져가는 증상
장정(藏精)정을 저장한다는 말
장조(藏燥)[동의어]장조증
장조각(長 角)[동의어]주염나무열매
장조증(臟燥證)정신신경장애증상의 하나
장조협(長 莢)[동의어]주염나무열매
장주형(長珠形)지문형태의 하나
장중(掌中)①손바닥의 한가운데.②[동의어]수궐음심포경의 노궁혈
장중뇌명(腸中雷鳴)[동의어]뇌명
장증(臟證)[동의어]장병(臟病)
장지(長指,將指)가운데손가락
장진(藏眞,臟眞)5장의 진기
장창(杖瘡)타박된 자리에 상처가 나거나 헐어서 생긴 헌데
장천사초환단(張天師草還丹)[참조]초환단②
장춘화(長春花)[동의어]일일초
장충(長蟲)[동의어]거위(회충)
장충병(長蟲病)[동의어]회충병
장치 [의어]뱀장어
장치(腸痔)치질의 하나. 항문 안에 멍울이 생겨 아프고 오슬오슬 춥고 열이 나며 때로 피가 나오고 항문이 뒤집혀 나오는 것
장침(長針)[동의어]환도침. 옛날에 쓰던 9가지 침의 하나
장침형(長針形)지문형태의 하나
장통(腸痛)[동의어]반장기통
장퇴(
腸 )퇴산의 하나. 한습으로 한쪽 음낭이 부어서 커지고 가려운 병증
장편(長片)절편의 하나
장평(長平)①[동의어]경외기혈인 장곡혈.②[동의어]족궐음간경의 장문혈
장풍(匠風)[동의어]독맥의 노호혈
장풍(腸風)①치질의 하나. 치질 때 뒤로 새빨간 피가 나오는 것.②변혈의 하나.③[동의어]풍리(風痢).④경외기혈
장풍(臟風)밤에 식은땀이 많이 나는 것
장풍변혈(腸風便血) [참조]장풍(腸風)②
장풍장독(腸風臟毒)대변을 볼 때 피가 나오는 것
장풍하혈(臟風下血)[동의어]장풍(腸風)
장하(長夏)늦은 여름. 음력 6월
장학( )산람장기에 의해 생긴 학질의 하나
장한(臟寒)①뱃속이 찬 것. 비위가 허한 것.②갓난아이가 100일 안에 속이 차서 설사하고 우는 병증
장한사(臟寒瀉)[동의어]제한사
장허(臟虛)5장의 기, 혈, 음, 양이 허한 것을 통틀어 이른 말
장허불고(臟虛不固)[동의어]대장불고
장혈( 血)[참조]노루피
장홍화(藏紅花)[동의어]사푸란
장화(壯火)지나치게 왕성해져서 몸 안의 정기(正氣)를 소모시키는 화
장화(藏化)[동의어]한화(기후가 찬 것)
장화식기(壯火食氣)①지나치게 왕성한 화열은 기를 소모시켜 원기를 약하게 한다는 말.②맛이 맵고 성질이 더운 약은 정기(精氣)를 소모시킨다는 뜻
장화지기(壯火之氣)지나치게 병적으로 강해진 양기
장활(腸滑)대변이 참을 수 없이 자주 나오는 것
장회(臟會)8회혈의 하나. 5장의 경기가 모이는 혈
장후고골(掌後高骨)엄지손가락 쪽 손바닥 뒤의 도드라진 뼈. 노뼈의 경상돌기
재(滓)[동의어]찌꺼기
재감(再感)[동의어]중감(重感). 사기를 받았는데 또 그와 같은 사기나 비슷한 사기가 거듭 침입한 것
재경(再經)[동의어]재전
재괴(災怪)병증에 약물이 맞지 않아 다른 변화가 생긴 것
재목(梓木)[동의어]향오동열매
재배대황 [의어]식대황, 화대황. 여뀌과에 속하는 재배대황(Rheum undulatum L.)의 뿌리를 말린 것.[참조]대황
재백피(梓白皮)[동의어]향오동나무껍질.[참조]향오동열매
재생(災 )병에 걸린다는 뜻
재실(梓實)[동의어]향오동열매. 재쑥 배추과에 속하는 재쑥[Descurainia sophia(L.)Prantl.]의 옹근풀을 말린 것
재역(再逆)치료를 거듭 잘못한 것
재엽(梓葉)[동의어]향오동나무잎.[참조]향오동열매
재전(再傳)①상한병증이 처음부터 다시 전경하는 것.②상한병증이 1개의 경에 전경했다가 또 다음 경으로 전경하는 것
재천(在泉)운기론에서 쓰는 말. 운기 가운데서 아래에 있다는 것을 표현한 말
재탕(再湯)달임약을 한번 달여낸 다음 약 찌꺼기에 물을 넣고 한번 더 달여내는 것
재통(再痛)나았던 병이 다시 도져서 앓는 것 또는 재차 아픈 것
쟁녕(쟁녕)윤기 없는 어린이의 머리칼을 이른 말
저(疽)옹저의 하나. 창면이 깊고 잘 낫지 않는 것
저( )①[동의어]엉덩뼈부위.②[동의어]엉덩이. ③[동의어]잔등
저간(猪癎)[동의어]신간
저고보명단(諸蠱保命丹)고창으로 배가 몹시 불러 오르고 뜬뜬하며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저고초(猪膏草)[동의어]진득찰
저골( 骨)제1흉추극상돌기
저골( 骨)[동의어]천골(엉덩뼈)
저근(苧根)[참조]모시풀뿌리
저근백피(樗根白皮)[참조]가죽나무뿌리껍질. 저근백피알약 급성 및 만성 대장염, 세균성 적리로 배가 아프고 설사를 하며 때로 피곱이 섞인 대변을 누거나 뒤무직증이 있는 데 쓰는 동약처방
저근백피탕(樗根白皮湯)어린이들의 급성소화불량증, 급성대장염, 세균성 적리 등으로 열이 나며 설사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저근합제(樗根合劑)급성 및 만성 소대장염으로 배가 아프며 피곱이 섞인 설사를 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저녁넘나물 [의어]저녁원추리
저녁원추리 [의어]노랑원추리. 나리과에 속하는 저녁원추리 곧 노랑원추리(Hemerocallis thunbergii Baker)의 뿌리를 말린 것
저단( 端)[동의어]미골(꼬리뼈)
저담(猪膽)[참조]돼지열
저담즙도법(猪膽汁導法)도변법의 하나. 돼지열물에 식초를 조금 넣고 고루 섞어서 항문에 넣어주어 대변을 누게 하는 방법
저당탕(抵當湯)어혈로 결흉이 되어 헛소리를 하며 입 안이 마르나 물은 마시고 싶지 않은 등 증상이 있는 데, 하초에 축혈이 있으나 몸에 열은 없고 아랫배가 뜬뜬하고 오줌은 순조로우면서 대변이 굳은 데 쓰는 동약처방
저두환(猪 丸)오줌잦기, 백탁, 몽설 등이 있으면서 몸이 여위고 기운이 없는 데, 여성들이 임증, 대하증이 있는 데 쓰는 동약처방
저령(猪 )[동의어]주령. 구멍버섯과에 속하는 저렁(Polyporus umbellatus Pil.)의 균핵을 말린 것
저령산(猪 散)오줌이 잘 나가지 않으면서 목안이 마르고 가슴이 답답하며 잠이 오지 않는 데 또는 오줌에 피가 섞여 나오고 오줌 눌 때 오줌길이 아프며 아랫배가
뜬뜬하고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저령차전자탕(猪 車前子湯)소양인이 망음증으로 몸에 열이 있고 설사를 하는 데, 삼양합병 때, 머리와 배가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저령탕(猪 湯)①방광에 습열이 몰려 오줌이 잘 나가지 않고 오줌 눌 때 아랫배와 오줌길이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② 열에 음이 상하여 오줌이 잘 나오지 않고 갈증이 나며 가슴이 답답하고 안타까워 잠들지 못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저마(猪麻)[동의어]익모초
저마근(苧麻根)[동의어]모시풀뿌리
저모채(猪毛菜)[동의어]솔장다리
저 백피(樗栢皮)[동의어]가죽나무뿌리껍질
저백환(樗栢丸)하초에 습열과 담화로 쌀 씻은 물같이 흐린 오줌을 누는 데 쓰는 동약처방
저빈랑(猪檳 )[동의어]빈랑
저상( 上)[동의어]독맥의 장강혈
저성산(抵聖散)귀에서 고름이 나오면서 오랫동안 낫지 않는 데 쓰는 동약처방
저성탕(抵聖湯)[동의어]거승탕. 산후에 배가 그득하고 불러 오르면서 음식을 먹지 못하고 메스꺼우며 때로 게우는 데 쓰는 동약처방
저실(楮實)[참조]닥나무열매
저실자(楮實子)[참조]닥나무열매
저육(猪肉)[참조]돼지고기
저이(底耳)정이( 耳)때 나오는 비린 냄새 나는 고름
저자(菹子)[동의어]약모밀
저작(咀嚼)씹는 것
저침( 針)옛날에 쓰던 9가지 침의 하나
저편(咀片)[동의어]절편(일정한 규격대로 자른 동약)
저편초(猪鞭草)[참조]제편초
저포탕(猪 湯)산후 기혈부족으로 오줌을 참지 못하고 자주 누는 데 쓰는 동약처방
저피(樗皮)[동의어]가죽나무뿌리껍질
저피고(樗皮膏)만성성기염증(질염, 질부미란, 경관내막염)과 각종 화농성 피부염에 쓰는 동약처방
저항운동법(抵抗運動法)안마운동법의 하나
적(積)적취의 하나. 뱃속에 생긴 덩이인데 일정한 형태를 가지 고 고정된 위치에 있으며 아픈 부위도 이동되는 일이 없이 고착되어 있는 병증
적감(赤疳)5감의 하나. 감질을 앓을 때 머리칼이 윤기가 없고 까슬까슬한 증상
적강(赤綱)[동의어]새삼씨
적과(赤果)[동의어]비자(榧子)
적구(積垢)이질 때 대변에 섞여 나오는 곱(점액)
적궁(赤宮)[동의어]자궁(子宮)
적극판정(赤筋板睛)[동의어]노육반정
적기(積氣)①병의 기운이 몸 안에 몰려 있는 것.②[동의어]적병
적농(赤膿)벌건 색의 고름
적단(赤丹)[동의어]주사
적단(赤檀)[동의어]자단향
적담환(敵痰丸)담음으로 가슴이 답답하고 가래가 많으며 입맛이 없고 소화가 잘 안되는 데와 대소변이 잘 나가지 않고 배 안에서 물소리가 나는 데 쓰는 동약처방
적대(赤帶)[동의어]적대하
적대포륜(赤帶抱輪)[동의어]포륜홍
적대하(赤帶下)[동의어]대하적. 성숙된 여자의 생식기에서 병적으로 빛이 벌개서 피 같으면서도 피가 아닌 분비물(벌건 이슬)이 흐르는 것
적독창(的禿瘡)[동의어]비창. 독창의 하나
적두(赤豆)[동의어]붉은팥
적두산(赤豆散)피부가 가렵고 헌데가 생겨 진물이 나오는 악창에 쓰는 동약처방
적랭복통(積冷腹痛)뱃속에 찬 기운이 몰려 배가 아픈 증
적류(赤流)[동의어]적류종. 열로 생긴 빛이 붉은 단독.[참조]단독
적류(赤柳)[동의어]위성류
적류(赤瘤)[동의어]단독
적류종(赤流腫)[동의어]적류(赤流)
적리(赤痢)[동의어]혈리
적리(積痢)음식에 체하여 생긴 이질의 하나
적리어(赤鯉魚)[동의어]잉어
적막(赤膜)[동의어]홍막
백정(구결막)에 핏줄이 몹시 많고 피모임이 심한 붉은 막이 생긴 것.[참조]적막하수
적막하수(積膜下垂)외장눈병의 하나. 백정에 생긴 붉은 막이 흑정에로 침습해 들어가는 병증
적맥(赤脈)①[동의어]심맥.②[동의어]홍근(紅筋). 눈알의 흰 자위에 생긴 가늘고 붉은 핏줄
적맥관정(赤脈貫睛)[동의어]적맥전정
적맥관포(赤脈貫布)[동의어]목비혈
적맥전정(赤脈傳睛)[동의어]적맥관정, 적맥침정. 핏줄이 눈구석과 눈귀에서 시작하여 백정(구결막)이나 흑정(각막)으로 자라 들어가는 병증
적맥침정(赤脈侵睛)[동의어]적맥전정
적박(赤朴)[동의어]후박
적박자(赤雹子)[동의어]왕과자
적백누하(赤白漏下)[동의어]적백대하
적백대(赤白帶)[동의어]적백대하
적백대하(赤白帶下)[동의어]적백대, 적백력, 적백누하. 성숙된 여자의 생식기로부터 병적으로 빛이 벌 건 피 같은 분비물이 흐르는데 거기에 흰 이슬이 섞여 나오는 증
적백력(赤白 )[동의어]적백대하
적백리(赤白痢)[동의어]주하적백, 설주적백. 묵 같은 곱과 피고름이 섞인 대변을 누는 이질의 하나
적백송피(赤栢松皮)[동의어]주목피
적백유풍(赤白游風)[동의어]유풍(游風)
적백육제(赤白肉際)손발과 팔다리의 안쪽에 약간 흰빛을 띠는 살갗과 바깥쪽에 약간 벌건 빛을 띠는 살갗과의 경계부위
적백체하(赤白滯下)이질 때 대변에 피곱이 섞여 나오는 증
적백탁(赤白濁)[동의어]탁(濁). 백탁과 적탁을 합해 이른 말
적백하오관중탕(赤白何烏寬中湯)소음인이 온몸이 나른하며 오줌이 시원하게 나가지 않고 음위증이 있으면서 점차 몸이 붓는 데 쓰는 동약처방
적백환(赤白丸)나력이 생겨 곪는 시기에 쓰는 동약처방
적벽(積癖)식적과 벽괴를 합해 이른 말
적복령(赤茯 )[참조]벌건솔풍령
적복령산(赤茯 散)어린이가 음식에 체했거나 심열로 오줌이 흐린 데 쓰는 동약처방
적복령탕(赤茯 湯)①소장에 열이 있어 얼굴이 벌겋고 입 안이 마르며 가슴이 답답하고 찬 것을 좋아하며 땀이 많이 나오면서 오줌이 잘 나가지 않는 데 쓰는 동약처방.②수결흉으로 명치 밑이 더뿌룩하고 그득하며 머리에 땀이 나는 데 쓰는 동약처방
적봉영원(赤鳳迎源)비경주기법의 하나
적봉요두(赤鳳搖頭)[동의어]백호요두. 옛날 침놓는 수법인 비경주기법의 하나
적부(赤符)[동의어]적석지
적부(赤膚)[동의어]피부염. 살갗에 붉은 반점이 생기는 것
적붕(赤崩)성기로부터 벌건 피가 많이 나오는 것
적비(赤鼻)[동의어]비적(鼻赤)
적비법(滴鼻法)코 안에 물약을 떨구어 넣어 콧병을 치료하는 방법
적사(赤砂)[동의어]노사
적사(賊邪)5사의 하나. 5행의 상승관계로 병이 전해갈 때의 사기
적사(積瀉)비기허약으로 음식물을 소화시키지 못하여 생기는 설사의 하나
적사규맥(赤絲脈)[동의어]적사란맥, 백정란맥
백정(구결막)에 만성적인 충혈을 주증으로 하는 병증
적사란맥(赤絲亂脈)[동의어]적사규맥
적사탕(赤砂糖)정제하지 않는 사탕
적삼(赤蔘)[동의어]단삼
적석지(赤石脂)규산염 동약으로서 규산알루미늄[Al2(HSiO33H2O)]을 주성분으로 하는 붉은 색 곱흙(Halloysitum rubrum)
적석지산(赤石脂散)①피곱이 섞인 대변이 나오는 냉리와 비위가 차서 설사를 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②끓는 물이나 불에 덴 데 쓰는 동약처방
적석지환(赤石脂丸)이질로 피곱이 섞인 대변이 나오면서 배가 몹시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적설초 [의어]병꽃풀
적성류(赤檉柳)[동의어]위성류
적소두(赤小豆)[참조]붉은팥. 적소두근심탕 급성콩팥염으로 갑자기 몸이 몹시 붓고 오줌량이 적어지며 피가 오줌에 섞여 나오는 데 쓰는 동약처방
적소두당귀산(赤小豆當歸散)대장에 습열독이 몰려 대변이 나오기 전에 피가 나오는 데 쓰는 동약처방
적소두탕(赤小豆湯)젊은 사람이 열독으로 헌데가 생기고 몸이 부으면 서 오슬오슬 춥고 열이 나며 오줌이 잘 나가지 않고 대변이 굳은 데 쓰는 동약처방
적수(赤水)부종의 하나
적수(積水)몸 안에 물이 고여 있는 것
적수환(適水丸)[동의어]물알약
적심통(積心痛)심통의 하나
적안(赤眼)①충혈과 눈곱을 주증으로 하는 눈병.②[동의어]무릎꼬리풀
적안노모초(赤眼老母草)[동의어]무릎꼬리풀
적열(積熱)열이 속에 쌓여 있는 증
적열소설(積熱小舌)목젖이 붓고 아픈 병증
적열후옹(積熱喉癰)후옹의 하나.[참조]종란후옹
적옥(赤沃)[동의어]적리
적울(積鬱)오래된 울증
적유단(赤遊丹)①단독의 하나.②단독을 통틀어 이르는 말
적유단독(赤遊丹毒)어린아이 때 태독으로 생기는 단독
적유산(滴油散)담소(痰嗽)로 가래가 끓고 기침을 하며 가슴이 답답하고 얼굴이 붓는 데 쓰는 동약처방
적유종(赤遊腫)[동의어]적유단
적유풍(赤遊風)[동의어]적유단
적육(赤肉)①손발의 잔등 쪽과 팔다리의 바깥쪽에 있는 약간 벌건 빛을 띠는 살갗부위.②속에 있는 근육
적육제(赤肉際)손발과 팔다리의 안쪽에 약간 흰빛을 띠는 살갗과 바깥쪽에 약간 벌건 빛을 띠는 살갗의 경계부위에서 벌건 빛을 띠는 살갗부위.[참조]적백육제
적음(積飮)수음이 몸 안에 쌓여 있다는 뜻
적이법(滴耳法)치료법의 하나. 귀 안에 약물을 넣어 치료하는 방법
적이유(滴耳油)귓병 때 귀 안에 넣는 기름
적자(赤疵)어린이에게 생기는 피부병의 하나
적작약산(赤芍藥散)기혈이 고르지 못하여 가슴이 답답하고 안타까우며 입맛이 없고 어지러우며 눈앞이 아찔하면서 온몸이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적작약탕(赤芍藥湯)어혈이 위에 뭉쳐서 명치 밑이 그득하고 부어 오르며 입맛이 없고 메스꺼우며 음식을 먹으면 게우는 데 쓰는 동약처방
적장(赤腸)[동의어]소장
적전(赤箭)[동의어]천마줄기
적전근(赤箭根)[동의어]천마
적절(赤節)[동의어]비해
적정(赤 )설정(舌 )의 하나. 혀뿌리에 생긴 정창
적정(積精)달거리 기간에 성생활을 하여 배가 더뿌룩하면서 그득하고 뜬뜬한 덩어리가 생긴 것
적조자(赤棗子)[동의어]찔광이
적진(赤疹)마진 때 살갗에 돋은 발진색이 붉고 선명한 것.[참조]마진
적창(赤瘡)[동의어]마진
적체(積滯)음식물이 소화되지 않고 위에 머물러 있는 병증
적충(赤蟲)9충의 하나
적충병(
赤蟲病)적충으로 생긴 충증
적취(積聚)뱃속에 덩이가 생겨 아픈 증
적탁(赤濁)①탁 증의 하나. 오줌이 흐리고 색이 벌건 증.②외요도구에 늘 피가 섞인 혼탁물이 조금씩 나와 있고 오줌을 눌 때 작열감이 있으며 아픔이 있으나 오줌색만은 벌겋지 않은 것
적토(赤土)[동의어]대자석
적통(積痛)적체로 생긴 배아픔
적통여사(赤痛如邪)백정(구결막)에 충혈이 있으나 그리 심하지 않고 아픔도 비교적 경하며 자주 도지는 만성적인 눈병
적풍(賊風)이상기후(바람)로 사람의 건강에 해를 주는 사기
적풍냉소(積風冷嗽)해소의 하나. 폐에 풍사가 몰려 있는 데다 다시 한사를 받아서 기침하는 것
적하수오(赤何首烏)[참조]붉은조롱
적하수오등(赤何首烏藤)[참조]붉은조롱줄기
적하오(赤何烏)[참조]붉은조롱
적할(赤 )[동의어]검현적란
적혈(赤穴)경외기혈. 전 정신이 착란된 것
전(煎)①동약에 물을 넣고 달이는 것.②탕제의 이름
전( )[동의어]압전(연자에 돌리기)
전(錢)옛 도량형 단위
전(戰)[동의어]전율
전( )[동의어]정수리
전(顫)경풍8후의 하나. 경풍 때 손발을 떨거나 머리나 혹은 온몸의 살을 푸들푸들 떠는 증상
전(癲)①[동의어]전간.②정신에 이상이 생긴 병증
전간(癲癎)[동의어]간, 간증, 간질, 천질. 발작적으로 의식 장애가 오는 것을 주증으로 하는 병증
전갈(全蝎)전갈과에 속하는 전갈(Buthus martensii Karsch)을 말린 것
전견우(前肩 )경외기혈
전경(專經)상한병 때 태양경병이 다른 경으로 전해가지 않고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태양경에만 있는 것
전경(傳經)사기가 한 경에서부터 다른 경으로 옮겨가면서 병이 진전되는 것
전경진(傳經盡)사기가 한 경에서부터 차례로 다른 경으로 옮아간 것
전경환(轉驚丸)비위가 허약하여 설사를 하면서 몸이 여위는 데와 오랫동안 구토설사를 하여 만경풍이 된 데 쓰는 동약처방
전곡(前谷)수태양소장경의 혈
전골(纏骨)[동의어]노뼈
전공(錢孔)경외기혈
전관(前關)[동의어]족소양담경(足少陽膽經)의 동자요혈
전광(癲狂)정신이상이 생긴 병증
전광야조(電光夜照)[동의어]사광자현증
전교(前 )[동의어]태아머리회선이상으로 인한 해산장애편산
전구창(口瘡)[동의어]구문창
전궐(煎厥)몸 안의 열이 음액을 소모시켜서 나타나는 궐증의 하나
전근(轉筋)[동의어]추근. 팔다리근맥 특히 비장근에 경련이 일어 뒤틀리는 것같이 아픈 것
전근루(轉筋瘻)누창의 하나. 감질로 생긴 것
전금화(剪金花)[동의어]장구채
전기침 (電氣針)호침을 2대 이상 꽂고 침자루에 약한 전류를 통과시켜 침자극과 함께 전기적 자극을 주는 침법. 전나무진 전나무과에 속하는 전나무(Abies holophylla Maxim.)의 진을 말린 것
전당 [의어]느릅나무열매
전도(顚倒)[동의어]족위해산. 몸풀 때 태아의 발이 먼저 나오는 이상해산
전도곽(傳導廓)[동의어]천곽(구결막과 공막부위)
전도지관(傳導之官)[동의어]대장(大腸)①
전도지부(傳導之腑)[동의어]대장
전도초근(剪刀草根)[동의어]무릇뿌리. 전동싸리 콩과에 속하는 전동싸리(Melilotus suaveolens Ledeb.)의 옹근풀을 말린 것
전두맥(轉豆脈)[동의어]전환맥, 행시맥. 10괴맥의 하나. 맥이 뛰는 것을 똑똑하게 가려볼 수 없을 정도로 쉴 사이 없이 뛰는 맥
전두침(箭頭針)옛날에 쓰던 9가지 침의 하나
전라(田螺)[참조]우렁이
전라포(田螺泡)손, 발바닥이 부르터서 물집이 생기는 것
전록환(全鹿丸)허손으로 어지럼증이 나고 귀에서 소리가 나거나 몽설이 있으며 허리와 무릎이 시큰시큰하고 아프거나 맥이 없고 식은땀이 나며 마음이 불안하며 잠을 잘 자지 못하는 데, 늙은이가 추위를 몹시 타는 데 쓰는 동약처방
전륵(顚勒)[동의어]천문동
전맥(顫脈)맥이 한 번 뛰는 사이에 무수한 작은 파동이 손가락 끝에서 느껴지는 것
전맥루(轉脈瘻)누창의 하나
전박(前膊)[동의어]하박, 전비, 팔뚝
전박골골절(前膊骨骨折)직접적 및 간접적 외력에 의하여 전박에 있는 뼈(노뼈, 자뼈)가 부러진 것.[참조]요골하단부골절
전박산(前朴散)어린이가 가슴과 배에 기가 몰려 헛구역질을 하며 때로 게우고 설사하며 배가 불러 오르고 아파하며 잘 놀라고 우는 데 쓰는 동약처방
전발제(前髮際)①경외기혈.②이마와 머리칼과의 경계부위
전변(傳變)온병에서 병증이 한 단계에서 다른 단계로 옮겨가는 것. 병의 경과.[참조]순전, 역전
전병(癲病)①[동의어]전간.②[동의어]전증
전복(煎服)약을 달여 먹는 것. 일정한 양의 물이나 술에 넣고 달여서 찌꺼기를 버리고 먹는 것
전본(傳本)태양6전의 한 가지 형태. 태양병증이 표에서 본으로 전변되는 것
전불산(全不産)[동의어]불임증. 결혼 후 한 번도 임신하지 못한 것
전비(前臂)[동의어]전박
(팔뚝)
전비공(前鼻孔)[동의어]외비공(겉콧구멍)
전상(顚上)[동의어]독맥의 백회혈
생백출산(全生百朮散)임신부가 온몸이 부으면서 오줌을 잘 누지 못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전생복령산(全生茯 散)임신부가 오줌을 잘 누지 못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전생호골산(全生虎骨散)몸 절반을 잘 쓰지 못하고 여위며 팔다리에 맥이 없는 데 쓰는 동약처방
전생활혈탕(全生活血湯)부정자궁출혈이 있으면서 열이 나며 온몸의 뼈마디가 아프고 어지러우며 정신이 맑지 못한 데 쓰는 동약처방
전선(錢癬)[동의어]원선
전설(顫舌)[동의어]설전(혀가 떨리는 것)
전설고(轉舌膏)중풍으로 혀가 뻣뻣하여 말을 잘 못하는 데 특히 상초, 중초에 열이 물려서 말을 못하고 대변이 굳으며 열이 나는 데 쓰는 동약처방
전설후풍(纏舌喉風)후풍의 하나. 혀뿌리부위가 뜬뜬하게 붓고 그 변연에 미란이 생기는 병증
전수(前 )[동의어]오줌
전시(傳屍,傳尸)①경외기혈의 하나.②[동의어]노채
전시로(傳屍勞)[동의어]노채
전신 [의어]앞숫구멍
전신성홍반성낭창(全身性紅斑性狼瘡)피부변화 외에 내장을 포함하는 현저한 전신 장애를 동반하는 홍반성 낭창의 하나.[참조]홍반성 낭창
전씨백출산(錢氏白朮散)[참조]백출산①
전약(煎藥)①동약을 달이는 것 또는 달임약.②지난날 동짓날에 먹던 음식의 한 가지
전약실(煎藥室)동약을 달이는 방
전영(全 )갓난아 이 간호법.[참조]초생장호법. 전완 씻는 것
전요맥(戰搖脈)[동의어]전맥
전요화단(纏腰火丹)[동의어]사천창, 천요창, 화대창, 천요룡. 살갗에 잔물집이 무리 짓거나 줄지어 생기고 열감, 아픔이 있는 병증
전유(轉乳)[동의어]현유(晛乳)
전율(戰慄)[동의어]진한, 한전, 한율. 추운 감을 느끼면서 몸이 떨리는 증
전음(前陰)남자나 여자의 외생식기와 오줌길을 합해서 이른 말
전음(專陰)①음만 있고 양이 없는 것
②위(胃)기가 없는 진장맥. 음맥만 나타나고 양맥은 나타나지 않는 것
전이(轉移)자리나 위치를 옮겨가거나 옮기는 것
전이(纏耳)정이( 耳)때 흰 색의 고름이 나오는 것
전자초(田字草)[동의어]네가래
전장(傳臟)한 장기의 병이 다른 장기에 옮겨가거나 병을 생기게 하는 것
전장문(前章門)[동의어]족태음비경의 충문혈(衝門穴)
전절(剪切)정선의 하나. 약으로 쓰지 않는 부분을 가위나 칼로 잘라버리는 것
전정(前頂)독맥의 혈
전정(顚頂)[동의어]정수리
전정골( 頂骨)[동의어]두개골(頭蓋骨)
전정통( 頂痛)두통의 하나. 정수리가 몹시 아픈 것
전정풍( 頂風)눈병으로 생기는 정수리부위의 아픔과 정수리부위의 아픔으로 생기는 눈병들을 통틀어 이른 말
전제(剪臍)[동의어]단제(斷臍)
전조초(田鳥草)[동의어]말초리풀
전주(轉 ,傳注)[동의어]노채
전중(臀中)경외기혈
전중라(田中螺)[동의어]우렁이
전증(癲證)[동의어]문치. 정신이상이 생긴 병증
전진(顫振)머리나 손발을 떠는 증
전질(癲疾)①[동의어]전간.②머리에 생긴 병.③[동의어]전증(癲證)
전찰법(纏 法)[동의어]결찰법
전청근( 靑根)[동의어]대청뿌리
전충(全蟲)[동의어]전갈
전치(前齒)[동의어]앞이빨
전치(癲痴)정신장애가 있는 병 또는 정신이 온전치 못한 사람
전침(電針)[동의어]전기침
전침(轉針)[동의어]돌개침
전태(戰胎)[동의어]해산전구진통. 해산기에 임박해서 배가 아픈 것
전태(轉胎)①[동의어]시통.②태아위치 이상이 정상위치로 된 것 전판아(前板牙)[동의어]문치(앞니)
전판치(前板齒)[동의어]문치(앞니)
전폐(前閉)[동의어]소변폐
전포(轉胞)[동의어]임신소변불통
전풍(箭風)[동의어]한비(寒痺)
전풍( 風)①경외기혈.②[동의어]자백전풍
전한(戰汗)한증의 하나. 외감열성 질병 경과과정에 춥고 떨리다가 온몸에 땀이 나는 것
전형(全形)몸에 이상이 없는 것
전호(前胡)[ 참조]생치나물뿌리
전호반하탕(前胡半夏湯)열이 나면서 기침을 하고 기침할 때 가슴이 아프며 가래가 끓고 가슴이 답답하면서 숨이 차며 때로 메스꺼운 데 쓰는 동약처방
전호음(前胡飮)비위에 담음이 성하여 입쓰리를 심하게 하면서 먹으면 곧 게우고 머리가 아프며 어지럽고 추웠다 열이 났다 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전호탕(前胡湯)①위기가 치밀어 게우면서 음식을 먹지 못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②임신부가 상한으로 머리가 아프면서 열이 심하게 나는 데 쓰는 동약처방
전홍원(剪紅元)장풍 또는 장독으로 대변에 피가 섞여 나오는 것이 오랫동안 멎지 않으며 얼굴빛이 누렇게 되면서 몸이 여위는 데 쓰는 동약처방
전화(傳化)①병증이 1개의 경맥이나 장부에서 다른 경맥이나 정부로 옮겨가면서 변화되는 과정을 이르는 말.②음식물을 소화하여 영양물질은 흡수하고 쓸모없는 것
은 몸 밖으로 내보내는 생리적 과정을 이르는 말
전화( 花)[동의어]청대(靑黛)
전화지부(傳化之腑)[동의어]위, 소장, 대장, 방광, 삼초를 통틀어 이르는 말
전환맥(轉丸脈)[동의어]전두맥
전회음(前會陰)경외기혈
전후(前後)①오줌과 대변.②앞과 뒤
전후불통(前後不通)[동의어] 이변불통. 대소변이 나오지 않는 것
전후신총(前後神聰)[동의어]경외기혈인 신총혈
전후풍(纏喉風)장부에 열이 몰려 있거나 사독의 침습으로 풍담이 위로 올라가 생기는 후풍의 하나 전후혈(前後血)대소변에 피가 섞여 나오는 것
절 [의어]절골( 骨)
절(切)①[동의어]절맥(맥을 짚어보는 방법).②손으로 눌러보는 것 또는 만져보는 것.③몹시 심하다는 말.④몹시 빠르다는 말.⑤약재를 일정한 크기로 썬다는 말.⑥침을 놓을 때 보조 손을 쓰는 방법의 하나
절(折)①5치의 하나. 병증상이 몹시 심한 때 병증의 성질과 반대되는 성질의 약으로 치료하는 방법.②아픔의 정도를 이르는 말.③굽힌다는 뜻
절(絶)기나 혈이 거의 없어지게 된 것
절(癤)[동의어]뾰두라지. 옹저의 하나
절각(折脚)다리가 부러진 것
절감(節疳)감질을 앓는 어린이의 귀 안에 헌데가 생기고 몹시 여위어 뼈가 앙상하게 보이는 증상
절감산(截疳散)오래된 감창과 누창에 쓰는 동약처방
절경(絶經)[동의어]경수단절. 절골 눈확의 아래변두리부위를 이루는 뼈인 위턱뼈몸과 광대뼈의 눈확면을 합해서 이른 말
절골(折骨)[동의어]골절(骨折)
절골(絶骨)①가는 정강이뼈의 아래 끝부위.②[동의 어]족소양담경의 현종혈과 양보혈.③경외기혈
절괴(切塊)절편의 하나. 동약재를 모나게 또는 덩어리 모양으로 자른 것. 절구[굿]대열매 국화과에 속하는 절구[굿]대(Echinops dahuricus Fisch.)의 익은 열매를 말린 것
절구산(切口疝)복외산의 하나. 배외상 또는 복부수술 후에 남은 흠집에 생기는 산증
절국대 [의어]유기노초, 유기노. 현삼과에 속하는 절국대(Siphonostegia chinensis Benth.)의 옹근풀을 말린 것
절금(切禁)엄금하는 것 또는 몹시 금하는 것
절도(絶道)경맥이 지나가지 않는 곳을 가리키는 말
절맥(切脈)[동의어]맥진
절병(癤病)[동의어]완습취절
절(뾰두라지)이 연이어 여러 개 생기거나 재발하곤 하는 것
절부(絶膚)침으로 피부를 얕게 찌르는 것
절비(折 )다리 특히 넓적다리가 부러진 것처럼 몹시 아픈 증상
절사(切絲)[동의어]조사, 피사. 절편의 하나. 동약을 실고추 형태로 자른 것
절사(絶嗣)[동의어]불임증. 결혼 후에 자식이 없는 것
절산(絶産)[동의어]절생. ①인공적으로 하는 영구피임.②몸에 병이 있어 종신 임신을 하지 못하는 것
절상(折傷)[동의어]골절
절상토혈(折傷吐血)[동의어]손상토혈, 상손토혈. 토혈의 하나
절생(絶生)[동의어]절산
절양(折瘍)뼈가 부러진 다음 생긴 창양
절양(絶陽)[동의어]수양명대장경의 상양혈(商陽穴)
절음(絶陰)몸에 음기는 없고 양기만 있는 것
절이산지(切而散之)[동의어]조이하지. 손톱으로 침놓을 자리를 누르는 것
절잉(絶孕)①[동의어]임맥의 석문혈.②경외기혈.③임신되지 않게 하는 것
절자(絶子)임신되지 않게 하는 것
절장(截腸)[동의어]탈항(脫肛)
절장병(截腸病)탈항이 심한 것
절재화담환(節齋化痰丸)열담으로 가슴이 답답하고 기침을 하며 건가래가 나오고 입 안이 마르며 번열감이 나고 얼굴에 핏기가 없으면서 뒤가 굳은 데 쓰는 동약처방
절제(切製)동약가공방법의 하나. 동약을 일정한 크기로 자르는 것. 절종 아랫눈까풀이 부은 것
절주(節湊)뼈마디 사이
절진(切診)4진의 하나. 의사가 손으로 환자의 몸을 만져보면서 병적 증상을 찾아내는 진찰법
절질상(折跌傷)다리가 부러지거나 접질린 것
절척(折脊)①허리가 꼬부라져서 펴지 못하는 것.②허리가 끊어지는 것처럼 아픈 증상
절치(切齒)[동의어]문치(앞니)
절침(折針)[동의어]단침. 침을 놓을 때에 몸 안에서 침날이 부러진 것
절태(絶胎)임신되지 않 게 하는 것
절통(切痛)몹시 아픈 것
절편(切片)[동의어]저편, 부저. 동약가공방법의 하나. 일정한 규격대로 썬 동약
절풍(折風)8풍②의 하나. 서북쪽에서 불어오는 바람이 풍사가 된 것
절풍(節風)풍증의 하나. 팔다리의 뼈마디가 끊어지는 것같이 아프고 손발톱이 빠지는 것
절풍환(截風丸)어린이가 풍담이 성하여 경련증상이 있는 만경풍에 쓰는 동약처방
절피(絶皮)①침을 살갗에 얕게 찌르는 방법.②살갗과 근육과의 사이
절학(截 )①학질발작을 미리 막는 방법.②경외기혈
절학상산음(截 常山飮)①열이 나고 뼈마디가 아프면서 가슴이 답답하고 온몸이 나른한 데 쓰는 동약처방.②열이 나고 온몸의 뼈마디가 아프고 갈증이 나는 데 쓰는 동약처방
절학칠보음(截
七寶飮)[동의어]칠보탕. 온몸의 뼈마디가 아프고 가슴이 답답하며 때로 메스꺼운 데 쓰는 동약처방
절학탕(截 湯)[동의어]절학화독탕. 추웠다 열이 났다 하면서 윗배가 그득하고 대변이 굳은 데 쓰는 동약처방
절학화독탕(截 化毒湯)[동의어]절학탕
절한(絶汗)[동의어]탈한. 한증의 하나. 병이 위중한 때 갑자기 구슬 같은 땀이 나오면서도 흘러 내리지 않는 것
절해(節解)뼈마디 안
절 화(節華)[동의어]단국화
점 [의어]학질
점롱(漸聾)이롱의 하나. 점차적으로 오는 난청
점법(點法)외치법의 하나. 점 같은 작은 부위에 약을 붙여 치료하는 방법
점복(點服)약 먹는 방법의 하나. ①가루약을 물, 술, 미음 등에 타서 먹는 것.②약을 여러 번에 나누어 조금씩 먹는 것
점비약(點鼻藥)코에 한 방울씩 떨구어 넣는 약들
점안약(點眼藥)눈에 넣는 약
점침(拈針)①[동의어]염침.②침을 꽂은 다음 비비는 방법
점통산(拈痛散)역절풍으로 온몸의 뼈마디가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점통원(拈痛元)가슴이 그득하면서 터지는 것같이 아픈 급한 가슴앓이에 쓰는 동약처방
점한(粘汗)[동의어]유한(柔汗)
점혈(點穴)침혈을 잡는 것
점혈요법(點穴療法)[동의어]지압요법
접골(接骨)①부러진 뼈를 손으로 혹은 견인법, 기계적 방법, 수술적 방법 등으로 정복하는 것.②경외기혈.③[동의어]속단
접골단(接骨丹)외상으로 뼈가 부러져 붓고 몹시 아프며 어혈이 진 데 쓰는 동약처방
접골목(接骨木)[참조]딱총나무
접골발(接骨發)발뒤축 위 경골과 접한 부위에 난 헌데
접골산(接骨散)타박을 받아 뼈가 부러진 데 쓰는 동약처방
접골선도(接骨仙桃)[ 동의어]문모초
접골자금단(接骨紫金丹)타박을 받아 뼈가 부러지고 어혈이 생겨 열이 나고 정신이 흐린 데 쓰는 동약처방
접법(接法)정골팔법의 하나. 부러진 뼈를 잇는 방법
접속초(接續草)[동의어]쇠뜨기. 접시꽃나무껍질 인동과에 속하는 접시꽃나무(Viburnum sargentii Koehne)의 껍질을 말린 것. 접시꽃나무열매[참조]접시꽃나무껍질
접척(接脊)[동의어]경외기혈인 접골혈
정(丁)①천간의 네번째.②차례나 등급에서 네번째.③정방, 정시
정(井)[동의어]정혈(井穴). 5유혈의 하나
정(正)[동의어]정기
정( )[동의어]정창
정(庭)[동의어]이마
정(睛)①[동의어]눈알.②[동의어]시각기능
정(精)생명의 발생과 그 활동을 유지하는 데에 기본이 되는 물질.[참조]선천지정, 후천지정
정간환(定癎丸)간질로 어지럽고 머리가 아프며 가슴이 답답하고 하품을 자주 하다가 갑자기 정신을 잃고 넘어지며 팔다리가 오그라드는 데 또는 간질발작이 자주 일어나며 목에서 가래끓는 소리가 나고 깨어난 후에 이내 정신을 차리지 못하고 맥이 없어지는 데 쓰는 동약처방
정격(正格)5행침법에서 보법에 쓰는 처방
정경(正經)[동의어]12경맥
정경(停經)①[동의어]경폐.② 달거리가 끝난 뒤
정경자병(正經自病)경맥 자체에서 생긴 병
정경탕(定經湯)달거리가 앞당겨지거나 늦어지면서 아랫배와 허리가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정경환(定痙丸)높은 열이 나면서 보채며 울고 의식이 흐려지며 손발이 오그라들고 온몸이 찬 데 쓰는 동약처방
정고(睛高)[동의어]돌기정고
정골(正骨)①옛날에 외상을 전문으로 치료하던 과(科)를 가리킨 말.②[동의어]정골수법.③팔뚝에 있는 자뼈(척골), 아비골(鵝鼻骨)
정골도구(正骨道構)여러 가지 외상과 골절을 치료하는 데 쓰는 도구
정골법(正骨法)[동의어]정골수법, 정골팔법
정골수법(正骨手法)[동의어]정골팔법. 골절, 탈구, 염좌 때 쓰이는 여러 가지 치료수법
정골팔법(正骨八法)[동의어]정골수법. 골절, 탈구 및 연부조직 손상을 치료하는 8가지 수법
정공(廷孔)여자의 오줌길 구멍
정공독(廷孔毒)자궁이 부어서 아프고 미란이 생긴 증
정공등(丁公藤)[참조]마가목
정과(精 )[동의어]눈
정광할( 光 )[참조]청맹
정궁(精宮)①경외기혈.②[동의어]독맥의 명문혈(命門穴).③[동의어]족태양방광경의 지실혈(志室穴)
정규(精竅)남자의 겉오줌길 구멍
정극(精極)6극의 하나. 5장6부의 정혈이 몹시 허해진 증
정기(正氣)①[동의어]진기.②[동의어]정상기후
정기(精氣)①생명활동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정미로운 물질과 그 기능.②남녀의 정과 그 기능.③[동의어]정기(正氣).④[동의어]영기, 위기
정기보허탕(正氣補虛湯)허로로 입맛이 없고 헛배가 부르는 데와 냉으로 윗배가 아프고 메스꺼우며 자주 설사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정기지기(定期之紀)지지의 자와 천간의 갑을 맞추어서 30년이 된 것을 일기(紀)로 하고 60년이 된 것을 일주(周)로 한 것을 이르는 말
정기천향탕(正氣天香湯)기가 뭉쳐 윗배와 가슴이 몹시 쓰리고 아픈 데, 여성들의
가슴앓이에 쓰는 동약처방
정기청랭(精氣淸冷)정액이 희박하고 찬 것
정기탈즉허(精氣奪則虛)정기가 지나치게 소모되면 허증이 생긴다는 말
정기탕(正氣湯)①음허화황으로 오후마다 미열이 나며 입 안과 목안이 마르고 식은땀이 나며 유정이 있는 데 쓰는 동약처방.②풍사를 받아 열이 났다 추웠다 하며 식은땀이 나는 데 쓰는 동약처방
정남방(正南方)조금도 치우치지 않은 곧바른 남쪽 방향
정남북(正南北)조금도 치우치지 않은 곧바른 남쪽과 북쪽 방향
정녕 [의어]정이(귀지마개)
정뇌저(正腦疽 )[동의어]대구저. 뇌저의 하나. 목덜미의 털 난 경계의 한가운데에 생긴 C저
정담(停痰)담음이 몸 안의 일정한 부위에 머물러 있는 것
정담통(停痰痛)[동의어]담음복통
정독( 毒)정창이 중해지고 악화되는 것
정동(睛動)[동의어]목정순동. 불수의적으로 눈알이 운동하는 것
정동방(正東方)조금도 치우치지 않은 곧바른 동쪽 방향
정두(亭頭)경외기혈
정두예(釘頭 )[동의어]정예근심
정두통(正頭痛)두통의 하나. 머리전반이 아픈 것
정랭(精冷)정액이 찬 것
정력(丁 )[동의어]꽃다지씨
정력대조사폐탕( 大棗瀉肺湯)[동의어]정력대조탕
지음(支飮)또는 폐옹으로 숨이 차서 눕지 못하고 가래가 끓으며 기침이 나는 데 쓰는 동약처방
정력대조탕( 大棗湯)[동의어]정력대조사폐탕
정력목향산( 木香散)부종으로 배가 불러 오르고 오줌이 벌거면서 설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정력산( 散)폐옹으로 숨이 차고 가슴이 은근히 아프며 가래가 끓고 기침을 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정력자( 子)[참조]꽃다지씨
정력환( 丸)동약처방. 여러 가지 처방이 있다
정렴(睛簾)[동의어]황인(黃仁)
정로(情勞)지나친 성생활로 진음이 부족하여 오는 허로증
정로(精露)[동의어]임맥의 석문혈과 관원혈
정로창(征虜瘡)[동의어]어목창
정롱( 聾)이롱의 하나. 귀 안이 아프고 고름이 나오면서 잘 듣지 못하는 것
정루(正漏)흑정(각막)에 누공이 생긴 병증
정립법(正立法)도인법의 기본 체위의 하나
정마(正馬)[동의어]현삼
정막(睛膜)[동의어]모양체와 맥락막
정맥(正脈)기본이 되는 맥
정명(睛明)[동의어]누공, 내자외. 족태양방광경의 혈
정명(精明)①눈의 정기.②깨끗하고 밝은 것
정명골(睛明骨)눈확을 이루는 뼈
정명지부(精明之府)[동의어]머리
정문(頂門)①[동의어]숫구멍.②[동의어]정수리.③[동의어]독맥의 신회혈
정문저(頂門疽)[동의어]불정저
정미(精微)①가장 맑고 깨끗하고 미세한 물질.②정밀하고 미세한 것
정방(丁方)24방위의 하나
정배 [의어]백진(百疹)
정백환(定魄丸)어린아이가 놀란 것이 원인이 되어 간질이 발작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정병(正病)음만 병들고 양은 병들지 않은 것
정부(淨府)[동의어]방광(膀胱)
정부(精府)[동의어]정낭
정부치중탕(丁附治中湯)찬 음식을 먹고 위가 상해서 명치 아래가 아프면서 메스껍고 게우는 데 쓰는 동약처방
정부탕(淨腑湯)어린이가 여 러 가지 벽괴로 열이 나고 입 안이 마르며 대변이 굳고 오줌이 벌거며 메스껍고 얼굴이 누르스름해지고 식은땀을 많이 흘리고 배가 끓는 데 쓰는 동약처방
정북방(正北方)조금도 치우치지 않은 곧바른 북쪽 방향
정분(定粉)[동의어]연분
정비산(正脾散)산후에 온몸이 붓는 데 쓰는 동약처방
정사(正邪)5사의 하나. 어느 1개의 장기에 병을 일으킨 사기
정사분쟁(正邪分爭)[동의어]정사상쟁
정사상쟁(正邪相爭)[동의어]정사분쟁. 정기와 사기가 서로 싸운다는 말
정사형(定蛇形)지문의 한 형태
정삭(正朔)[동의어]음력 정월 초하룻날
정산(正産)[동의어]대산, 진산, 정상해산
정상한(正傷寒)좁은 의미에서 상한.[참조]유상한, 상한
정색(正色)[동의어]상색. ①건강한 사람의 얼굴색깔.[참조]주색, 객색.②순수한 푸른 색, 누런 색, 붉은 색, 흰 색, 검은 색 등 5가지 색
정생단(定生丹)먹은 것이 내리지 않고 게우고 가슴이 답답하며 숨이 찬 반위증에 쓰는 동약처방
정서방(正西方)조금도 치우치지 않는 곧바른 서쪽방향
정선(淨選)동약가공방법의 하나. 동약재에 섞여 있는 섞임물질들과 변질된 것, 약으로 쓰지 않는 부분을 갈라내는 조작
정설산(正舌散)중풍으로 혀가 뻣뻣하며 말을 잘하지 못하는 데, 풍담과 간열이 성하여 경련증상이 있는 데 쓰는 동약처방
정성(鄭聲)의식이 흐리고 말소리가 낮고 똑똑하지 않으며 한 말을 되풀이하거나 앞뒤가 맞지 않게 말하는 것
정세(正歲)운기론에서 쓰는 말. 해당하는 시기의 운이 부족하지도 남지도 않게 왔다는 말
정소(精少)[동의어]허로소정. 정액의 배설량이 적은 증
정손(精損)[동의어]신로
정수(井水)[동의어]우물물
정수(正水)부종의 하나. 정
수리점[참조]손침요법
정수통(停水痛)수기가 머물러 아픈 것
정순(靜順)운기론에서 쓰는 말.[참조]평기
정시(丁時)지난날에 쓰던 24시간 가운데서 열네번째 시간. 낮 12시 반부터 1시 반까지
정식(停食)음식에 체한 것
정식감모(停食感冒)감모의 하나. 비위의 기능장애를 겸한 감기
정식통(停食痛)음식에 체해서 명치 밑이 무직하면서 아픈 것
정신(精神)정과 신을 합해서 이른 말
정신내수(精神內守)정신을 차리고 마음을 다잡고 있는 것
정신단(靜神丹)7정에 심이 상하여 가슴이 두근거리고 답답해 하면서 자주 놀라고 무서워하며 불안해 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정신지사(精神之舍)[동의어]신(腎)정실(精室)①[동의어]명문.②남자의 정낭이 있는 곳
정실혈해(精室血海)내생식기를 통틀어서 이른 말
정심(頂心)정수리 가운데 부위
정심환(定心丸)①몸이 허약하여 맥이 없고 움직이기 싫어하며 절로 땀이 나고 가슴이 두근거리며 불안하여 잠을 잘 자지 못하는 데와 유정, 몽설 등이 있는 데 쓰는 동약처방.②풍열로 눈구석에 군살이 자라는 데 쓰는 동약처방
정야(丁夜)[동의어]4경(새벽 2-4시)
정양기(精陽氣)가장 정미로운 양기
정양산(正陽散)상한음증 때 팔다리가 싸늘하고 아프며 게우면서 설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정양양명병(正陽陽明病)[동의어]위가실. 양명3증의 하나
정영(正營)족소양담경의 혈. 족소양, 양유의 회혈
정예( ,丁 )[동의어]정예근심
정예근심(釘 根深)[동의어]정예, 풍륜정예, 정두예, 정예장. 뚫어진 흑정(각막)에 황인이 끼어 흠집을 남긴 병증
정예장(釘 障)[동의어]정예근심
정용탕(正容湯)풍, 담, 습이 막혀서 오는 병에 쓰는 동약처방
정위(貞蔚)[동의어]익모초씨
정위(庭尉)오른쪽 콧방울
정음심계(停飮心悸)수음이 속에 몰려서 가슴이 두근거리는 증
정음심통(停飮心痛)수음이 몰려서 생긴 심통의 하나
정음 천(停飮喘)수음이 가슴에 몰려서 생긴 천증의 하나
정음현훈(停飮眩暈)중초의 양기가 잘 돌지 못하여 수음이 가슴에 몰려 생긴 현훈의 하나
정음협통(停飮脇痛)[동의어]담음협통
정응지맥(正應之脈)병증상에 맞게 나타나는 맥
정이 [의어]정녕, 영, 이구, 뇌고, 이시, 이색, 정정, 결핵색이, 귀지마개
정이( 耳)귀가 쑤시다가 귀청이 뚫어져 고름이 나오는 병증
정일(精溢)몽설이나 활정이 있는 것
정일단(正一丹)[동의어]지성내복단
정임화목(丁壬化木)운기론에서 쓰는 말. 정년과 임년은 목운에 해당하는 해라는 말
정자초 [의어]정향풀
정자향(丁子香)[동의어]정향
정장(挺張)음경이 계속 발기되어 있는 것
정저(井疽)[동의어]심루저, 만심예독. 가슴의 구미혈 또는 중정혈부위 혹은 이 두 혈 사이에 생긴 저
정저( 疽,丁疽)①헌데의 꼭대기가 거멓고 뜬뜬하여 못같이 된 저.②[동의어]건저.[참조]건저, 견저
정전가미이진탕(正傳加味二陳湯)[참조]가미이진탕
정전양간환(正傳羊肝丸)[참조]양간환②
정제(錠劑)동약제형의 하나. 동약가루에 결합제를 섞어 반죽하여 일정한 틀에 넣고 압착하여 만든 약
정조(精潮)정액이 나오는 것
정종( )[ 동의어]정충
정주(睛珠)①눈의 렌즈체.②[동의어]둥굴레
정즙(精汁)①[동의어]열물.②[동의어]피
정지(定志)마음 또는 정신을 안정시킨다는 뜻
정지원(定志圓)심기부족으로 가슴이 두근거리고 답답하며 잘 놀라고 잊음증이 심하며 잠을 잘 자지 못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정지진주분환(定志珍珠粉丸)심허로 맥이 없고 땀이 나며 가슴이 답답하고 번열이 나며 무서워하고 잠을 잘 자지 못하면서 몽설이 있는 데 쓰는 동약처방
정지환(定志丸)①심기부족으로 가슴이 두근거리고 불안하며 무서워하고 잠을 잘 자지 못하며 꿈이 많고 잘 잊어버리는 데 쓰는 동약처방.②경풍발작이 멎은 뒤에 불안해 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정진(正疹)[동의어]마진
정창( 瘡)[동의어]폐창, 자창. 헌데의 하나
정창(睛脹)눈알이 도드라져 나온 것.[참조]돌기정고
정창주황( 瘡走黃)[동의어]황주. 정창을 앓는 과정에 그 독이 혈분에 들어가 정신을 잃고 헛소리를 치며 종처가 주위로 퍼져 나가는 것
정천탕(定喘湯)①풍한으로 숨이 차고 기침을 하며 가래가 끓고 가슴이 답답하며 머리가 아프고 열이 나는 데 쓰는 동약처방.②폐허로 생긴 오랜 천식에 쓰는 동약처방
정천탕가감방(定喘湯加減方)기관지천식으로 숨이 몹시 차고 목에서 가래끓는 소리가 나며 거품 섞인 진득진득한 가래 또는 누런 가래가 나오며 때때로 열이 나는 데 쓰는 동약처방
정천화담탕(定喘化痰湯)담으로 숨이 차고 가래가 끓으면서 기침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정청(精淸)정액이 멀건 것
정충( )[동의어]심종, 정종, 종계. 가슴이 몹시 두근거리는 병증.
정치(正治)[동의어]역치법
정치법(正治法)[동의어]역치법
정탁(精濁)탁병의 하나
정탈(精脫)①정기(精氣)가 몹시 부족해진 것.②유정, 몽설이 자주 있는 것
정토음(定吐飮)찬 음식을 먹고 체한 데, 위가 차서 게우는 데 쓰는 동약처방
정통법(定痛法)신기외치법의 하나. 소금 한 사발을 가마에 넣고 잘 볶아 천으로 싼 다음 가슴과 배를 위로부터 아래로 내려가면서 찜질하는 것
정통산(定痛散)동약처방. 여러 가지 처방이 있다
정폐탕(定肺湯)기가 치밀어 숨이 차고 기침이 나는 데 쓰는 동약처방
정풍(正風)①사철의 정상적인 기후.②사철에 맞는 방위에서 불어오는 바람
정풍(定風)①치료법의 하나. 음허로 생긴 허풍의 치료방법.②[동의어]자음식풍.③풍이 동한 것을 가라앉게 한다는 뜻
정풍병자(定風餠子) ①중풍 때 담이 성하여 눈과 입, 얼굴이 비뚤어진 데와 담궐로 머리가 아프고 게우는 데 쓰는 동약처방.②담궐로 머리가 아프고 어지러우며 메스꺼우면서 게우는 데 쓰는 동약처방
정풍초(定風草)[동의어]천마줄기
정풍초근(定風草根)[동의어]천마
정한(正汗)상한병이 나아갈 때 나는 땀
정함(睛陷)[동의어]목내함
정해(丁奚)①[동의어]정해감.②어린이가 게우고 설사하는 것이 낫지 않거나 병이 나은 뒤에 걷지 못하면서 정강이가 가늘어서 무릎만 커 보이는 증.③어린이의 배가 몹시 커도 정맥노장이 없는 것.④[동의어]정해병. 어린아이의 몸이 누렇게 되면서 여위고 목이 가늘며 배만 커지는 증상
정해감(丁奚疳)[동의어]소아정해병. 감질의 하나
정해병(丁奚病)[참조]정해(丁奚)④
정해포로(丁奚哺露)정해감과 포로감을 합해 이른 말
정향(丁香)[동의어]모정향. 정향과에 속하는 정향나무(Eugenia caryophyllata Thunb.)의 꽃봉오리를 말린 것
정향교애탕(丁香膠艾湯)음혈부족으로 붕루가 계속되는 데, 아랫배가 차고 흰 이슬이 많이 흐르는 데 쓰는 동약처방
정향난반환(精香爛飯丸)체기를 받아서 먹은 것이 내리지 않고 소화가 안되며 헛배가 부르면서 배가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정향복령탕(丁香茯 湯)비위허한으로 얼굴에 윤기가 없고 음식을 먹으면 게우고 명치 밑이 그득하여 손발이 차고 가슴이 답답한 데 쓰는 동약처방
정향비적환(丁香脾積丸)식적으로 가슴과 명치 밑이 그득하고 아프며 입맛이 없고 소화가 안되는 데 쓰는 동약처방
정향시체산(丁香? 散)①병을 앓고 난 뒤에 위가 허한하여 입맛이 없고 가슴이 그득하며 손발이 차고 딸꾹질을 자주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②딸꾹질을 하며 멀건 물을 게우는 데 쓰는 동약처방
정향안위탕(丁香安胃湯)비위허한으로 얼굴색이 푸르고 손발이 차며 음식을 먹은 다음 게우는 데와 딸꾹질을 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정향연실환(丁香練實丸)남자의 7산과 여성들의 이슬, 징가, 적취 등에 쓰는 동약처방
정향오수유탕(丁香吳茱有湯)비위가 허하고 차서 메스껍고 게우며 딸꾹질을 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정향투격탕(丁香透膈湯)열격으로 음식을 먹으면 곧 게우며 가슴과 명치 밑이 그득하고 답답하며 소화가 안되는 데 쓰는 동약처방. 정향풀 유선화과에 속하는 정향풀(Amsonia elliptica Roem. et Schult.)의 뿌리와 웅근풀을 말린 것
정허(正虛)정기가 허하다는 말
정허사실(正虛邪實)정기는 허하고 사기는 왕성하다는 말
정혈(井穴)[참조]12정혈
정혈(精血)정과 혈을 합해서 이른 말
정혈동원(精血同源)정(精)과 혈의 근원은 같다는 말
정형유경합(井滎兪經合)[참조]오유혈
정형유원경합(井滎兪原經合)5유혈에 양경의 원혈인합곡(대장경), 완골(소장경), 구허(담경), 충양(위경), 경골(방광경), 양지(삼초경)혈을 합해 이른 말
정화(正火)운기론에서 쓰는 말. 기를 4철에 나누어 놓고 그 기가 빠른가 더딘가, 많은가 적은가를 가늠해서 기의 정상적인 변화과정을 규정하는 것
정화(精華)5장의 정기상태는 몸 겉면에 나타난다는 말
정화수(井華水)이른 새벽에 맨 처음 길어온 우물물
정활(精滑)[동의어]활정
정황시묘증(睛黃視渺症)풍륜(각막과 무지개막)이 누런 색을 띠면서 물체가 뿌옇게 보이는 병증
정후 [의어]창후산
정후생 [의어]창후산
젖제 [의어]유제. 동약제형의 하나. 물이 분산매이고 물에 풀리지 않는 액체(기름, 향기름 등)가 분산상으로 되어 있는 2상계의 먹는 액체약
젖풀 [의어]백굴채. 아편꽃과에 속하는 젖풀(Chelidonium majus L.)의 옹근풀을 말린 것. 젖풀알약 위암에 쓰는 동약처방
제(提)침을 놓은 다음 얕은 곳으로 빼올리는 것
제(劑)①동약제형을 표시할 때 쓰는 말.②약성에 따르는 동약의 분류 단위를 표시할 때 쓰는 말.③한 제라고 하면 20첩(어린이는 10첩)을 말함
제(薺)[동의어]냉이
제(臍)[동의어]배꼽
제경이환(劑頸而還)땀이
얼굴이나 머리에만 나고 목 아래로는 나지 않는 것
제기법(提氣法)침법에서 이기시키는 방법의 하나
제남성(製南星)천남성의 법제품. 천남성과 같은 속식물의 덩이줄기를 여러 가지 보조재료와 함께 가공한 것.[참조]천남성
제녕 [의어]좀들깨
제니(薺 )[참조]게루기. 제달환 급성 및 만성 간염에 쓰는 동약처방
제대(臍帶)[동의어]두대, 제강, 감기, 명체, 탯줄
제대법(臍帶法)옛날 태독을 푸는 방법의 하나
제돌(臍突)[동의어]제산
제루(臍漏)[동의어]제루창. 누창의 하나. 배꼽에 누관이 생겨서 오랫동안 아물지 않고 피고름이 나오는 것
제루창(臍漏瘡)[동의어]제루
제맥강령(諸脈綱領)여러 가지 맥 가운데서 가장 기본이 되는 맥
제방(臍旁)경외기혈인 삼각구혈
제법 [의어]협안법. 안마법의 하나
제법(提法)①정골법의 하나.②침을 놓을 때 침을 일정한 깊이까지 찔렀다가 피하의 옅은 데까지 빼올리 는 것
제복통(臍腹痛)배꼽노리가 아픈 증
제분(臍糞)갓난아이가 나서 처음으로 누는 대변. 제비고깔 바구지과의 제비고깔(Delphinium grandiflorum L.)의 전초와 뿌리를 말린 것. 제비꽃 제비꽃과에 속하는 제비꽃(Viola mandshurica W. Becker)과 호제비꽃(V. yedoensis Nak.)의 옹근풀을 말린 것. 제비꿀 단향과에 속하는 제비꿀(Thesium chinense Turcz.)의 옹근풀을 말린 것. 제비란 난과에 속하는 제비란(Platanthera maximowicziana Schlechter)의 덩이뿌리를 말린 것
제비쑥 [의어]청호, 초호, 방궤. 국화과에 속하는 제비쑥(Artemisia japonica Thunb.)의 옹근풀을 말린 것
제산(臍疝)[동의어]제돌. 배꼽에 생긴 산증. 제산알약 위 및 십이지장 궤양, 과산성 위염 등에 쓰는 동약처방
제삽법(提揷法)[동의어]도침법. 침자극 수법의 하나
제삽보사법(提揷補瀉法)[동의어]삼재보사법. 침보사방법의 하나
제상저(臍上疽)[참조]충저①
제석증(臍石症)어린이의 배꼽 주위가 부어서 뜬뜬하고 아픈 것
제수상(諸獸傷)사나운 짐승에게 물렸거나 발톱에 상한 것
제습(除濕)①[동의어]거습.②습사나 수습을 없애거나 내보낸다는 뜻
제습(臍濕)[동의어]제습종. 제대를 자른 다음 잘못 간수해서 수습을 받아 생긴 헌데
제습강활탕(際濕羌活湯)[동의어]제풍습강활탕. 풍습으로 온몸의 뼈마디와 살이 아프면서 열이 나는 데 쓰는 동약처방
제습건비탕(除濕健脾湯)비위허약으로 자주 설하면서 입맛이 없고 소화가 안되고 이빨이 성글어지며 온몸이 노곤하고 무거우며 약간씩 부으면서 오줌량이 줄어드는 데 쓰는 동약처방
제습익기환(除濕益氣丸)가루음식에 체하여 명치 밑이 그득하고 답답하며 온몸이 몹시 무거운 데 쓰는 동약처방
제습종(臍濕腫)[동의어]제습(臍濕)
제습창(臍濕瘡)[동의어]제창
제습탕(除濕湯)①중초에 습이 성하여 입맛이 없고 배가 불러 오르며 몸이 무겁고 부으면서 팔다리가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②습이 성하여 몸이 무겁고 배가 불러 오르며 오줌이 잘 나가지 않고 게우며 설사하는 데, 허리가 아프고 다리가 붓는 데 쓰는 동약처방
제시(臍屎)①[동의어]제분(臍糞).②갓난아이에게 태독을 막기 위해 이내 황련과 감초 달인 물을 천에 적셔 입 안에 넣어 자주 빨게 한 다음 3일 후에 누는 똥
제양지회(諸陽之會)①모든 양이 모이는 곳.②[동의어]독맥의 대추혈
제옹(臍癰)배꼽에 생긴 옹
제융(製絨)동약가공방법의 하나. 동약재를 잘 두드리거나 비벼서 섬유질을 실 또는 솜같이 만드는 것
제음단(濟陰丹)[동의어]보궁단
제일(除日)섣달 그믐날
제자(齊刺)옛날에 쓰던 침법인 12자의 하나. 침을 3대 놓는데 그중 1대는 곧추 놓고 그 양쪽에 각각 1대씩 더 놓는 방법
제장(臍腸)[동의어]제대(탯줄)
제정(帝丁)[동의어]목젖. 제정환 급성신장염으로 오줌량이 줄고 몸이 부으며 혈압이 높고 오줌에 피가 섞여 나오는 데 쓰는 동약처방
제조( )[동의어]굼벵이
제조루( 瘻)누창의 하나
제종풍(帝鐘風)목젖이 부어서 길게 늘어진 것
제주광나무 [의어]넓은잎광나무.[참조]광나무
제중(帝中)[동의어]목젖
제중(臍中)[동의어]임맥의 신궐혈
제중랭(臍中冷)갓난아이의 배꼽이 떨어지기 전에 배꼽으로 한사가 침입하여 생긴 병증.[참조]제중수
제중사변(臍中四邊)경외기혈
제중생탕(臍中生瘡)[동의어]제창
제중수(臍中水)갓난아이의 탯줄을 통해 한습이 침습하여 생긴 병증
제중신편(濟衆新編)동의고전의 하나
제중유혈(臍中流血)[동의어]제혈
제중입효방(濟衆立效方)동의고전의 하나
제중출농(臍中出膿)어린이의 배꼽에서 고름이 나오는 병증
제중출수(臍中出水 )[동의어]제중수
제중출혈(臍中出血)[동의어]제혈
제창(臍瘡)[동의어]제중생창, 제습창. 배꼽에 생긴 창양
제채(薺菜)[동의어]
냉이
제천전(濟川煎)신기부족으로 오줌이 맑고 양이 많으면서 뒤가 굳고 허리가 시큰시 큰 아프며 어깨와 잔등이 시린 데, 허약자, 늙은이들이 병을 앓고 난 뒤에 뒤가 굳은 데 쓰는 동약처방
제출혈(臍出血)[동의어]제혈
제충(諸蟲)①각종 기생충을 합해 이른 말.②각종 기생충병을 합해 이른 말
제충국(除蟲菊)국화과에 속하는 제충국(Chrysanthemum cinerariaefolium Vis.)의 꽃을 말린 것
제탄법(提彈法)[동의어]탄근발락법. 이근수법의 하나
제[저]편초(猪鞭草)[동의어]타래란
제포(提泡)[동의어]발포
제풍(臍風)[동의어]사륙풍, 초생구금, 칠일풍, 풍축. 갓난아이가 경련을 일으키는 병증
제풍삼증(臍風三證)제풍 때 나타나는 3가지 증상
제풍습강활탕(際風濕羌活湯)[동의어]제습강활탕
제풍청비음(除風淸脾飮)이음막에 피모음이 심하며 눈물이 흐르고 눈곱이 끼며 눈이 깔깔한 데 쓰는 동약처방
제하계(臍下悸)배꼽 아래를 눌렀을 때 복대동맥 박동이 세게 느껴지는 곳
제한사(臍寒瀉)[동의어]장한사. 갓 난아이가 속이 차서 설사하는 병증
제향(臍香)[동의어]사향
제허백손(諸虛百損)모든 허증은 여러 가지 허손증을 일으킬 수 있다는 말
제혈(臍血)[동의어]제출혈, 제중출혈, 제중유혈. 배꼽에서 피가 나오는 병증
제형(劑型)동약의 약물형태
제화(制化)사물상호간에 서로 제약하고 발생 변화시키는 관계를 이르는 말
조(爪)손톱 또는 손발톱
조( )배불리 한껏 먹었는데도 곧 배고픈 감을 느끼는 것
조( )[동의어]뽕나무겨우살이
조(燥)①6기의 하나. 가을의 주되는 기후인 건조한 기후.②6음의 하나. 건조한 기운이 병을 일으키는 사기가 된 것
조가(燥 )8가의 하나
조가자(弔茄子)[동의어]자궁탈수
조각( 角)[참조]주염나무열매
조각(阻格)[동의어]격거.[참조]격거
조각대황탕( 角大黃湯)태음인이 오한전율과 함께 열이 몹시 나면서 얼굴과 목덜미가 벌개지며 붓는 데 쓰는 동약처방
조각사(弔脚 )[동의어]곽란전근
조각산( 角散)[동의어]나복고. 갑자기 풍을 맞아 담이 심규에 막혀 의식이 똑똑하지 못하고 목에서 가래끓는 소리가 나는 데 쓰는 동약처방
조각원( 角元)중풍으로 한쪽 팔다리를 잘 쓰지 못하면서 뒤가 굳은 데 쓰는 동약처방
조각자( 角刺)[참조]주염나무가시. 조간 천조와 전간을 합해서 이른 말
조간산(調肝散)달거리장애, 달거리가 끝날 때마다 배가 몹시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조갑(爪甲)[동의어]손발톱
조갑(蚤甲)[동의어]손톱
조강탕(調降湯)기가 치밀어 올라 속이 차고 기침을 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조결(燥結)위장진액의 부족으로 대변이 굳어져서 잘 나오지 않는 증
조경(調經)①월경부조를 치료하는 방법.②달거리를 고르게 한다는 뜻
조경(燥痙)진액이 말라서 생긴 경증의 하나
조경당귀탕(調經當歸湯)음혈부족으로 달거리 날짜가 앞당겨지는 데 쓰는 동약처방
조경산(調經散)충임맥 허손으로 오후에 미열이 나고 손바닥이 달아 오르며 아랫배가 당기면서 배가 불러 오르고 달거리가 고르지 않는 데, 붕루, 냉으로 임신하지 못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조경양혈원(調經養血元)음혈부족으로 달거리가 고르지 못하고 아랫배가 차고 아프면서 임신하지 못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조경종옥탕(調經種玉湯)7정에 상하여 달거리가 고르지 못하고 늘 아랫배가 차서 임신하지 못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조경지대탕(調經止帶湯)자궁내막염, 달거리가 고르지 못하며 이슬이 많은 데 쓰는 동 약처방
조경탕(調經湯)①열입협실로 달거리 때에 열이 나면서 달거리가 멎고 기침을 하며 헛소리를 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②어혈로 아랫배가 아프면서 달거리가 없는 데 쓰는 동약처방
조경활락(調經活絡)경락에 병이 생겼을 때에 적용하는 치료원칙
조계(曹谿)[동의어]독맥의 풍부혈
조계로(曹谿路)[동의어]독맥의 장강혈
조관모급(朝寬暮急)병증상이 아침에는 좀 나았다가 저녁에는 더 심해지는 것을 이른 말
조구(條口)족양명위경의 혈
조극(棗棘)[동의어]사상자(사속, 사미)
조금(條芩)[동의어]속썩은풀
조기(調氣)①[동의어]이기(利氣).②침치료에 쓰이는 말
조기(燥氣)6기의 하나. 가을철의 주되는 기후인 건조한 기후
조기법(調氣法)호흡복기법의 하나
조기상폐(燥氣傷肺)조사(燥邪)에 의하여 폐가 손상된 것
조기환(助氣丸)삼초의 기가 잘 통하지 않아 가슴과 명치 밑이 그득한 데와 현벽, 적취, 기괴가 생긴 데 쓰는 동약처방
조길금 [의어]얼미. 벼과에 속하는 조(Setaria italica Beauv.)의 씨앗을 싹틔워 말린 것
조년(早年)젊었을 때
조농(稠膿)걸쭉한 고름
조다니(鳥 泥)[동의어]해아다
조담(稠痰)[동의어]교담. 몹시 찐득찐득 하고 걸쭉해진 담
조담(燥痰)조사로 폐의 진액
이 졸아서 생긴 담음의 하나
조도음(調導飮)산전 또는 산후에 변비가 생긴 데 쓰는 동약처방
조독(爪毒)손톱으로 긁거나 후빈 후빈 자리가 덧나서 상처가 생기거나 헌데가 악화되는 것
조돌묵( 突墨)[동의어]백초상
조돌중진( 突中塵)[동의어]백초상
조두( 豆)지난날에 팥이나 녹두 같은 것을 갈아서 만들어 쓰던 가루비누
조등고(釣藤膏)어린이가 경풍내조증으로 배가 몹시 아파서 울고 얼굴빛이 파랗게 되며 손발에 경련이 일고 고환이 부으며 흐린 오줌을 누는 데 쓰는 동약처방
조등음(釣藤飮)어린이가 게우고 설사한 탓으로 비가 허해져서 만경풍이 생기는 데 쓰는 동약처방
조등음자(釣藤飮子)어린이가 경풍이나 천조로 갑자기 놀라서 눈알이 뒤집혀지는 데 쓰는 동약처방
조로(早老)나이에 비하여 일찍 늙어 보이는 것. 조롱박 박과에 속하는 조롱박[Lagenaria siceraria(Molina)Standl.]의 열매를 말린 것. 조름나물 용담과에 속하는 조름나물(Menyanthes trifoliata L.)의 옹근풀을 말린 것
조리대잎 [의어]산죽
조리대풀잎 [의어]담죽엽. 벼과에 속하는 조리대풀(Lophatherum gracile Brongn.)의 옹근 풀을 말린 것
조리폐원탕(調理肺元湯)태음인이 중병을 앓고 난 뒤 몸을 조리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조매( 煤)[동의어]백초상
조바리 [의어]조뱅이
조박(糟粕)약이나 음식물 등에서 필요한 것을 뽑아내고 남은 찌꺼기
조반( 礬)[동의어]녹반
조발모해(朝發暮解)병이 아침에 발작하여 하루 종일 앓다가 저녁이 되면 좀 낫는 것
조밥나물 [의어]조팝나물
조뱅이 [의어]소계, 자계, 묘계, 청자계. 국화과에 속하는 조뱅이(Cephalonoplos segetus Kitam.)의 옹근풀을 말린 것. 조뱅이알약 혈소판감소성 자반병으로 출혈증상이 있는 데 쓰는 동약처방
조번(燥煩)몸에 열이 있어서 가슴이 답답하고 괴로워서 몸을 뒤치락거리면서 어찌할 바를 모르는 것
조법( 法)안마법의 하나
조병(阻病)[동의어]오조
조병(調病)병을 치료하는 것
조복(調服)①약 먹는 방법의 하나. 가루약을 물이나 술, 미음 등에 타서 먹는 것.②어떤 약에 다른 약을 넣어서 먹는 것
조비자(糟鼻子)[동의어]주사비
조사(組絲)[동의어]절사(실고추 모양으로 자른 것)
조사(燥邪)6음의 하나
조기(건조한 기후)가 병을 일키는 사기로 된 것
조사범폐(燥邪犯肺)조열사가 폐에 침범하여 생긴 증
조삼(條蔘)[동의어]쇠채
조석(朝夕)아침과 저녁
조선고약(朝鮮膏藥)유옹, 옹저 등으로 부으면서 화끈 달아 오르고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조선동약총서 우리나라에서 오랜 기간 건강증진과 병의 예방치료에 쓰이고 있는 동약들을 종합하여 써놓은 총서(저자 도봉섭, 문관심, 유승철 외 20명. 1979년 상, 하권으로 출판)
조설(早泄)성생활할 때 정액이 지나치게 빨리 나오는 것
조섭(爪攝)침놓은 자리에 기운이 잘 통하지 않을 때 그 경락의 아래위를 엄지손가락 끝이나 손톱으로 꼭꼭 누르는 것
조섭(調攝)병치료를 위하여 위생을 잘 지키고 음식조절을 잘하는 것
조쇠(早衰)일찍이 몸이 쇠약해지는 것
조수(潮水)[동의어]월경
조습(燥濕)①거습법의 하나. 맛이 쓰고 성질이 조(燥)한 약으로 중초의 습을 없애는 방법.②습을 없앤다는 뜻
조습상사탕(燥濕上瀉湯)비위기허로 습이 성하여 명치 밑이 그득하고 부어 오르며 소화가 잘 안되고 게우며 설사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조습탕(燥濕湯)①일반 설사에 쓰는 동약처방.②눈이 붓고 눈물이 나며 아프고 때로 피눈물이 나오는 데 쓰는 동약처방
조습화담(燥濕化痰)①화담법의 하나. 습담을 치료하는 방법. ②습을 없애서 가래가 생기지 못하게 한다는 뜻
조승즉건(燥勝則乾)조기(燥氣)가 치우쳐 성하면 마른다는 뜻
조시(燥屎)장관 속에 있는 굳은 대변
조식(調息)호흡을 조절하는 도인법의 하나.[참조]조기법
조식모토(朝食暮吐)아침에 먹은 것을 저녁 무렵에 게우는 증상.[참조]반위
조신(朝信)[동의어]월경
조신발휵(早晨發 )새벽에 경련을 일으키는 병증
조심( 心)[동의어]조잡
조심토( 心土)[동의어]복룡간
조아(槽牙)[동의어]소구치(작은 어금니)
조약(造藥)지난날 민간요법으로 쓴 약
조약(照藥)동약을 불에 태우면서 그 불을 눈으로 들여다보게 해서 치료하는 약
조양(助陽)[동의어]보양(補陽)
조양(調養)몸을 조리하는 것
조양약(助陽藥)[동의어]보양약
조양제(助陽劑)양기를 보하는 약제
조양해표(助陽解表)치료법의 하나. 신양을 보하면서 해표시키는 방법
조역(燥疫)온역의 하나. 조사에 의하여 생긴 열성 전염병
조연(鳥鳶)[동의어]분란초뿌리
조연(潮涎)가래가 목안에 걸려서 숨쉴 때에 가래끓는 소리가 나는 증
조열(潮熱)발열의 하나. 밀물처럼 일정한 시간에 나는 열
조열(燥
熱)[동의어]조화. ①조사와 열사가 겹친 것.②조사와 열사에 의해서 생긴 병증
조열발휵(潮熱發 )주기적으로 열이 나면서 경련을 일으키는 병증
조열상폐(燥熱傷肺)조열사가 폐음을 상한 것
조열위(燥熱 )조액이 진액을 소모시킨 탓으로 종근(宗筋)을 영양하지 못해서 생긴 위증의 하나
조열해소(潮熱咳嗽)해소의 하나. 조열이 폐의 진액을 소모하여 생긴 기침
조영순기탕(調榮順氣湯)음혈부족과 어혈로 달거리 때 허리와 아랫배가 몹시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조영활락탕(調榮活絡湯)염좌 또는 타박으로 허리를 다쳐 아프고 뒤가 굳은 데 쓰는 동약처방
조요(躁擾)병으로 몸이 괴로워서 팔다리를 가만두지 못하고 몸을 엎치락뒤치락하면서 안절부절 못하는 것
조원(鳥圓)[동의어]분란초뿌리
조원산(助元散)늙은이, 허약한 사람이 입맛이 없고 소화가 안되며 배가 그득하고 트림이 자주 나오는 데 쓰는 동약처방
조원산(調元散)어린이가 기혈부족으로 걸음발이 더딘 데 쓰는 동약처방
조위(調胃)위를 조화시킨다는 말
조위고(助胃膏)어린이가 게우고 설하면서 음식을 잘 먹지 않는 데 쓰는 동약처방
조위승기탕(調胃承氣湯)위에 조열이 성하여 갈증이 나고 대변이 굳으며 배가 뜬뜬하나 트적지근한 감 은 없으면서 소화가 잘 안되는 데 쓰는 동약처방
조위탕(調衛湯)습열이 성해 때없이 땀이 절로 나는 데 쓰는 동약처방
조육평위산(棗肉平胃散)음식에 체하여 가슴과 명치 밑이 그득하고 부어 오르며 입맛이 없고 소화가 안되는 데 쓰는 동약처방
조음(燥淫)6음의 하나
조(건조한 기운)가 지나치게 심해 병인이 된 것
조이하지( 而下之)[동의어]절이산지
조인(棗仁)[동의어]메대추씨
조자( 刺)[동의어]주염나무가시
조자녹반환(棗子綠礬丸)비위에 습열이 몰려서 배가 불러 오르며 입맛이 없고 온몸이 무거우면서 황달이 생긴 데 쓰는 동약처방
조자유지(燥者濡之)[동의어]조자윤지. 모든 조증(燥證)은 눅여주는 약으로 치료해야 하는 원칙
조자윤지(燥者潤之)[동의어]조자유지
조자정(棗者丁)귀먹은 데와 귀에서 소리가 나는 데 쓰는 동약처방
조잡( 雜)[동의어]조심. 명치 아래가 쌀쌀하면서 괴로운 증
조장(調將)몸을 조리하는 것
조장환(釣腸丸)치질과 오래된 치루에 탈황이 겹쳐 항문에서 피고름이 나오는 데 쓰는 동약처방
조저(調疽)엄지손가락에 생긴 저.[참조]저
조전경험방(祖傳經驗方)풍열로 머리가 아프고 어지러우며 때로 열이 나면서 바 람을 싫어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조절(爪切)침놓을 자리를 왼쪽 엄지손가락 끝으로 꼭 누르는 것
조절(躁切)조급해 한다는 말
조점(稠粘)가래, 콧물, 고름 등 분비물이 끈적끈적한 것
조정니(鳥丁泥)[동의어]해아다
조제(條劑)[동의어]약봉
조제(調劑)18제의 하나. 조화시키는 약재나 약제
조제(燥劑)10제, 12제, 18제의 하나. 습을 없애는 약효를 나타내는 동약
조중건비환(調中健脾丸)비신의 기가 허하여 설사가 계속되는 데 쓰는 동약처방
조중순기환(調中順氣丸)기체에 담음이 겹쳐 옆구리가 그득하고 부어 오르며 때로 찌르는 듯이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조중이기탕(調中理氣湯)비위허약으로 중초에 습이 몰려서 온몸이 노곤하고 입맛이 없으며 배가 은근히 아프면서 설사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조중익기탕(調中益氣湯)비위허약으로 온몸이 무겁고 팔다리가 노곤하며 먹은 것이 잘 내려가지 않고 입맛이 없으며 때때로 명치 밑이 아프고 설사하며 때로 대변에 흰곱이 섞여 나오는 데 쓰는 동약처방
조중익위탕(調中益胃湯)비위허약, 음허조열증상이 겹쳐 손발바닥이 달아 오르며 가슴이 답답하고 번열이 나며 입맛이 없고 소화되지 않는 설사에 쓰는 동약처 방
조중탕(調中湯)동약처방. 여러 가지 처방이 있다
조중황토( 中黃土)[동의어]복룡간
조증(燥證)진액이나 혈이 마르는 병증
조증법(糟蒸法)치료법의 하나
조취( 臭)[동의어]누린내. 5취의 하나. 조팝나무가지[참조]조팝나무뿌리
조팝나무뿌리 [의어]목상산. 조팝나무과에 속하는 조팝나무(Spiraea prunifolia Sieb. et Zucc. var. Simpliciflora Nakai)의 뿌리를 말린 것. 조팝나물 국화과에 속하는 조팝나물(Hieracium umbellatum L.)의 옹근풀을 말린 것
조포(早)오후 3시부터 5시까지. 조풀씨 벼과에 속하는 조풀 곧 나도겨이삭(Milium effusum L.)의 씨를 말린 것
조피씨 [의어]초목. 조피나무와 왕조피나무의 씨를 말린 것
조[초]피열매 [의어]산초, 축초, 천초, 파초. 산초과에 속하는 조[초]피나무[Zanthoxylum piperitum(L.)DC.]와 왕조[초]피나무(Z. coreanum Nakai)의 열매를 말린 것
조하파(弔下巴)[동의어]탈구
조한(潮汗)조열이 있으면서 나는 땀
조해(照海)[동의어]음교. 족소음신경의 혈. 8맥의 교회혈이며
족소음과 음교맥의 교회혈
조해(燥咳)[동의어]폐조해소
조해산(調解散)풍진이나 홍역 때 풍한에 상하여 발진이 잘 돋지 않 는 데 쓰는 동약처방
조행원(棗杏元)담으로 숨이 차고 가래가 끓는 데 쓰는 동약처방
조헌영(趙憲泳)(1900.3.27-1988.5.23)동의학 박사
조혈치법(調血治法)달거리가 고르지 못한 것을 치료하는 일반적인 방법
조협( 莢)[참조]주염나무열매
조협자( 莢子)[참조]주염나무열매의 씨
조협자( 莢刺)[동의어]주염나무가시
조협전환( 莢煎丸)①두면풍 때 얼굴에 벌레가 기어다니는 것 같은 감이 있으면서 가려운 데 쓰는 동약처방.②풍담으로 눈앞이 아찔하고 머리가 아프며 어지럽고 구역질이 나는 데 쓰는 동약처방
조호(調護)환자에게 섭생을 잘 지키도록 하는 것
조화(燥火)[동의어]조열(燥熱)
조화간비(調和肝脾)치료법의 하나. 간과 비의 기능을 조화시키는 방법
조화간위(調和肝胃)치료법의 하나. 간과 위의 기능을 조화시키는 방법
조화내장(棗花內障)[동의어]조화예내장
조화백함(燥化白陷)[동의어]화예백함
조화양명(燥化陽明)운기론에서 쓰는 말. 3음3양을 6기에 나누어 소속시킨 것
조화영위(調和營衛)치료법의 하나. 풍사를 몰아내고 영위를 조화시키는 방법
조화예(棗花 )[동의어]조화예내장
조화예내장(棗花 內障)[동의어]조화장, 조화내 장. 원예내장의 하나
조화장(棗花障)[동의어]조화예내장
조화천역(燥火喘逆)천증의 하나. 조열이 폐기를 장애하여 숨이 찬 것
조화현훈(燥火眩暈)현훈의 하나. 조열로 음이나 혈을 상하여 생긴다
조후( 喉)[동의어]첨예습우. 비린내 나는 사마귀
조휵(潮 )주기적으로 일어나는 경련.[참조]급경풍, 만경풍①
조흔( 痕)[동의어]긁은 자리
족(足)발 또는 다리
족경(足硬)[동의어]각경
족경(足經)발에 분포된 경맥을 통틀어 이르는 말
족경랭(足脛冷)정강이가 시리거나 찬 것
족경통(足脛痛)정강이가 아픈 것
족골(足骨)[동의어]발뼈
족관절염좌(足關節捻挫)발목을 잘못 디뎌 생긴 손상
족관절탈구(足關節脫臼)족관절의 관절두와 관절와가 정상적인 접촉상태에서 벗어난 것
족궐음(足厥陰)[동의어]족궐음간경
족궐음간경(足厥陰肝經)[동의어]간족궐음지맥. 12정경의 하나
족궐음경근(足厥陰經筋)[동의어]족궐음지근. 12경근의 하나
족궐음경별(足厥陰經別)[동의어]족궐음지정. 12경별의 하나
족궐음경병(足厥陰經病)족궐음간경에 생긴 병.[참조]족궐음간경
족궐음낙맥(足厥陰絡脈)[동의어]족궐음별락
족궐음별락(足厥陰別絡)[동의어]족궐 음지별, 족궐음낙맥
족궐음지근(足厥陰之筋)[동의어]족궐음경근
족궐음지별(足厥陰之別)[동의어]족궐음별락
족궐음지정(足厥陰之正)[동의어]족궐음경별
족궐음표본(足厥陰標本)[참조]12경표본
족근 [의어]발꿈치. 족근골 발목뼈, 회목뼈, 뒤축뼈, 배모양뼈, 3개의 쐐기뼈, 투자골 등 7개의 작은 뼈로 되어 있다
족근저 [의어]각련근. 발꿈치에 난 저.[참조]저
족근통 [의어]각근통. 발꿈치가 아픈 증
족대지(足大趾)[동의어]대지(엄지발가락)
족두리풀뿌리 [의어]세신. 방울풀과에 속하는 민족두리풀(Asiasarum heterotropoides F. Schm. var. mandshuricum Kitag.)과 족두리풀(A. sieboldii Miquel var. seoulense Nakai)의 뿌리를 말린 것
족등법(足 法)[동의어]족천법. 정골수법의 하나. 탈구된 골두를 발을 이용하여 맞추는 방법
족랭(足冷)[동의어]족청. 발이 찬 증상
족맥(足脈)발에서 보는 맥
족면(足面)[동의어]족부, 족배, 각면, 발등
족발배(足發背)[동의어]족배발, 족부발. 발등에 생긴 옹저의 하나
족배(足背)[동의어]족면(발등)
족배발(足背發)[동의어]족발배
족부(足趺,足 )[동의어]족면(발등)
족부골(足趺骨)[동의어]부골(발몸 뼈)
족부발(足 發)[동의어]족발배
족비(足痺)걷지 못하는 병
족삼리(足三里)[동의어]삼리, 하릉, 귀사. 족양명위경의 혈
족삼양(足三陽)[동의어]족삼양경
족삼양경(足三陽經)12경맥 중에서 족양명위경, 족소양담경, 족태양방광경 등 다리에 분포된 3개 양경맥을 통틀어 이른 말
족삼음(足三陰)[동의어]족삼음경
족삼음경(足三陰經)12경맥 가운데에서 족태음비경, 족궐음간경, 족소음신경 등 다리 안쪽 부위에 있는 3개의 음경맥들을 통틀어서 가리키는 말
족삼초(足三焦)족태양방광경의 별맥
족선(足癬)발에 생긴 무좀
족소양(足少陽)[동의어]족소양담경
족소양경근(足少陽經筋)[동의어]족소양지근. 12경근의 하나
족소양경별(足少陽經別)[동의어]족소양지정. 12경별의 하나
족소양경병(足少陽經病)족소양담경에 생긴 병.[참조]족소양담경
족소양낙맥(足少陽絡脈)[동의어]족소양별락
족소양담경(足少陽膽經)[
동의어]담족소양지맥. 12정경의 하나
족소양별락(足少陽別絡)[동의어]족소양지별, 족소양낙맥. 15낙맥의 하나
족소양지근(足少陽之筋)[동의어]족소양경근
족소양지별(足少陽之別)[동의어]족소양별락
족소양지정(足少陽之正)[동의 어]족소양경별
족소양표본(足少陽標本)[참조]12경표본
족소음(足少陰)[동의어]족소음신경
족소음경근(足少陰經筋)[동의어]족소음지근. 12경근의 하나
족소음경별(足少陰經別)[동의어]족소음지정. 12경별의 하나
족소음경병(足少陰經病)족소음신경에 생긴 병.[참조]족소음신경
족소음낙맥(足少陰絡脈)[동의어]족소음별락
족소음별락(足少陰別絡脈)[동의어]족소음지별, 족소음낙맥. 15낙맥의 하나
족소음신경(足少陰腎經)[동의어]신족소음지맥. 12정경의 하나
족소음지근(足少陰之筋)[동의어]족소음경근
족소음지별(足少陰之別)[동의어]족소음별락
족소음지정(足少陰之正)[동의어]족소음경별
족소음표본(足少陰標本)[참조]12경표본
족소지(足小趾)[동의어]새끼발가락
족소지첨(足小趾尖)[동의어]소지첨. 경외기혈
족심(足心)발바닥의 한가운데
족심발(足心發)[동의어]족심옹
족심열(足心熱)발바닥의 한가운데가 발잔등보다 달아 오르는 감이 있는 것
족심옹(足心癰)[동의어]용천옹, 족심발. 발바닥의 한가운데 용천혈부위에 생긴 옹저의 하나
족심통(足心痛)발바닥 한가운데가 아픈 것
족양명(足陽明)[동의어]족양명위경
족양명경근(足陽明經筋)[동의어]족양명지근. 12경근의 하나
족양명경별(足陽明經別)[동의어]족양명지정. 12경별의 하나
족양명경병(足陽明經病)족양명위경에 생긴 병.[참조]족양명위경
족양명낙맥(足陽明絡脈)[동의어]족양명별락
족양명별락(足陽明別絡)[동의어]족양명지별, 족양명낙맥. 15별락의 하나
족양명위경(足陽明胃經)[동의어]위족양명지맥. 12정경의 하나
족양명지근(足陽明之筋)[동의어]족양명경근
족양명지별(足陽明之別)[동의어]족양명별락
족양명지정(足陽明之正)[동의어]족양명경별
족양명표본(足陽明標本)[참조]12경표본
족연(足軟)[동의어]각연(脚軟)
족오지골(足五趾骨)다섯발가락의 뼈를 합해 이른 말
족요(足 )족소양담경의 양교혈
족위(足 )위증의 하나. 발의 근육이 연약해져서 걷지 못하는 것
족음양(足陰陽)발에 있는 3양, 3음 경맥
족장(足掌)[동의어]발바닥
족저(足底)[동의어]척, 각저판, 발바닥
족절(足節)[동의어]발가락뼈마디
족정(足 )정창의 하나. 발에 생긴 정창을 통틀어 말한다.[참조]정창( 瘡)
족제비싸리씨 [의어]왜싸리씨
족지(足指)[동의어]발가락
족지골(足趾骨)[동의어]지골, 발가락뼈
족지관절탈구(足趾關節脫臼)외력으로 생긴 발가락관절탈구
족천법 [의어]족등법
족청(足淸)[동의어]족랭
족침법(足針法)[동의어]발침법
족태양(足太陽)[동의어]족태양방광경
족태양경근(足太陽經筋)[동의어]족태양지근. 12경근의 하나
족태양경별(足太陽經別)[동의어]족태양지정. 12경별의 하나
족태양경병(足太陽經病)족태양방광경에 생긴 병.[참조]족태양방광경
족태양낙맥(足太陽絡脈)[동의어]족태양별락
족태양방광경(足太陽膀胱經)[동의어]방광족태양지맥. 12정경의 하나
족태양별락(足太陽別絡)[동의어]족태양지별, 족태양낙맥. 15낙맥의 하나
족태양지근(足太陽之筋)[동의어]족태양경근
족태양지별(足太陽之別)[동의어]족태양별락
족태양지정(足太陽之正)[동의어]족태양경별
족태양표본(足太陽標本)[참조]12경표본 족태음(足太陰)[동의어]족태음비경
족태음경근(足太陰經筋)[동의어]족태음지근. 12경근의 하나
족태음경별(足太陰經別)[동의어]족태음지정. 12경별의 하나
족태음경병(足太陰經病)족태음비경에 생긴 병.[참조]족태음비경
족태음낙맥(足太陰絡脈)[동의어]족태음별락
족태음별락(足太陰別絡)[동의어]족태음지별, 족태음낙맥. 15낙맥의 하 나
족태음비경(足太陰脾經)[동의어]비족태음지맥. 12정경의 하나
족태음지근(足太陰之筋)[동의어]족태음경근
족태음지별(足太陰之別)[동의어]족태음별락
족태음지정(足太陰之正)[동의어]족태음경별
족태음표본(足太陰標本)[참조]12경표본
족통(足痛)발이 아픈 증상
족행종(足 腫)무릎에서 발잔등까지 붓는 것
존상입정법(存想入精法)도인법의 하나
졸궐(卒厥)[동의어]폭궐. 갑자기 정신을 잃고 넘어지면서 팔다리가 싸늘해지는 것
졸급심통(卒急心痛)[동의어]졸심통
졸뇌풍(卒腦風)눈병으로 생기는 태양혈부위의 아픔
졸단기(卒短氣)갑자기 숨결이 밭은 것
졸도(卒倒)갑자기 정신을 잃고 넘어지는 증
졸롱(卒聾)[동의어]폭롱. 이롱의 하나. 갑자기 눈에 띌 정도로 청력이 낮아지거나 귀머거리가
되는 것
졸리(卒利)갑자기 생긴 설사증
졸병(卒病)[동의어]급성병. 갑자기 생긴 병
졸사(卒死)갑자기 죽거나 까무러치는 것
졸산(卒疝)갑자기 생긴 산증
졸심통(卒心痛)[동의어]졸급심통. 심통의 하나. 갑자기 가슴이나 명치 밑이 아픈 것
졸아(猝 )[동의어]폭후암
졸암(卒 )[동의어]폭후암
졸연무음(卒然無音)[동의어]폭후암< BR>졸염(卒 )[동의어]가위눌림. 잠을 자다가 꿈속에서 무엇이 덮쳐서 몸을 마음대로 움직이지 못하여 안타까워하는 것
졸오(卒 )갑자기 정신을 잃고 넘어지는 것.[참조]객오
졸요통(卒腰痛)요통의 하나. 갑자기 생긴 허리아픔. 졸인꿀[참조]연밀
졸중(卒中)[동의어]졸중풍
졸중풍(卒中風)갑자기 풍을 맞아서 정신을 잃고 넘어지는 것
졸중풍구급(卒中風救急)갑자기 중풍이 생겨 정신을 잃었을 때의 구급치료
졸천(卒喘)천증의 하나. 갑자기 생긴 숨찬 증
졸통(卒痛)[동의어]졸심통
졸해소(卒咳嗽)[동의어]폭소
졸후비(卒喉痺)[동의어]급후비
좀들깨 [의어]쥐깨. 꿀풀과에 속하는 좀들깨 곧 쥐깨(Mosla grosseserrata Maxim. 또는 Orthodon grosseserratum Kudo)의 옹근풀을 말린 것
좀우산풀 [의어]우산풀. 좁쌀풀 봄맞이과에 속하는 좁쌀풀(Lysimachia davurica Ledeb.)의 옹근풀을 말린 것
좁은잎해란초 [의어]바람난초
종(從)[동의어]종법, 종치법. 5치의 하나.[참조]종치법
종(踵)[동의어]발꿈치
종( )근맥이 늘어난 것
종경(踵經)[동의어]차경
종계( 悸)[동의어]정충
종골(踵骨)[동의어]족근골(발목뼈)
종근(宗筋)①힘줄이 많이 모인 곳을 가리키는 말.②[동의어]전음부.③[동의어]남자의 외생식기인 음경
종근이종(宗筋弛縱)①종근이 이완된 것.②[동의어]음위증
종근지회(宗筋之會)①힘줄이 많이 모인 곳.②[동의어]남자의 외생식기인 음경
종기(宗氣)음식물의 정미로운 물질로 된 곡기와 숨쉴 때 들어온 청기(淸氣)가 결합되어 생긴 기
종기설(宗氣泄)종기가 밖으로 새어 나간다는 뜻
종기입복(腫氣入腹)[동의어]종독입복
종독(腫毒)헌데독 또는 헌데
종독입복(腫毒入腹)헌데의 독이 속으로 들어간 것.[참조]함증
종두(種痘)[동의어]우두
종두법(種痘法)우두를 놓는 방법
종란후옹(腫爛喉癰)[동의어]난후옹. 후옹의 하나
종란후풍(腫爛喉風)폐위에 열이 몰려 있을 때 풍열사의 침습을 받아 생긴 후풍의 하나
종려껍질 [의어]종려피. 종려꽃[참조]종려피. 종려뿌리[참조]종려피. 종려씨[참조]종려피. 종려잎[참조]종려피
종려피(棕櫚皮)종려과에 속하는 종려(Trachycarpus wagnerianus Becc.)의 잎꼭지를 말린 것
종만(腫滿)몸이 붓고 배가 창만한 것
종맥(宗脈)여러 경맥이 모인 곳
종명(鐘鳴)[동의어]자제(子啼)
종모(棕毛)[동의어]종려피
종사(宗司)운기에서는 5운, 5행이 기본이라는 말
종사(縱舍)[참조]영수보사법
종사환( 斯丸)달거리가 고르지 않고 늘 아랫배가 차고 임신 못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종삭(終朔)음력으로 한 해의 마지막 달인 섣달(12월)
종수심(棕樹心)[참조]종려피
종양(腫瘍)①창양이 곪기 전에 부어 오른 것.②몸에 생긴 이상조직이 증식된 것
종양인음(從陽引陰)침을 놓는 방법의 하나
종옥(種玉)[동의어]임신(姙娠)
종용( 蓉)[동의어]육종용
종용원( 蓉元)어린이가 기혈부족으로 머리카락이 잘 나오지 않는 데 쓰는 동약처방
종용윤장환( 蓉潤長丸)[동의어]종침환
종유석(鐘乳石)[동의어]석종유, 석순. 광물성 동약으로 석회동굴 속에 생긴 탄산칼슘(CaCO3)의 고드름
종음인양(從陰引陽)침놓는 방법의 하나
종의(腫醫)지난날에 종치를 잘 치료하는 의사를 가리키던 말
종자(種子)[동의어]임신(姙娠)
종자제음단(種子濟陰丹)기혈부족과 어혈로 아랫배와 허리가 아프고 달거리가 고르 지 못하면서 임신하지 못하는 데와 이슬이 많이 흐르는 데 쓰는 동약처방
종전래(從前來)[동의어]종전래자
종전래자(從前來者)5행의 상생관계에서 아들격에 해당하는 장기에 생긴 병이 어미격에 해당하는 장기에 파급된 것
종정(宗精)신(腎)에 저장되어 있는 정
종정지수(宗精之水)신정이 몸 안의 물을 유지한다는 말
종지기(終之氣)[동의어]육지기. 운기론에서 쓰는 말. 주기의 여섯번째 기
종창(腫脹)①온몸이 붓고 배가 창만한 것을 통틀어 이른 말.②국소가 부어 오르는 것
종창감(腫脹疳)감질의 하나. 어린이가 음식을 잘 먹지 않고 미열이 있으면서 오래 앓다가 얼굴이 붓고 배가 불러 오른 것
종창여배(腫脹如杯)[동의어]포종여도
종취(從取)[동의어]종치법(반치법)
종치(從治)[동의어]종치법
종치법(從治法)[동의어]반치, 반치법. 치료법의 하나. 병증의 가짜증상에 따라서 치료하는 방법. 종침환
(從沈丸)[동의어]종용윤장환. 진액부족으로 변비가 생긴 데와 기가 잘 통하지 않아 배가 불러 오르면서 뒤가 무직하고 굳은 데 쓰는 동약처방
종포(踵 )부으면서 여드름 같은 것이 생기는 것
종풍(從風)바람을 쏘이는 것
종합배혈법(綜合配穴法)배혈법 중에서 몇 가지 배혈법을 동시에 배합하여 쓰는 방법
종행(踵行)발바닥이 다 땅에 닿도록 디디지 못하고 발가락에만 힘을 주면서 걷는 것
종혁(從革)운기론에서 쓰는 말
금운(금세)이 해당한 해를 주관하 는 데서 불급한 것.[참조]불급
종후래(從後來)[동의어]종후래자
종후래자(從後來者)5행의 상생관계에서 어미격에 해당하는 장기에 생긴 병이 아들격에 해당하는 장기에 파급된 것
좌( )동약가공방법의 하나. 동약재를 잘게 자르는 것
좌( )①작은 절(節)
②분자(여드름)
좌간기(左間氣)운기론에서 쓰는 말. 간기의 하나. 객기 6보운동에서 사천, 재천의 왼쪽의 2개의 기
좌간우폐(左肝右肺)[동의어]좌간폐우. 간과 폐의 기능적 특성을 이른 말
좌골신경점(坐骨神經點)[참조]손침요법
좌관맥(左關脈)왼쪽 촌구의 관부위에서 나타나는 맥
좌구(坐灸)[동의어]좌점. 앉아서 뜸을 뜨는 것
좌귀음(左歸飮)신음부족으로 허리가 시큰거리면서 유정이 있고 미열이 나며 어지럽고 귀에서 소리가 나는 데, 입 안이 마르고 식은땀이 나는 데 쓰는 동약처방
좌귀환(左歸丸)신음부족으로 허리와 무릎이 시큰거리고 다리에 힘이 없으며 어지럽고 귀울음이 있으며 식은땀이 나고 때로 유정이 있는 데 쓰는 동약처방
좌금평목(佐金平木)치료법의 하나
폐(금)의 숙강기능을 도와서 간(목)기가 치밀어 오르는 것을 치료하는 방법
좌금환(佐金丸)①간화가 성하여 옆구리가 아 프고 신물이 올라오며 성질이 조급해지고 얼굴이 화끈 다는 데 쓰는 동약처방.②[참조]회금환
좌기생화증(坐起生花症)눈알을 움직일 때 눈앞에서 꽃과 같은 것이 떠다니는 것처럼 느끼는 것
좌도약(坐導藥)[동의어]좌약(坐藥)
좌둔생(坐臀生)[동의어]역산
좌마옹(坐馬癰)옹의 하나. 꼬리뼈부위에 생긴 옹
좌병우취(坐病右取)[동의어]좌취우. 침, 뜸 치료방법의 하나
좌비( )[동의어]좌비창
좌비창( 瘡)[동의어]좌비
뾰두라지(작은 절)와 땀띠를 통틀어 이르는 말
좌비환(佐脾丸)식적으로 명치 밑이 그득하고 가슴이 답답하며 먹은 것이 잘 내려가지 않는 데 쓰는 동약처방
좌산(坐産)①[동의어]피로진통미약. 산부가 피로하여 해산이 지연되는 것.②해산할 때 태아의 엉덩이부터 나오는 것
좌상(挫傷)타박, 압박 또는 둔한 물건 등에 부딪쳐서 생긴 연부조직의 손상
좌생(坐生)[동의어]둔위해산, 좌산. 해산할 때 태아의 엉덩이가 먼저 나오는 이상해산
좌설풍(坐舌風)[동의어]설창(舌瘡)
좌섬(挫閃)[동의어]섬좌
좌섬요통(挫閃腰痛)[동의어]섬좌요통, 궤요통. 요통의 하나
좌신우명(左腎右命)장상론에서 왼쪽 콩팥은 신, 오른쪽 콩팥을 명문이라고 이른 말
좌신우명문(左腎右命門)왼쪽 콩팥은 신이고 오른쪽 콩팥은 명문이라는 말
좌애(坐碍)탯줄이 아이 목을 감고 나오는 해산장애
좌약(坐藥)동약제형의 하나. 약물을 기초제에 고루 섞어서 일정한 모양으로 만들어 항문, 요도, 질 등에 넣어 주는 외용약
좌약(佐藥)동약처방에서 주약의 치료작용을 돕거나 겸증을 치료하며 또 주약의 독작용을 억제하거나 없애는 약재
좌외(左歪)해산 때 태아머리회선 이상으로 태아만출이 장애되는 것
좌요(左拗)왼쪽 자개미부위
좌욕(坐 )[동의어]임산
좌우편두풍증(左右偏頭風症)한쪽에 치우쳐 머리와 눈이 아프거나 잘 보지 못하는 증
좌월(坐月)[동의어]임산(해산할 달)
좌이롱(左耳聾)왼쪽 귀가 먹은 것
좌점(坐點)[동의어]좌구
좌척맥(左尺脈)왼쪽 촌구의 척부위에 나타나는 맥
좌초(坐草)[동의어]임산
좌촌맥(左寸脈)왼쪽 촌구의 촌부위에서 나타나는 맥
좌취우(左取右)[동의어]좌병우취
좌통(坐桶)[동의어]해산
좌파(坐婆)[동의어]조산원
좌판창(坐板瘡)[동의어]풍감. 좌비창의 하나. 둔부에 생긴 뾰두라지와 땀띠
좌표우리설(左表右裏說)옛날에 왼쪽 촌구맥에서 표증을 관찰하고 오른쪽 촌구 맥에서 이증을 관찰한다는 이론
좌협통(左脇痛)협통의 하나
주( )①[동의어]팔굽.②[동의어]팔굽마디
주( )전염성을 띠면서 병경과가 오랜 만성질병
주(湊)①모인다, 머무르다, 스며들다, 침범하다 등 여러 가지 뜻으로 쓰인다.②[동의어]주( )
주가(酒 )술이 원인이 되어 생긴 가(*)
주갈(酒渴)술을 마신 후에 생긴 갈증
주갑(周甲)[동의어]환갑
주객(主客)운기론에서 쓰는 말. 주기와 객기를 합해서 이른 말
주객(酒客)늘 술을 자주 마시는 사람 또는 술을 많이 마시는 사람
주객배혈법(主客配穴法
)[동의어]원락(原絡)배혈법
주거환(舟車丸)중초에 습열이 성하여 몸이 붓고 헛배가 부르며 숨이 차고 구갈이 있으며 대소변이 잘 나가지 않는 데 쓰는 동약처방
주경(週經)[동의어]피년(避年)
주경원(駐景元)간, 신이 허하여 눈앞에 검은 꽃무늬 같은 것이 나타나면서 잘 보이지 않는 데와 예장이 생긴 데 쓰는 동약처방
주경환(駐景丸)심신이 허하고 기혈이 부족하여 눈이 잘 보이지 않는 데 쓰는 동약처방
주곡(周谷)[동의어]수양명대장경의 이간혈
주곤증(酒困症)술을 지나치게 마셔 피곤을 느끼는 증상
주골 [의어]쇄골
주골( 骨)[동의 어]아비골. 팔굽마디를 이루는 뼈
주골(柱骨)제7경추극상돌기
주공(注恐)심하게 놀란 것
주관절( 關節)팔굽마디 1개의 뼈마디주머니 속에서 위팔뼈, 자뼈, 노뼈의 뼈마디면들이 결합되어 이루어진 복잡한 뼈마디
주관절염좌( 關節捻挫)주관절이 비틀려 생긴 손상
주관절탈구( 關節脫臼)주관절부위에 가해진 외력에 의해 상박골 소두가 관절와에서 빠져 나온 것
주구(酒灸)[동의어]주초(동약재를 술에 축여서 볶은 것)
주궐(酒厥)궐증의 하나. 술을 많이 마신 탓으로 습열이 쌓여 생긴다
주귀음(酒歸飮)머리에 생긴 습창에 쓰는 동약처방
주기(主氣)운기론에서 쓰는 말. 4철 24절기에 풍, 열(서), 습, 화, 조, 한의 6기가 땅 위에서 기후의 주요 표현으로 나타나는 것
주기(周氣)운기론에서 쓰는 말. 주와 기를 합해서 이른 말
주기(酒氣)[동의어]술기운. 술의 성질과 작용
주담(酒痰)술을 많이 마셔 생긴 담음의 하나
주달(酒疸)[동의어]주황달. 황달의 하나
주도지관(州都之官)[동의어]방광(膀胱)
주독후비(酒毒喉痺)술을 지나치게 마셔 생긴 후비의 하나
주독후풍(酒毒喉風)술을 많이 마셔 후풍이 된 것
주돈제(酒燉製)주제의 하나. 약재를 술에 담가 곰하는 것
주돌출광증(珠突出 症)흑정(각막)이 검렬 밖으로 도드라져 나온 것
주령(朱 )[동의어]저령
주례(酒醴)[동의어]주제(약술)
주로(酒勞)허로의 하나. 술을 많이 마신 탓으로 생긴 허로증. 주료[참조]주요
주리( 理)①살갗, 근육, 장부의 문리(결)와 살갗이나 근육조직간극의 결합조직.[참조]피주, 기주 등.②땀구멍과 살갗이라는 뜻
주마(周麻)[동의어]승마
주마감(朱馬疳)[동의어]주마아감
주마아감(走馬牙疳)[동의어]주마감. 아감의 하나
주마황(走馬黃)황달의 하나
주마후감(走馬喉疳)후감이 몹시 급하게 진행되는 것.[참조]후감
주마후비(走馬喉痺)후비의 하나. 갑자기 목구멍이 부어서 막혀 숨쉬기장애와 음식을 먹지 못하는 위급한 증
주마후풍(走馬喉風)후풍의 하나. 후풍이 몹시 급하게 진행되는 것
주망( 網)팔굽이 오그라드는 것
주먹참외 [의어]왕과, 토과. 박과에 속하는 주먹참외(Thladiantha dubia Bunge)의 열매를 말린 것
주먹참외뿌리 [의어]왕과근, 토과근. 주먹참외의 뿌리를 말린 것
주먹참외씨 [의어]왕과자, 왕과인, 토과인. 박과에 속하는 주먹참외(Thladiantha dubia Bunge)의 여문씨를 말린 것
주모(珠母)[ 동의어]진주모
주모선 [의어]백독창. 주목껍질[참조]주목피
주목피(朱木皮)주목과에 속하는 주목나무(Taxus cuspidata Sieb. et Zucc.)의 껍질을 말린 것
주문법(呪文法)[동의어]주법
주박충(主簿蟲)[동의어]전갈
주반산(朱礬散)어린이가 심비에 열이 성하여 생긴 아구창으로 입 안이 헐어서 젖을 빨지 못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주방의(走方醫)[동의어]민간의사
주법(呪法)[동의어]주문법. 옛날 사람들이 병을 주문을 외워서 치료하려고 하던 미신적인 방법
주벽(酒癖)[동의어]주징. 벽의 하나. 술을 많이 마셔 뱃속에 뜬뜬한 덩이가 생긴 것
주보좌사(主輔佐使)[동의어]군신좌사
주부(主簿)지난날에 민간에서 동약방을 차려놓고 병을 진찰하고 약을 지어주던 동의사
주분(朱粉)[동의어]황단
주비(周痺)기가 허한 데다 풍한습의 사기가 혈맥과 기육에 침범해서 생긴 비증의 하나
주사(朱砂)[동의어]경면주사, 진사, 단사, 광명사. 황화물동약으로 황화수은(HgS)을 주성분으로 하는 천연광석
주사비(酒 鼻)[동의어]비적, 비사, 비홍증, 사사, 비준홍, 폐풍분자, 조비자, 준적. 코끝이 빨갛게 되는 병증
주사안신환(朱砂安神丸)심화가 성하거나 음혈부족으 로 가슴이 두근거리고 불안하며 번열감이 있으면서 잘 놀라며 잠을 자지 못하고 꿈이 많으며 어지러운 데 쓰는 동약처방
주사양격환(朱砂凉膈丸)상초에 허열이 성하여 입 안과 코가 마르고 헐며 가슴이 답답하고 불안하며 잘 놀라는 데 쓰는 동약처방
주사익원산(朱砂益元散)소양인이 여름철에 더위를 먹은 데 쓰는 동약처방
주사전(朱砂煎)간허적열외장, 취성장, 목감(木疳)등에 쓰는 동약처방
주사황련환(朱砂黃
連丸)술을 많이 마신 탓으로 위열이 성하여 생긴 소갈 때 입 안이 마르고 찬물을 많이 마시며 가슴이 두근거리는 데 쓰는 동약처방
주상(酒傷)[동의어]상주. 술을 지나치게 마셔 생긴 병증
주상와(舟牀窩)[동의어]이주(耳舟)
주색(主色)건강한 사람의 본래의 피부색
주선령환(酒仙靈丸)여러 가지 신경통에 쓰는 동약처방
주설(注泄)소화되지 않는 물 같은 설사를 하는 것
주설(酒泄)술을 지나치게 마셔서 생긴 설사의 하나
주세(酒洗)수제의 하나. 동약재를 술에 씻는 것
주소( 所)팔굽의 바깥쪽
주소(酒嗽)해소의 하나
주소( 嗽)[동의어]노소
주쇄제(酒 劑)주제의 하나. 광물성 동약을 벌겋게 달구었다가 빨리 술에 담그는 것.[참조]주 제(酒劑)
주수(酒水)술과 물을 합해서 이른 말
주승마(周升麻)[동의어]승마
주시(周時)하루 밤낮
주시( 市)경외기혈
주신탈피(周身脫皮)[동의어]탈각. 온몸의 각질이 벗겨지는 증
주심통( 心痛, 注心痛)[동의어]주통. 갑자기 놀라거나 무서움을 타면 생기는 심통의 하나
주아 [의어]충치(蟲齒)
주아( )[동의어]진후실음
주안(駐顔)①얼굴이 늙지 않고 그대로 있다는 말.②젊은 사람의 얼굴과 같다는 뜻
주액( 腋)팔꿈치와 겨드랑이
주양(走陽)①정액이 멎지 않고 계속 흘러내리는 것.②[동의어]몽설
주열(晝熱)어린이가 매일 9시-13시 사이에 열이 나고 밤이 되면 놀라는 증
주열이명(酒熱耳鳴)이명의 하나. 술을 마신 뒤에 이상적으로 귀에서 나는 소리(귀울음)
주염[쥐엄]나무가시 [의어]조각자, 천정. 차풀과에 속하는 주염(쥐엄)나무의 가시를 말린 것
주염[쥐엄]나무씨 [의어]조협자.[참조]주염나무가시
주염[쥐엄]나무열매 [의어]조협, 조각. 차풀과에 속하는 주염[쥐엄]나무(Gleditsia japonica Miq. 또는 G. horrida Mak.)의 익은 열매를 말린 것
주영(周盈)[동의어]단국화
주영(周榮)족태음비경의 혈
주옹( 癰)팔꿈치에 생긴 옹저< BR>주완(走緩)발 안쪽 복사뼈부위에 난 헌데
주요( )수양명대장경의 혈
주운(主運)운기론에서 쓰는 말. 5운에 맞추어 1년을 봄, 여름, 늦은 여름(장하), 가을, 겨울 등 5계절로 나누어 놓은 것
주유(侏儒)키가 지나치게 작은 아이
주음복(酒飮服)가루약이나 알약은 술이나 미음으로 먹는 것
주자(珠子)[동의어]진주
주자(酒刺)[동의어]분자(粉刺)
주자(酒炙)[동의어]주초(동약재를 술에 축여서 볶은 것)
주자(酒煮)주제의 하나. 동약을 술에 넣고 삶아내는 것.[참조]주제(酒劑)
주자당귀환(酒煮當歸丸)양기가 허하여 허리 아래가 몹시 차고 얼굴에 핏기가 없으 며 눈이 잘 보이지 않고 어지러우며 몸이 무겁고 여위는 데, 퇴산, 각기 등에 쓰는 동약처방
주자독서환(朱子讀書丸)[동의어]독서환
주자황(珠子黃)[동의어]마아
주작환(朱雀丸)심신불교로 정신이 안정되지 못하고 어리둥절하며 잘 잊어버리고 가슴이 두근거리는 데 쓰는 동약처방
주적(酒積)술에 상해서 생긴 적
주적변혈(酒積便血)술을 자주 마시거나 많이 마셔서 생긴 변혈의 하나
주적복통(酒積腹痛)복통의 하나. 술독이 몰려서 생긴 배아픔
주적환(酒積丸)주적으로 얼굴이 거무스레하 고 배가 그득하며 불러 오르고 때로 메스꺼우면서 멀건 가래 같은 물을 게우는 데 쓰는 동약처방
주전(主田)[동의어]감수
주전( 前)팔굽의 안쪽기슭
주전화단(朱田火丹)단독의 하나. 단독이 먼저 등에 생겼다가 온몸에 퍼지면서 하루 사이에 허는 것
주절정 [의어]사절정. 손발가락마디에 생긴 정창
주정(酒精)[동의어]술
주제(酒製)동약법제방법의 하나. 동약을 술에 법제하는 것
주제(酒劑)[동의어]주례. 동약제형의 하나. 동약을 술에 넣어서 우린 약술
주제병(酒製餠)동약법제방법의 하나. 동약을 삶아서 적당한 양의 술과 밀가루를 섞어 반죽하여 떡처럼 빚어 말린 것
주주(走注)[동의어]풍비(風痺)
주주(酒 )10주의 하나. 술을 마시는 사람에게 전염된 노채
주주기통(走注氣痛)아픔이 여기저기로 이동되는 것
주증(主證)①주되는 병증.②병증 때 나타나는 여러 증상 가운데서 기본이 되는 증상
주증(酒蒸)주제의 하나. 동약을 술에 재었다가 찌는 것
주징(酒 )[동의어]주벽
주차주선(注車注船)[동의어]훈차훈선
주창( 脹)[동의어]고주(蠱注)
주창(酒脹)주독으로 인한 습열로 생긴 창만의 하나
주첨( 尖)①팔꿈치의 끝.②경외기혈.③[동의 어]수양명대장경의 주요혈
주초(酒炒)[동의어]주자, 주적, 주구, 주초제. 주제의 하나. 동약재를 술에 불려서 누렇게 되도록 볶은 것
주초(酒草)술과 담배를 합해서 이른 말
주초제(酒炒製)[동의어]주초(동약재를 술에 불려서 볶은 것)
주추( 椎)경외기혈
주취욕사(酒醉欲死)술을 지나치게 마시고 몹시
취한 위급한 상태
주치(酒痔)치질의 하나. 술을 마시기만 하면 항문이 붓고 아프며 때로 피가 나오는 증상이 심해지는 것
주치(酒漬)법제방법의 하나. 동약재를 술에 적셔내는 것
주침(酒浸)주제의 하나. 동약재를 술에 담그는 것
주침전(朱沈煎)어린이가 습열에 성하여 열이 나면서 잘 놀라고 게우며 설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주통( 痛, 注痛)[동의어]주심통
주포(走哺)위로는 구역질을 하고 아래로는 대소변을 누지 못하는 것
주풍(酒風)[동의어]누풍
주풍각(酒風脚)술을 과하게 마셔 발이 붓고 아픈 것
주피추창(走皮趨瘡)창양의 하나. 콩알이나 매화씨 크기의 헌데가 볼이나 목에 많이 나서 점차 양쪽 귀, 머리, 손 등에 퍼져가며 진물이 나고 짓무르며 벌겋게 되고 딱지가 앉는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증
주하(注下)[동의어]수양변설사. 물을 쏟는 것같이 설사하는 것
주하(注夏)경외기혈
주하( 夏)[동의어]하주, 주하병. ①서병의 하나. 여름을 타는 증.②허로병의 하나
주하리(注下痢)①물을 쏟는 것처럼 설사하는 병증.②[동의어]동설주하
주하병( 夏病)[동의어]주하( 夏)
주하적백(住下赤白)[동의어]적백리
주한후풍(酒寒喉風)술을 마신 뒤에 한사의 침입을 받아 생긴 후풍의 하나
주혈(主穴)침, 뜸 치료에서 해당 질병 치료에 쓰는 가장 중요한 혈
주혈(注穴)수족3양경의 5유혈 중에서 유혈
주형(珠形)[동의어]구형
주황(走黃)헌데의 독이 경맥을 따라 심에 들어가서 속이 답답하고 게우며 오슬오슬 춥고 열이 나며 정신이 흐려지는 등의 독혈증증상이 나타나는 증.[참조]정창주황
주황달(酒黃疸)[동의어]주달
주후( 後)팔굽의 바깥쪽 기슭
주후두통(酒後頭痛)[동의어]상주두통. 두통의 하나. 술을 많이 마셔서 생긴 머리아픔
주후토혈(酒後吐血)[동의어]상주구혈. 토혈의 하나
죽고(竹膏)[동의어]참대속진
죽근칠(竹根七)[동의어]죽절인삼(竹節人蔘)
죽당(竹糖)[동의어]참대속진
죽대둥굴레 [의어]낚시둥굴레
죽력(竹瀝)[참조]참대기름
죽력달담환(竹瀝達痰丸)[동의어 ]죽력운담환. 담연이 흉격에 몰려 숨이 차고 정신이 흐릿하며 가슴과 명치 밑이 그득하고 아프며 어지럽고 눈앞이 아찔한 데와 담이 성하여 생긴 궐역, 경간 등에 쓰는 동약처방
죽력운담환(竹瀝運痰丸)[동의어]죽력달담환
죽력음자(竹瀝飮子)중풍으로 반신을 잘 쓰지 못하고 말을 제대로 하지 못하며 가슴이 답답하고 정신이 흐리터분한 데 쓰는 동약처방
죽력지출환(竹瀝枳朮丸)늙은이나 허약한 사람이 담음으로 배가 그득하고 메스꺼우며 입맛이 없고 소화가 안되면서 어지럼증이 나고 가래가 성한 데 쓰는 동약처방
죽렴(竹簾)옛날 정골 도구의 하나
죽령(竹 )[동의어]뇌환
죽목(竹木)[동의어]비해( )
죽사초(竹似草)아편꽃과에 속하는 박락회(Nacleya cordata R. Brown 또는 Bocconia cordata)의 옹근풀을 뿌리째로 말린 것
죽식(粥食)죽과 밥을 합해서 이른 말
죽여(竹茹)[참조]참대속껍질
죽여온담탕(竹茹溫膽湯)상한으로 열이 심하고 꿈이 많으며 가슴이 답답하며 잠을 잘 자지 못하고 가래가 끓는 데 쓰는 동약처방
죽여탕(竹茹湯)①입쓰리 때 담이 성하여 가슴이 그득하고 두근거리며 걸쭉한 침을 게우면서 음식을 먹지 못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②어린이 가 속이 달아 오르고 답답해 하며 찬 음식을 좋아하고 때로 메스껍고 게우는 데 쓰는 동약처방
죽엽(竹葉)[참조]참대잎
죽엽문동청(竹葉門冬靑)[동의어]조대리풀잎
죽엽방풍탕(竹葉防風湯)산후에 풍한에 상하여 몸에 열이 나면서 머리가 아프고 뼈마디가 쏘며 기침을 하고 가래가 나오는 데 쓰는 동약처방
죽엽사경탕(竹葉瀉經湯)풍열로 눈이 깔깔하고 아프며 눈곱이 많이 끼면서 잘 보이지 않는 데 쓰는 동약처방
죽엽석고탕(竹葉石膏湯)열병을 앓고 난 뒤, 기혈부족으로 열이 나면서 목이 마르고 갈증이 나며 가슴이 답답한 데, 입 안이 허는 데, 숨이 차고 가슴이 답답하며 기침을 하고 게우는 데 쓰는 동약처방
죽엽옥녀전(竹葉玉女煎)온열병을 앓을 때 귀에서 소리가 나며 잘 들리지 않고 헛구역질을 하면서 번갈증이 나는 데와 손발이 오그라드는 데 쓰는 동약처방
죽엽채(竹葉菜)[동의어]닭개비
죽엽탕(竹葉湯)임신부가 실열로 번조증이 나고 태동이 있어 불안한 데 쓰는 동약처방
죽엽황기탕(竹葉黃 湯)옹저나 악창 때 열독이 심하여 열이 나고 갈증이 나는 데 쓰는 동약처방
죽장(竹杖)①경외기혈.②[동의어]독맥의 명문혈
죽절골(竹節骨)[동의어]수지골(손 가락뼈)
죽절삼(竹節參)[동의어]죽절인삼
죽절삼칠(竹節三七)[동의어]죽절인삼
죽절오두(竹節烏頭)[동의어]바꽃 죽절인삼(竹節人蔘)오갈피나무과에 속하는 죽절인삼(Panax japonicum C. A. Meyer.)의 뿌리줄
기를 말린 것
죽절향부(竹節香付)[동의어]꿩의바람꽃뿌리
죽즙(竹汁)[동의어]참대기름
죽청(粥淸)[동의어]죽 웃물
죽피(竹皮)[동의어]참대속껍질
죽피소요산(竹皮消遙散)상한병을 앓고 난 뒤에 기혈이 회복되지 못하고 사열이 완전히 없어지지 않았는데 몸조리를 잘하지 못해서 병이 다시 도진 데와 음양역 등에 쓰는 동약처방
죽황(竹黃)[참조]참대속진. 준 피부가 트는 것. 준각 임신 때 다리가 붓는 것
준게 [의어]준열. 피부가 거칠어지거나 트는 것
준두(準頭)①비첨(코끝 또는 코끝부위).②[동의어]독맥의 소요혈
준보(峻補)①보법의 하나. 몹시 허한 병증을 작용이 센 보약으로 치료하는 방법.②세게 보한다는 뜻. 준열 피부가 거칠어지거나 트는 것
준오(準烏)[동의어]바꽃
준적(準赤)[동의어]주사비
준제(峻劑)작용이 센 동약재
준천환(濬川丸)수종으로 온몸이 붓고 배가 불러 오르며 숨이 차고 음식을 먹지 못하며 대소변이 잘 나가지 않는 데 쓰는 동약처방
준하(峻下)하법의 하나. 센 설사약이나 축수약으로 실증변비, 냉적, 수음이 머물러 있는 것을 치료하는 방법
중(中)①사기(邪氣)의 침입을 받는 것을 말하거나 또는 좋지 못한 기운에 상하는 것.②가운데나 속
중갈(中喝)[참조]중서①
중감(重感)거듭 사기가 침범한 것
중강(重强)비병으로 몸이 무겁고 혀가 뻣뻣해지는 것
중객(中客)[동의어]객오
중객오(中客 )[동의어]객오
중견정(中肩井)[동의어]수양명대장경의 견우혈
중경(中經)중풍증상의 하나. 풍이 경맥을 상한 것인데 중경과 중락을 통틀어 이르는 말
중경락(中經絡)중풍증상의 하나. 풍이 경맥과 낙맥을 상한 것
중계(中溪)[동의어]수독
중공(中工)지난날에 중간 정도의 기술을 가진 사람
중공(中空)족태양방광경의 중요혈
중관(中關)[동의어]기관(氣關)
중괴(中魁)①경외기혈.②[동의어]수양명대장경의 양계혈
중극(中 )①[동의어]수소음심경의 신문혈.②[동의어]족궐음간경의 중도혈.③[동의어]족태양방광경의 위중혈
중극(中極)[동의어]옥천, 기원, 방광모. 임맥의 혈. 방광의 모혈이며 임맥, 족삼음경의 회혈
중기(中氣)①중초의 기. 음식물을 소 화하여 흡수하고 배설하는 비위의 생리적 기능.②[동의어]비기.③[동의어]기중. 유중풍의 하나.④운기론에서 쓰는 말. 중현의 기
중기(中 )[동의어]기병(*病)
중기부족(中氣不足)비위의 기가 허약해진 병증
중기하함(中氣下陷)[동의어]비기하함, 기허하함. 비기가 허해서 장부들이 아래로 처지는 병증
중단전(中丹田)[동의어]심와부위
단전(기공요법 때 정신을 집중하는 곳)의 하나
중대(重臺)[동의어]현삼
중대가리풀 [의어]토방굴
중대력(重臺 )나력 때 멍울이 속과 겉에 여러 층으로 3-5개가 한 곳에 생긴 것
중도(中都)①족궐음간경의 혈. 간경의 극혈.②경외기혈.③[동의어]수소음신경의 신문혈(神門穴)
중독(中瀆)족소양담경의 혈
중독기토하(中毒氣吐下)어린이가 독이 있은 음식이나 약을 먹고 게우며 설사하는 병증
중독지관(中瀆之官)[동의어]삼초
중독지부(中瀆之府)[동의어]삼초
중동비(仲冬痺)수태음경근의 병.[참조]수태음경근
중동자(重瞳子)한 눈에 눈동자가 2개 이상 있는 것
중락(中絡)중풍증상의 하나. 풍이 낙맥을 상한 것
중려내유(中 內兪)[동의어]족태양방광경의 중려유혈
중려유(中 兪)[동의어]중려내유, 척내유. 족태 양방광경의 혈. 중료[참조]중요
중루(重樓)[동의어]낚시둥굴레
중만(中滿)뱃속이 그득한 것
중만분소탕(中滿分消湯)중만이나 한창으로 속이 그득하고 대소변이 잘 나가지 않으며 팔다리가 차고 명치 밑이 무직하면서 메스꺼우며 헛배가 불러 오르는 데 쓰는 동약처방
중만분소환(中滿分消丸)중만과 열창, 고창, 기창, 수창으로 배가 불러 오르고 아프 면서 대소변이 잘 나가지 않는 데 쓰는 동약처방
중맥(中脈)[동의어]중혈맥
중무기(中霧氣)맑은 기운(淸陽氣)이 있어야 할 부위에 탁한 음사가 침범하여 생긴 병증
중발배(中發背)[동의어]대심발. 발배의 하나. 제9-10흉추 극상돌기(근축혈)부위에 난 발배
중발저(中發疽)배꼽에서 위로 2치 되는 곳에 생긴 옹저.[참조]충저①
중방(中方)처방종류의 하나. 대방과 소방의 중간에 해당되게 만든 처방
중방(重方)먼저 기방(氣方)을 써서 병이 낫지 않으면 재차 우방을 쓰는 것
중배설(中焙舌)붉어진 혓바닥 가운데 마르고 검은 색을 띠는 이끼가 두껍게 낀 혀
중봉(中封)[동의어]현천. 족궐음간경의 혈
중봉화(中逢花)[동의어]나리
중부(中府)[동의어]폐모, 응유, 응중유. 수태음폐경의 혈. 폐의 모혈이며 수, 족 태음경의 교회혈
중부(中腑)①중풍증상의 하나. 풍이 부(腑)를 상한 것
②위(胃)나 비위. 중부상
(中附上)관맥을 보는 부위.[참조]촌관척
중부장(中腑臟)[동의어]중장부
중불승(重不勝)팔다리가 무거워서 들지 못하는 것
중비적(中脾積)[동의어]비중적
중삭(仲朔)[동의어]중월(음력 2, 5, 8, 11월)
중상(重箱)[동의어]나리
중서(中暑)①[동의어]중갈. 여름철 무더울 때 더위를 받아 생긴 중한 병증.②[동의어]서풍, 서궐.③[동의어]음서(陰署)
중서토혈(中暑吐血)토사가 심에 몰려 생긴 토혈의 하나
중서현훈(中暑眩暈)[동의어]모서현훈, 감서현훈. 현훈의 하나
중석저(中石疽)석저의 하나. 자개미부위에 생긴 석저.[참조]석저
중설(重舌)[동의어]명자설, 중설풍, 입 안병. 혀 밑에 있는 혈맥과 연비조직이 부어서 작은 혀 같은 것이 생긴 병증
중설구창야제(重舌口瘡夜啼)야제증의 하나.[참조]중설, 구창(口瘡)
중설찰법(重舌擦法)중설 때 문지르는 치료방법
중설풍(重舌風)[동의어]중설
중소(中消)[동의어]소중, 소비, 위소, 비소. 소갈의 하나
중쇄(中灑)[동의어]수독
중수(中水)[동의어]수독
중수(中守)[동의어]임맥의 수분혈
중습(中濕)①[동의어]습비.②외감이나 내상 때 습으로 인해서 나타나는 증상
중습비뉵(中濕鼻 )비뉵의 하나. 습이 경맥을 막아 생긴 코피
중식(中食)[동의어]식중. 유중풍의 하나
중신(重身)[동의어]임신(姙娠)
중실(重實)①실한 것을 더 실하게 한다는 말.②증상이 심하고 맥이 실한 것
중아 [의어]충치(蟲齒)
중악 ①[의어]중악풍. 입 안이 허는 증.②[동의어]수옹
중악(中惡)[동의어]악중. ①유중풍의 하나.②어린이 진기가 쇠약한 증
중악곽란(中惡 亂)곽란의 하나
중악사간(中惡似 )[동의어]급경풍류증의 하나
중악풍 [의어]중악
중앙여태(中央 兌)경외기혈
중약초(重藥草)[동의어]약모밀
중양(中陽)중초의 양기. 비양과 위양
중양(重陽)양이 중첩되어 양이 최대로 왕성해지는 것
중양부진(中陽不振)중초(비위)의 양기가 허하여 소화기능이 장애된 증
중양지인(重陽之人)양기가 몹시 왕성한 사람
중양필음(重陽必陰)[동의어]중열즉한. 양이 중첩되어 최대로 왕성해지면 반드시 음으로 이행한다는 말
중언(重言)말이 더듬거려지면서 잘 나오지 않는 것
중열(中熱)①서병의 하나.②가슴 또는 심에 열이 있는 것
중열심통(中熱心痛)① 열을 받아 명치 밑이 아픈 증.②[동의어]열심통(熱心痛)
중열즉한(重熱則寒)[동의어]중양필음
중오절(重五節)[동의어]단오
중완(中脘)①위 안의 한가운데.②혈 이름
중완저(中脘疽)중완혈부위에 생긴 저.[참조]저
중완통(中脘痛)중완부위가 아픈 것
중외(中外)①이와 표.②이증과 표증
중요(中 )[동의어]중공. 족태양방광경의 혈. 족태양, 족소양, 족궐음의 회혈
중운(中運)운기론에서 쓰는 말
천간(10간)이 통솔하는 토운, 금운, 수운, 목운, 화운 등 5운을 통틀어 이르는 말
중월(仲月)[동의어]중삭. 봄, 여름, 가을, 겨울 등 4철에서 매철의 가운데 달인 음력 2월, 5월, 8월, 11월을 합해서 이른 말
중은(重 )[동의어]중치. 잇몸이 붓는 증
중음(重陰)음이 중첩되여 음이 최대로 왕성해지는 것
중음필양(重陰必陽)[동의어]중한즉열. 음이 중첩되어 최대로 왕성해지면 반드시 양으로 이행한다는 말
중이(中耳)가운데 귀
중인(中人)[동의어]객오
중장(中臟)중풍증상의 하나. 풍이 장(臟)에 침범한 것
중장부(中臟腑)[동의어]중부장. 중풍증상의 하나. 사기가 장과 부에 침범한 중장과 중부를 통틀어 이르는 말
중저(中渚)[동의어]하도. 수소양 삼초경의 혈
중절(中節)손발가락의 가운데마디뼈
중절정(中節 )[동의어]사복정
중정(中庭)임맥의 혈
중정지관(中正之官)[동의어]담(膽).[참조]담주결단
중정지부(中正之府)[동의어]담(膽)
중제(重劑)10제 또는 12제의 하나. 심신을 안정시키는 질량이 무거운 약제와 약재
중주(中州)비 또는 비위라는 뜻
중주(中注)족소음신경의 혈. 족소음, 충맥의 회혈
중증(重證)매우 중한 병증 또는 중한 병증상
중지(中指)[동의어]가운데손가락
중지(中趾)[동의어]가운데발가락
중지동신촌(中指同身寸)지촌법의 하나
중진안신(重鎭安神)[동의어]진심. 안심법의 하나. 광물성 약물이나 조개류의 껍질 같은 질량이 무거운 진정약으로 정신이 불안한 것을 치료하는 방법
중천(中泉)[동의어]지천. 경외기혈
중청(中淸)①속이 찬 것.②[동의어]담(膽)
중청(重聽)[동의어]이중청. 청력이 감퇴되어 말과 소리를 잘 듣지 못하는 증
중청지부(中淸之府)[동의어]담(膽)
중초(中焦)삼초의 하나. 삼초의 중부
중초불귀(中焦不歸)중초가 자기의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것
중초여구(中焦如 )중초의 기능을 물거품에 비유해서 이른 말
중초열(中焦熱)
&nb sp;중초에 열이 몰린 증상
중초열격(中焦 膈)열격의 하나. 들문이 말라 음식을 먹는다 해도 다 위에 내려가지 못하고 한참 있다가 도로 올라오는 것
중초주화(中焦主化)중초는 소화시키고 변화시키는 것을 주관한다는 것
중초토(中焦吐)구토의 하나
중초한(中焦寒)중초(비위)에 찬 기운이 몰린 증상
중추(中秋)[동의어]음력 팔월 보름
중추(中樞)독맥의 혈
중추비(仲秋痺)족소음경근의 병.[참조]족소음경근
중춘(仲春)[동의어]음력 2월
중춘비(仲春痺)족태양경근의 병.[참조]족태양경근
중충(中衝)수궐음심포경의 혈
중취(中取)부중침의 하나. 맥 뛰는 부위에 손가락 끝을 중간 정도로 눌러대고 맥을 보는 것
중치(中治)병증상의 변화에 알맞게 치료를 해야 한다는 뜻
중치(重齒)[동의어]중은
중탑수(中搭手)[동의어]용저, 청룡저. 발배의 하나. 족태양방광경의 고황혈부위에 생긴 발배
중탕(重湯)[동의어]격탕. 약을 달이는 방법의 하나. 약을 담은 그릇을 끓는 물에 들여놓아서 달이거나 데우는 것
중통(重痛)몹시 아픈 것
중품(中品)약물분류법의 하나.[참조]삼품
중풍(中風)①갑자기 정신을 잃고 넘어지거나 갑자기 구안와사, 반신불수, 언 어장애 등 일련의 후유증을 남기는 병증.②풍사가 표에 침범하여 생긴 병증
중풍불수(中風不隨)풍으로 팔다리를 잘못 쓰는 것
중풍불어(中風不語)①중풍으로 말을 하지 못하는 것.②경외기혈
중풍비(中風 )[동의어]풍비(風 )
중풍수(中風水)외상을 당하였을 때 상처로 풍사와 물이 들어가 곪으면서 덧나는 것
중풍실음(中風失音)풍으로 갑자기 말을 못하는 것
중풍칠혈(中風七穴)중풍에 쓰이는 7개 혈
중피(重皮)[동의어]후박
중하(重下)①적리와 백리를 겸한 이질. 즉 대변에 피곱이 섞여 나오는 이질.②심한 설사를 이른 말.③다시 설사시킨다는 뜻
중하리(重下痢)뒤무직감(이급후증)이 뚜렷한 이질
중하비(仲夏痺)수태양경근의 병.[참조]수태양경근
중한(中寒)①유중풍의 하나.②중초가 허하고 찬 것.③찬 음식에 상한 것
중한가(中寒家)중초가 늘 찬 환자
중한변혈(中寒便血)변혈의 하나
중한사(中寒瀉)①설사의 하나.②한사를 받거나 속이 차서 나는 설사.[참조]한설
중한심통(中寒心痛)[동의어]냉심통
중한즉열(中寒則熱)[동의어]중음필양
중한증(中寒證)[동의어]중한
중한통(中寒痛)①한사를 받아 아픈 것.②속이 차서 아픈 것
중허( 中虛)[참조]허중(虛中)①
중허(重虛)①허한 것을 더 허하게 한다는 말.②촉맥과 척맥이 다 허한 것
중혈당(中血堂)①비강전정부위.②총비도.③코 사이벽의 앞아래에 있는 출혈대부위
중혈당상(中血堂傷)중혈당의 손상으로 코피가 나오는 것
중혈맥(中血脈)[동의어]중맥. 중풍증상의 하나
중화(中火)[동의어]화중(火中)
중화탕(中和湯)습열로 곱이 섞인 대변을 보면서 뒤가 무직하고 배가 아픈 적백리에 쓰는 동약처방
중화환(中和丸)습담으로 가슴과 옆구리가 뻐근하고 명치 아래가 트적지근하면서 메스껍고 먹은 것이 잘 내리지 않는 데 쓰는 동약처방
쥐깨 [의어]좀들깨
쥐꼬리망초 [의어]무릎꼬리풀
쥐방울 [의어]덩굴, 방울풀.[참조]방울풀뿌리
쥐소니풀 [의어]손잎풀. 쥐오줌풀[참조]길초. 쥐참외[참조]주먹참외
즉려(卽藜)[동의어]남가새열매
즉병(卽病)몸에 외감사기가 침범하자마자 곧 병이 생기는 것
즉어( 魚)[참조]붕어
즉저( )왕지네
즌솔 [의어]쇠뜨기
즙말(汁沫)몸 안에 있는 수액
즙재(汁滓)약즙을 짜낸 찌꺼기
즙채( 菜)[동의어]약모밀
증(症)①[동의어]증상.②병증 이름
증(證)①환자에게 나타나는 여러 가지 증상들 을 종합분석하여 동의학적으로 진단한 병증 이름.[참조]표증, 이증, 태양증, 소갈, 적취.②병증 때 나타나는 개별적 증상
증(烝)①[동의어]증법. 동약법제방법의 하나. 동약재를 그대로 또는 적당한 액체 보조재료로 처리한 다음 찌는 것.②소아변증의 한 단계.[참조]변증(變蒸)
증미도적산(增味導赤散)혈림으로 오줌이 잘 나가지 않고 피가 섞여 나오면서 아랫배와 오줌길이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증미사물탕(增味四物湯)혈가와 혈적으로 달거리 주기가 고르지 않고 달거리가 있을 때마다 아랫배에 뜬뜬한 감이 있으면서 아프고 손발이 찬 데 쓰는 동약처방
증미오비탕(增味五痺湯)풍, 한, 습으로 몸이 뻣뻣하고 저리며 감각이 무딘 데와 어깨가 아프면서 들지 못하고 허리 아래가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증미이진탕(增味二陳湯)습열담으로 소화가 잘 안되고 가슴이 답답하면서 명치 밑이 쓰리고 아프며 신물이 자주 올라오는 데 쓰는 동약처방
증법(蒸法)[동의어]증(蒸)
증병(蒸病)[동의어]노증. 골증열과 조열이 위주로 나타나는 허로병
증병(蒸餠
)떡의 한 가지. 쌀가루나 밀가루를 더운물에 반죽한 다음 술을 뿌리고 삭혀서 찐 떡
증손낙령탕(增損樂令湯)허로로 양기가 부족하여 추위를 몹시 타며 감기에 자주 걸리는 데 쓰는 동약처방
증손방풍통성산(增損防風通聖散)감기로 기침이 나면서 코가 메어 숨쉬기 힘들어 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증손백출산(增損白朮散)병을 앓고 난 뒤에 소화가 잘 안되고 조금만 배를 차게 해도 배가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증손사물탕(增損四物湯)산후에 피를 많이 흘려 영위가 허해 자주 오싹오싹 추우면서 열이 나는 데 쓰는 동약처방
증손시호탕(增損柴胡湯)산후에 피를 많이 흘려 자주 오싹오싹 추우면서 열이 나는 데와 소화가 안되고 배가 불러 오르는 데 쓰는 동약처방
증손여성탕(增損如聖湯)풍열로 목구멍이 붓고 아프며 말소리가 잘 나오지 않는 데 쓰는 동약처방
증수무원록(增修無寃錄)[동의어]증수무원록대전. 동의고전의 하나. 법의에 관한 책
증수무원록언해(增修無寃錄諺解)동의고전의 하나
증액사하(增液瀉下)치료법의 하나. 진액을 불려주는 약과 성질이 찬약을 같이 써서 대변을 나가게 하는 방법
증액승기탕(增液承氣湯)온열병으로 음이 부족하여 입 안이 마르고 혀가 붉어지고 누런 혀이끼가 끼며 뒤가 굳은 데 쓰는 동약처방
증액윤하(增液潤下)윤하법의 하나. 진액을 불려서 장을 윤활하게 하는 약으로 대변을 나가게 하는 방법
증액탕(增液湯)온액으로 진액이 부족하여 갈증이 나고 목이 마르며 뒤가 굳은 데 쓰는 동약처방
증열(蒸熱)①[동의어]증증발열.②[동의어]골증열.③어린아이의 변증(變蒸)때 나는 열
증용두(蒸龍頭)어린아이가 잠잘 때 늘 머리에 땀이 나는 증상.[참조]두한
증울(蒸 )치료법의 하나. 아픈 자리를 덥게 해서 치료하는 방법
증유(蒸乳)[동의어]유증, 유팽. 몸푼 뒤에 젖이 울체된 증
증익귀용환(增益歸茸丸)신양부족으로 음위증, 유정, 몽설 등이 있는 데와 허리가 아프고 아랫도리가 싸늘하면서 다리에 힘이 없고 쉽게 피곤해지는 데 쓰는 동약처방
증정보신환(增精補腎丸)신기부족으로 음위증, 유정, 몽설 등이 있는 데와 어지럽고 허리가 시큰시큰하면서 근골과 팔다리에 힘이 없는 데 쓰는 동약처방
증제(蒸臍)[동의어]연제(煉臍)
증증발열(蒸蒸發熱)열이 나서 몸이 후끈후끈 달아 오르면서 땀이 나는 것
증증자한(蒸蒸自汗)몸이 후끈후끈 달아 오르면서 땀이 나는 것
증풍(憎風)[동의어]오풍
증한(憎寒)①겉으로 추워 떨고 속으로는 번열이 나는 증.②찬 것을 싫어하는 것
지(支)①[동의어]팔다리.②치 받치는 것
지(地)①[동의어]땅.②귀 앞부위의 근육.③얼굴의 아랫부위.④아래로 향하거나 안으로 향한다는 말
지(志)5신 또는 7신의 하나. 정신의식활동에서 의지 즉 목적을 이룩하기 위해서 지향하는 의식적인 심리작용을 표현한 말
지(肢)[동의어]사지(팔다리)
지(指)손가락 또는 발가락
지( )①[동의어]꽁무니부위.②살갗이 두꺼워진 것
지(趾)[동의어]발가락
지( )[동의어]사마귀
지가(脂 )[동의어]징가의 하나
지각(地閣)아래턱의 끝부위
지각(枳殼)[참조]탱자열매
지각골(地閣骨)[동의어]하악골(아래턱뼈)
지각길경탕(枳殼桔梗湯)숨이 차고 기침을 하는 증상이 찬 기운을 맞으며 더 심해지는 데 쓰는 동약처방
지각반하탕(枳殼半夏湯)열담으로 가슴이 답답하고 숨이 차며 가래가 끓고 기침을 하면서 열이 나는 데 쓰는 동약처방
지각산(枳殼散)동약처방. 여러 가지 처방이 있다
지각자산(枳殼煮散)7정으로 간이 상하여 양옆구리가 당기고 아프며 허리와 다리를 잘 쓰지 못하면서 점차 허리부위까지 당기는 데 쓰는 동약처방
지각좌산(枳殼 散)열창으로 배가 불러 오르고 가슴과 명치 밑, 옆구리가 결리고 아프면서 뒤가 굳은 데 쓰는 동약처방< BR>지각환(枳殼丸)①풍열담으로 허리가 구부러지면서 등뼈가 도드라지는 구배에 쓰는 동약처방.②삼초가 약해져서 배가 불러 오르고 명치 밑이 그득하며 대소변이 잘 나가지 않는 데 쓰는 동약처방
지갈탕(止渴湯)곽란으로 몹시 게우고 설하여 입 안과 목안이 마르고 열이 나면서 갈증이 있는 데 쓰는 동약처방
지갑(指甲)[동의어]근퇴, 손발톱
지갑봉(指甲縫)살갗과 살에 잇닿은 손발톱부분
지격(支膈)기름막부위에 치밀고 치받치는 감이 있는 것
지결(支結)명치 밑이 거북하고 답답한 증
지경(地傾)[동의어]풍견검출
지경(肢脛)①[동의어]다리.②팔과 다리를 합해서 이른 말
지고라(地枯蘿)[동의어]말린 무
지고루(地 )[동의어]말린 무
지골(地骨)[동의어]구기자
지골(肢骨)[동의어]팔다리뼈
지골(指骨)[동의어]수지골(손가락뼈)
지골(趾骨)[동의어]족지골(발가락뼈)
지골피(地骨皮)[참조]구기뿌리껍질
지골피산(地骨皮散)
동약처방. 여러 가지 처방이 있다
지골피음(地骨皮飮)동약처방. 여러 가지 처방이 있다
지골피환(地骨皮丸)기혈부족으로 허리와 다리에 힘이 없고 머리칼이 일찍 희어지는 데 쓰는 동약처방
지곽(地廓)[동의어]수곡 곽. 8곽의 하나
지관(地菅)[동의어]띠뿌리
지괴(地槐)[동의어]너삼
지구(支溝)[동의어]비호. 수소양삼초경의 혈
지구(地衢)[동의어]족소음신경의 용천혈
지구자(枳 子)[참조]헛개나무열매
지궁산(枳芎散)기혈이 막혀서 왼쪽 옆구리가 찌르는 듯이 아파서 움직이지 못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지궐(肢厥)[동의어]사지궐랭
지규(地葵)[동의어]도꼬마리열매
지귤탕(枳橘湯)상초의 기체로 가슴이 더뿌룩하면서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지금(地錦,地 )[동의어]담장이덩굴
지급(肢急)팔다리에 경련이 일어서 오그라드는 것
지기(地機)[동의어]비사. 족태음비경의 혈. 족태음경의 극혈
지기(地紀)5년 만에는 제 돌에 돌아온다는 말
지기(地氣)①[동의어]음기.②운기론에서 쓰는 말. 주기나 해당 시기를 주관하는 6기
지기(指奇)손발톱의 제일 끝
지기출혈(指岐出血)손, 발가락 사이에서 피가 나는 것
지남석(指南石)[동의어]자석
지네 [의어]왕지네
지념(紙捻)[동의어]약선인류
지뉵산(止 散)기혈부족으로 생긴 육혈에 쓰는 동약처방
지담(地膽)[동의어]반묘
지담초(地膽草)[동의어]용담
지대맥(止代脈)[동의어]대맥(代脈)
지도(地道) ①자궁의 기능.②[동의어]달거리
지도불통(地道不痛)달거리가 중단된 것
지두(池頭)[동의어]수양명대장경의 온류혈
지두(指 )손가락마디의 손바닥 쪽 가운데서 살이 약간 도드라져 올라온 부위
지락(肢絡)팔다리의 낙맥
지렁이 [의어]구인, 백경구인, 토룡, 지룡. 지렁이과에 속하는 지렁이(Pheretima communisima Goto et Hatai)를 말린 것
지련(支連)[동의어]황련.[참조]황련②
지룡(地龍)[동의어]지렁이
지룡산(地龍散)무거운 것을 들거나 타박으로 어혈이 져서 허리가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지루(地樓)[동의어]하늘타리열매
지류(脂瘤)[동의어]분류
지리개(智利介)[동의어]독맥의 신주혈
지리기(智利氣)[동의어]독맥의 신주혈
지리모(智利毛)[동의어]독맥의 신주혈
지마유(脂麻油)[동의어]참기름
지만(支滿)속이 치받는 것 같으면서 그득한 것
지만(持滿)늘 가득 차 있게 해야 한다는 뜻
지매(地 )[동의어]뱀딸기
지맥(地麥)[동의어]댐싸리씨
지맥(至脈)맥상의 하나. 양기가 성해서 지나치게 빨리 뛰는 맥
지맥(持脈)[동의어]맥진
지맥(遲脈)맥상의 하나. 한 번 숨쉬는 동안 3번 정도(1분에 54번 정도)로 더디게 뛰는 맥
지맥 이경(至脈離經)한 번 숨쉬는 동안 맥이 6번 뛰는 것
지모(知母, 母)[동의어]연모, 야료, 지삼, 여뢰. 나리과에 속하는 지모(Anemarrhena asphodeloides Bunge)의 뿌리줄기를 말린 것
지모마황탕(知母麻黃湯)상한을 앓고 난 뒤 오랫동안 정신이 맑지 못하고 말마디가 헛갈리거나 혹은 조열이 나면서 뺨이 벌겋고 오슬오슬 추웠다 열이 났다 하면서 때없이 땀이 나는 데 쓰는 동약처방
지모복령탕(知母茯 湯)폐위로 숨이 차고 기침을 하며 오슬오슬 추웠다 열이 났다 하면서 때없이 땀이 나는 데 쓰는 동약처방
지모산(知母散)①장독각기로 열이 몹시 나고 머리가 아프며 다리와 무릎이 화끈 다는 감이 있으면서 아프고 가슴이 답답하며 입맛이 없고 갈증이 나는 데 쓰는 동약처방.②여성들이 열사로 생긴 허로로 몸이 여위고 높은 열이 나며 팔다리가 아프고 목안이 아프면서 입맛이 없는 데 쓰는 동약처방. 지모싸락약 각종 결핵에 쓰는 동약처방
지모음(知母飮)[참조]이모산②
지모탕(知母湯)①허로로 심, 폐에 열이 있어 숨이 차고 기침을 하면서 피고름이 섞인 가래가 나오는 데 쓰는 동약처방.②[참조]이모산②
지문(地文)[동의어]끼무릇
지문(指紋)①어린이 병을 진찰하 는 방법의 하나.[참조]소아지문.②손가락 안쪽 끝에 이루어진 물결 같은 금 또는 그 금을 찍은 흔적
지문오색(指紋五色)어린이 지문에 나타나는 5가지 색
지미환(指迷丸)담음으로 생긴 모든 질병에 두루 쓰는 동약처방
지백지황환(知柏地黃丸)[동의어]자음팔미환
지별(地鱉)[동의어]자충
지보(地輔)[동의어]구기자
지보단(至寶丹)동약처방. 여러 가지 처방이 있다
지부(地部)3부 9후의 하나
지부자(地膚子)[참조]댑싸리씨
지부자탕(地膚子湯)동약처방. 여러 가지 처방이 있다
지비(脂肥)비만한 사람
지사약(止瀉藥)[참조]설사멎이약
지사탕(止瀉湯)어린이(1-2살 기준)설사, 소화불량증 등에 쓰는 동약처방
지삼(地蔘)[동의어]지모
지삼관(指三關)①어린이의 집게손가락 안쪽에 있는 풍관, 기관, 명관을 합해서 이른 말.②안마
하는 부위의 하나
지색불잉(脂塞不孕)[동의어]습담불잉
지석영(池錫永)(1856-1936)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우두법을 도입하고 보급한 의학자
지선(地仙)[동의어]구기자
지선묘(地仙苗)[동의어]구기자나무잎
지선산(地仙散)골증열로 미열이 나고 식은땀이 나면서 팔다리에 힘이 없는 데, 일체 허번에 쓰는 동약처 방
지성내복단(至聖來復丹)[동의어]정일단. 기가 잘 오르내리지 못하여 생긴 위급한 증상들인 중기, 상기, 기울 등에 쓰는 동약처방
지성보명단(至聖保命丹)급경풍이나 만경풍으로 가들기가 있으면서 눈을 치뜨며 목에서 가래끓는 소리가 나는 데, 중풍으로 말을 잘하지 못하고 손발이 저리면서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지소산(止嗽散)풍한사를 받아 기침을 하고 가래가 많으면서 잘 뱉어지지 않으며 가슴이 답답하고 바람을 싫어하게 되고 머리가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지소산가감방(止嗽散加減方)급성 및 만성 기관지염으로 기침을 하고 가래가 많이 나오며 목안이 붓고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지수(地數)운기론에서 쓰는 말. 재천6기의 이치를 헤아려 본다는 말
지수(地髓)[동의어]마른지황
지순(指循)침감이 나타나지 않을 때 침놓은 둘레를 손끝으로 쓰다듬어서 기혈을 잘 돌게 하는 것
지신(地神)경외기혈
지신(地新)[동의어]고본
지실(志室)[동의어]정궁. 족태양방광경의 혈
지실( 實)[동의어]마름열매
지실(枳實)[참조]선탱자
지실대황탕(枳實大黃湯)①음식에 체하여 뱃속에 열감이 있으면서 배가 불러 오르고 뜬뜬하며 몹시 아프고 뒤가 굳으며 갈증 이 나는 데 쓰는 동약처방.②습열로 생긴 각기로 다리가 붓고 아픈 데와 변비에 쓰는 동약처방
지실도체환(枳實導滯丸)①식체가 오래되어 습열이 생긴 탓으로 가슴과 명치 밑이 그득하고 답답하며 배가 불러 오르고 아픈 데, 식욕이 없으면서 뒤가 굳고 오줌이 잘 나가지 않는 데 쓰는 동약처방.②습열로 체기를 받아 소화가 안되고 명치 밑이 트적지근하며 불러 오르고 답답하며 때로 신트림이 나는 데 쓰는 동약처방
지실반하탕(枳實半夏湯)담음이 몰려 속이 트적지근하고 답답하며 가래가 나오는 데, 머리가 무겁고 눈앞이 아찔하며 메스꺼우면서 구역이 나고 목과 잔등이 당기는 데 쓰는 동약처방
지실산(枳實散)간기부족으로 양옆구리와 가슴이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지실소비환(枳實消 丸)비위허약으로 명치 밑이 더뿌룩하고 소화가 안되며 입맛이 없고 온몸이 노곤한 데 쓰는 동약처방
지실이중원(枳實理中元)[동의어]지실이중환. 비위가 허하고 차서 소화가 안되고 명치 밑이 트적지근하여 헛배가 불러 오르면서 메스껍고 아픈 데와 상한병 때 게우기와 설사를 시킨 뒤에 명치 밑이 뜬뜬하고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지실이중환(枳實理中丸)[동의어]지실이중원
지실탕(枳實湯)어린이가 풍에 상하여 가슴이 그득하고 숨이 차며 기침을 하고 목에 서 가래가 끓으며 게우는 데 쓰는 동약처방
지실해백계지탕(枳實 白桂枝湯)흉비로 가슴이 아프고 답답하며 명치 밑이 그득하고 불러 오르며 옆구리에서부터 가슴으로 아픔이 뻗치는 데 쓰는 동약처방
지압법(指壓法)[참조]안법①
지압요법(指壓療法)[동의어]지침요법, 점혈요법. 손가락에 힘을 주어 혈부위를 누르면서 약간씩 비벼서 치료하는 방법
지압행기법(指壓行氣法)행기법의 하나. 침을 놓을 때 손가락 끝으로 침혈부위를 눌러서 침감이 목적하는 방향으로 퍼져 나가게 하는 방법
지양(至陽)①양에 이르렀다는 뜻. 양의 첫 시작이라는 말.②[동의어]태양.③혈 이름.④운기론에서 쓰는 말. 재천의 기
지연(指撚)[동의어]염침
지열감도측정법(知熱感度測定法)12경맥의 정혈에서 온도감각을 느끼는 정도를 재는 방법
지영(至榮)[동의어]족소양담경의 목창혈
지오회(地五會)족소양담경의 혈
지운(地運)운기론에서 쓰는 말. 재천의 기는 돈다는 말
지유(地楡)[참조]오이풀뿌리
지유괴각환(地楡槐角丸)장풍으로 대변에 피가 섞여 나오는 데, 치루 등에 쓰는 동약처방
지유산(地楡散)① 장풍으로 대변에 피가 섞여 나오는 데 쓰는 동약처방.②열독이질로 대변에 피곱이 섞여 나오는 데 쓰는 동약처방
지유작약탕(地楡芍藥湯)이질로 피곱이 섞인 설사를 오래 하여 탈항이 된 데 쓰는 동약처방 지유탕(地楡湯)동약처방. 여러 가지 처방이 있다
지음(支飮)담음의 하나
지음(至陰)①음에 이르렀다는 뜻.②[동의어]비.③[동의어]신.④[동의어]음력 6월.⑤혈 이름
지인(至人)옛날에 사물의 이치에 밝고 양생법을 잘 지켜서 오래 사는 사람을 추상적으로 4분류로 갈라놓은 것 가운데서 두번째에 해당하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참조]진인
지인(脂人)살이 찌고 체형이 작은 사람
지인삼(地人蔘)[동의어]원추리뿌리
지자(支子,枝子)[동의어
]치자
지장(至掌)[동의어]거마리
지장(指掌)[동의어]손바닥
지절(肢節, 支節)팔다리의 뼈마디
지절(指節)손가락뼈마디와 손몸 손가락뼈마디
지절번동(肢節煩疼)팔다리의 뼈마디가 붓고 아픈 증
지절종통(肢節腫痛)팔다리의 뼈마디가 붓고 아픈 증
지절통(肢節痛)온몸의 뼈마디가 아프고 괴로운 증상.[참조]비증(痺證)지정(支正)수태양소장경의 혈. 수태양경의 낙혈
지정(地丁)①[동의어]목젖.②[동의어]민들 레(포공령)
지정(地精)[동의어]인삼
지정(指 )손가락에 생긴 정창을 통틀어 이르는 말
지정종(地丁腫)목젖이 벌겋게 부어 오르면서 열이 나고 아픈 병증
지정초(地丁草)[동의어]제비꽃
지제(至劑)성질이 맹렬한 약들이 많이 들어간 처방
지조(指爪)[동의어]손톱
지종(肢腫)팔다리가 붓는 것
지주고(蜘蛛蠱)[동의어]단복창
지주교상(蜘蛛咬傷)거미에게 물린 것
지주병(蜘蛛病)[동의어]단복창
지지(地支)[동의어]십이지, 십이지지. 육십갑자의 아랫부분을 이루는 요소
지지(指持)침을 놓을 때 침이 휘는 것을 막기 위해 가운데 손가락을 침대목에 대는 것
지지피(地芝皮)[동의어]동아껍질
지지환(地芝丸)먼 곳에 있는 물체는 잘 보나 가까운 곳에 있는 물체는 잘 보지 못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지창(地倉)[동의어]위유, 회유. 족양명위경의 혈. 수족양명, 양교의 회혈
지창( 瘡)[동의어]와창(臥瘡). 지채 지채과에 속하는 지채(Triglochin maritimum L.)의 뿌리줄기를 말린 것
지천(池泉)[동의어]경외기혈인 중천혈
지천원(止喘元)냉천으로 숨이 차고 기침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지첨(指尖)[동의어]손가락 끝
지체(肢體)①[동의어]팔다리와 몸.②[동의어]팔과 다리.③[동의어]몸
지초(地椒)①[동의어]백리향.②[동의어]뱀무
지초( 草)[동의어]단너삼
지초(芝草)[동의어]만년버섯
지촌법(指寸法)본인의 손가락의 각이한 부위를 기준으로 하여 규정한 길이를 가지고 침혈의 위치를 정하는 방법
지축이진탕(枳縮二陳湯)중초에 담이 몰려 관격이 생겨 명치 밑이 그득하고 메스꺼우며 때로 게우면서 대소변이 잘 나가지 않는 데 쓰는 동약처방
지출도체환(枳朮導滯丸)[참조]지실도체환①
지출환(枳朮丸)비위가 허약하거나 습열로 소화가 잘 안되고 헛배가 부르며 명치 밑이 그득하고 뜬뜬한 데 쓰는 동약처방
지충(地衝)[동의어]족소음신경의 용천혈
지취(志取)[동의어]더덕
지치 [의어]자초, 자단, 자부. 지치과에 속하는 지치(Lithospermum erythrorhizon Sieb. et Zucc.)의 뿌리를 말린 것
지치(至治)병증에 가장 알맞은 효과적인 치료를 한다는 말
지치(智齒)[동의어]진아, 진두아. 셋째큰어금니
지침법(指針法)[참조]안법①
지침요법(指針療法)[동의어]지압요법
지토법(止吐法)치료법의 하나. 게우는 것을 멈추는 방법
지토약(止吐藥)[참조]게움멎이약
지통(止痛)아픔이 멎는 것
지통 (支痛)①무엇이 가로질러 있는 것 같으면서 아픈 것.②힘줄이 갈라진 부위의 아픔
지통당귀탕(止痛當歸湯)옹저가 터진 뒤에 아픈 데, 등창, 장옹, 유옹 등 때 붓고 아프며 오슬오슬 추우면서 열이 나는 데 쓰는 동약처방
지통몰약산(止痛沒藥散)외상으로 혈관동신이 생긴 데 쓰는 동약처방
지통생기산(止痛生肌散)끓는 물 또는 불에 덴 상처에 쓰는 동약처방
지통환(止痛丸)[참조]칠성환①
지편축(地 蓄)[동의어]마디풀
지한산(止汗散)산후에 식은땀을 흘리는 데 쓰는 동약처방
지해(支咳)해소의 하나
지해평천약(止咳平喘藥)동약분류의 하나. 기침을 멈추고 숨찬 증상을 낫게 하는 동약
지해향(支解香)[동의어]정향
지행(止行)[동의어]남가새열매
지혈(止血)피 나는 것을 멎게 하는 방법을 통틀어 이른 말
지혈(地血)①[동의어]꼭두서니.②[동의어]지치(자초)
지혈산(止血散)장풍으로 대변에 피가 섞여 나오는 데 쓰는 동약처방
지혈약(止血藥)동약분류의 하나. 피 나는 것을 멎게 하는 동약
지협(支脇)옆구리가 그득하면서 무엇이 치받치는 것처럼 아픈 것
지호(地戶)지구의 동남방
지화(地化)운기론에서 쓰는 말. ①재천의 기의 변화.②재천의 화열의 기
지화( 華)[동의어]자위
지화초(地花椒)[동의어]백리향. 지황[참조]마른지황
지황고(地黃膏)타박으로 눈두덩에 어혈이 지고 눈이 아프면서 잘 보이지 않는 데, 천행목적(天行目赤)으로 눈이 쑤시고 눈앞이 아물아물하면서 잘 보이지 않는 데 쓰는 동약처방
지황련(地黃連)[동의어]젖풀
지황백호탕(地黃白虎湯)소양인의 결흉과 망음으로 헛소리하는 데, 태양병증상이 학질과 비슷한 데, 양명병 때 번조, 변비, 이열증 등에 쓰는 동약처방
지황산(地黃散)①혼정 또는 백정으로 눈이 가렵고 아프며 바람을 맞으면 눈물이 나오며 눈이
부시고 눈에 피가 지며 눈곱이 끼는 데 쓰는 동약처방.②심과 간에 열이 몰려서 눈이 부으면서 피가 지고 아프며 흰 예막이 생기는 데 쓰는 동약처방
지황애엽탕(地黃艾葉湯)임신중에 갑자기 하열하면서 허리와 배가 몹시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지황원(地黃元)①간허풍열로 눈에 피가 지고 부으며 잘 보이지 않으면서 예막이 생긴 데 쓰는 동약처방.②심신불교로 오줌이 쌀 씻는 물같이 뿌옇고 잘 나가지 않는 백탁에 쓰는 동약처방
지황음(地黃飮)음혈부족으로 코피가 나는 데 쓰는 동약처방
지황음자(地黃飮子)동약처 방. 여러 가지 처방이 있다
지황전원(地黃煎圓)열담이 성하고 기혈이 고르지 못하여 생긴 헌데와 악창 때 뒤가 굳은 데 쓰는 동약처방
지황탕(地黃湯)①신경에 열이 성하여 한쪽 귀가 잘 들리지 않는 데, 특히 기분이 나쁘거나 피로하면 더 심해지면서 귀에서 소리가 나고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②소양인의 여러 가지 헌데에 쓰는 동약처방
지황통경환(地黃通經丸)혈가로 달거리가 고르지 못하면서 아랫배가 뜬뜬해지고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지황패독산(地黃敗毒散)소양인이 이증으로 숨이 찬 데, 양명병이 삼양합병으로 된 데 쓰는 동약처방
지황환(地黃丸)[참조]지황원①
지훈(地熏)[동의어]시호
직 곧은 창자(직장)
직골(直骨)경외기혈
직시(直視)[동의어]목직
직양맥(直陽脈)[동의어]독맥
직양지맥(直陽之脈)[동의어]독맥
직자(直刺)[동의어]직침
직장(直腸)①곧은 창자.②[동의어]방광경의 승근혈
직장식육(直腸 肉)[동의어]식육치
직접구(直接灸)[참조]직접뜸. 직접뜸 뜸봉을 혈에 직접 놓고 뜸을 뜨는 방법
직중(直中)한사가 양경을 거치지 않고 직접 음경에 침범한 것
직중삼음(直中三陰)사기가 직접 3음경에 침범한 것
직중음경(直中陰經)[동의어]직중 3음. 사기가 직접 음경에 침범한 것
직추법(直推法)추법의 하나
직침(直針)[동의어]직자. 침을 놓는 각도의 하나. 살갗에 수직이 되게 침을 꽂는 방법
직침자(直針刺)옛날에 쓰던 침법인 12자의 하나
직편(直片)절편의 하나
직하(直下)①콧마루의 가운데.②콧구멍 아래
직화단(直火 )[동의어]단( )
진(辰)①지지의 다섯번째.②[참조]명관①
진(津)①진액의 하나. 진액 가운데서 맑고 멀건 부분.[참조]진액.②[동의어]침(타액)
진(振)추운 감을 느끼면서 몸을 떠는 것
진(疹)①살갗에 돋은 발진의 하나. 열병 때 생긴 발진.②[동의어]창진.③오랜 병
진(診)[동의어]진법
진(瞋)①눈을 부릅뜨고 있는 것.②성을 내는 것
진(震)①[동의어]진괘.②[동의어]진방
진간맥(眞肝脈)진장맥의 하나
진간식풍(鎭肝熄風)[동의어]평간식풍
진간식풍탕(鎭肝熄風湯)간양상승으로 또는 간풍내동으로 머리가 아프고 어지러우며 귀에서 소리가 나고 가슴이 답답하며 번열감이 있는 데와 중풍으로 한쪽 팔다리를 잘 쓰지 못하고 입과 눈이 비뚤어지며 때로 정신이 흐린 데 쓰는 동약처방
진간환(鎭肝丸)풍열로 급경풍을 일으킨 데 쓰는 동약처방진검정풍뎅이 [의어]굼벵이
진경(鎭痙)[동의어]해경. 치료법의 하나. 경련을 푸는 방법
진경산(鎭驚散)①풍담이 성해서 생긴 급경풍과 만경풍에 쓰는 동약처방.②어린이가 놀란 것이 원인이 되어 불안해 하면서 밤마다 몹시 우는 데 쓰는 동약처방
진경약(鎭痙藥)[참조]진정진경약
진경환(鎭驚丸)열이 나면서 급경풍을 일으키는 데 쓰는 동약처방
진계환(秦桂丸)달거리 주기가 늦어지면서 임신하지 못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진골(眞骨)골격이 든든한 것
진과(秦瓜)[동의어]진교
진곽 [의어]미역
진괘(震卦)8괘 또는 64괘의 하나
진교(秦 )[동의어]망사초, 진과. 바구지과에 속하는 진교(Lycoctonum pseudolaeve Nakai var. erectum Nakai)와 흰진교 곧 흰진범(L. longicassidatum Nakai)의 뿌리를 말린 것
진교강활탕(秦 羌活湯)[동의어]진교탕. 치루 때 멍울이 생겨 내리처지고 몹시 가려운 데 쓰는 동약처방
진교당귀탕(秦 當歸湯)치질, 치루 때 대변에 피곱이 섞이면서 굳고 아픔이 심한 데 쓰는 동약처방
진교백출환(秦 白朮丸)치질, 치루 때 대변에 피곱이 섞이면서 굳고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진교별갑산(秦 鱉甲散)①허로로 조열이 계속되고 식은 땀이 나며 가래가 나오면서 기침을 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②음허조열로 몸이 여위고 입술과 뺨이 불그스레하며 팔다리가 노곤하고 뼈가 쑤시듯이 아프며 식은땀이 나면서 기침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진교승마탕(秦 升麻湯)수족양명경이 풍에 맞아서 입과 눈이 비뚤어지고 바람을 싫어하며 팔다리가 오그라드는 데 쓰는 동약처방. 진교알약 고혈압, 뇌출혈, 진정진통제 등에 쓰는 동약처방
진교음자(秦 飮子)여로달로 온몸과 눈이 누렇게 되고 얼
굴이 거무스레해지며 오후에 손, 발바닥이 달아 오르면서 아랫배가 당기는 데 쓰는 동약처방. 진교정 고혈압으로 머리가 아프고 뒷목이 뻣뻣하며 몸이 붓고 오줌이 잘 나가지 않는 데 쓰는 동약처방
진교창출탕(秦 蒼朮湯)풍, 열, 습, 조사가 침입하여 생긴 치질, 치루가 이미 터져서 피고름이 나오고 뒤가 굳으면서 몹시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진교탕(秦 湯)동약처방. 여러 가지 처방이 있다
진구(振口)입술이 떨리는 것
진규(津窺)혀 밑의 염천혈과 옥영혈(금진혈과 옥액혈)부위의 진액(침)이 분비되는 구멍
진근아(盡根牙)[동의어]대구치(큰어금니)
진기(津氣)①[동의어]진(津).②진과 기를 합해서 이른 말
진기(眞氣) ①수곡의 기와 호흡의 기가 합쳐져서 생긴 기.②[동의어]원기, 정기(正氣).③[동의어]심기(心氣)④[동의어]경기(經氣)
진기(陳氣)오랫동안 몰려 있는 기
진기(塵氣)독맥의 신주혈
진단(眞丹)[동의어]황단(黃丹)
진단(眞檀)[동의어]백단향. 진달래싸락약 혈압낮춤약으로 고혈압에 쓰는 동약처방. 진달래잎 진달래과에 속하는 진달래(Rhododendron mucronulatum Turcz.)의 잎을 말린 것
진두아(盡頭牙)[동의어]지치(셋째큰어금니)
진두통(眞頭痛)두통의 하나. 사기가 뇌에 침범해서 생긴 머리아픔
진득찰 [의어]회렴초, 화험초. 국화과에 속하는 진득찰(Siegesbeckia glabrescens Makino)과 털진득찰(S. pubescens Makino)의 옹근풀을 말린 것. 진땅고추풀 현삼과에 속하는 진땅고추풀(Gratiola violacea Maxim.)의 옹근풀
진료(診療)진찰과 치료를 합해서 이른 말
진맥(眞脈)[동의어]진장맥
진맥(診脈)[동의어]맥진
진맥도결(診脈圖訣)동의고전의 하나. 맥진법에 관한 책
진목(瞋目)눈을 뜨는 것
진무탕(眞武湯)[동의어]현무탕. 신양부족으로 온몸이 붓고 헛배가 부르며 아프고 손발이 차며 팔다리가 무겁고 아프며 오줌이 잘 나가지 않는 데, 설사를 하거나 게 우는 데, 열이 나고 가슴이 두근거리며 어지럼증이 나고 몸이 떨리면서 넘어지려 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진미(陳米)[동의어]진창미(여러 해 묵은 쌀)
진반(眞反)진열, 진한 증상에 대한 반치(종치)법을 이르는 말
진방(辰方)24방위의 하나
진방(震方)팔방③의 하나
진백피(秦白皮)[동의어]물푸레껍질
진법(診法)병증을 진단하는 방법
진병지도(診病之道)병을 진단하는 방법
진분( 憤)몸이 부어 오르는 것
진비맥(眞脾脈)진장맥의 하나. 약하면서 잠깐 빨리 뛰다가 잠깐 느리게 뛰는 등 고르지 못하게 뛰는 맥
진사(辰砂)[동의어]주사
진사(眞邪)진기와 사기를 합해서 이른 말
진사(疹 )온병 때 살갗에 돋은 좁쌀알 같은 발진
진사고(辰砂膏)①갓난아이의 태경간풍, 촬구, 금구풍 등에 쓰는 동약처방.②만비 풍으로 가래끓는 소리가 나며 손발이 차면서 오그라드는 데 쓰는 동약처방
진사기제환(辰砂旣濟丸)몸이 허약하여 맥이 없고 식은땀을 흘리며 입맛이 없고 몽설이 있는 데 쓰는 동약처방
진사묘향산(辰砂妙香散)[동의어]묘향산. 심기부족으로 가슴이 두근거리고 잘 놀라며 속이 답답해 하고 잠을 잘 자지 못하고 잘 때 식은땀을 많이 흘리며 입맛이 없고 어지러운 데 쓰는 동약처방
진사영지환(辰砂寧志丸)심혈부족으로 자주 놀라고 가슴이 두근거리며 무서운 꿈을 꾸는 데 쓰는 동약처방
진사오령산(辰砂五 散)상한병 때 열이 몹시 나고 헛소리를 하며 오줌이 잘 나가지 않는 데, 앓고 난 뒤에 열이 내리지 않으면서 답답해 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진사육일산(辰砂六一散)[동의어]진사익원산. 어린이가 서열에 상하여 갈증이 나고 잘 놀라며 땀을 많이 흘리고 오줌이 잘 나가지 않는 데 쓰는 동약처방
진사익원산(辰砂益元散)[동의어]진사육일산
진사입목(塵沙入目)[동의어]이물입목
진사전갈산(辰砂全蝎散)갓난아이가 태열이 속에 뭉치고 풍사에 상하여 이를 악물면서 입으로 흰 거품침이 나오는 데 쓰는 동약처방
진사탕(辰砂湯)어린이가 허열이 있으면서 위가 약하여 음식을 먹지 못하고 잘 놀라는 데 쓰는 동약처방
진사화담환(辰砂化痰丸)풍담으로 기침을 하고 가래가 끓으며 어지럽고 눈이 잘 보이지 않으며 가슴이 답답한 데 쓰는 동약처방
진산(眞産)[동의어]정산. 진삼탕 당뇨병으로 피로감이 있고 오줌을 많이 누며 목이 마르고 몸이 여위는 데 쓰는 동약처방
진상(陳傷)[동의어]숙상
진상화조(津傷化燥 )[동의어]화조(化燥)
진색(眞色)5장의 기능이 정상일 때 몸 겉면에 나타나는 정상 색깔을 이른 말
진설(津泄)진액(체액)이 몸 밖으로 빠진다는 말
진송(秦 )[동의어]무
진수(眞水)[동의어]신음(腎陰)
진술주수(辰戌主水)운기론에서 쓰는 말. 진술년은 태양한수의 기가 주관한다는 말
진시(辰時)①지난날에 쓰던 12시간 가운데서 다섯
번째 시간. 아침 7시부터 9시까지.②지난날에 쓰던 24시간 가운데서 아홉번째 시간. 아침 7시 반부터 8시 반까지
진식(進食)입맛이 좋아져서 지난날보다 음식을 더 먹는 것
진신맥(眞腎脈)진장맥의 하나. 딴딴한 감을 주면서 때로 멎곤 하는 맥
진실가허(眞實假虛)병증의 본질은 실증인데 겉으로는 허증 비슷한 거짓증상이 나타나는 것
진심(鎭心)[동의어]중진안신
진심단(鎭心丹)심허로 잘 놀라고 잠을 못 자고 가슴이 두근거리는 데 쓰는 동약처방
진심맥(眞心脈)진장맥의 하나. 딴딴하면서 톡톡 치받치는 감을 주는 맥
진심조(眞心跳)심혈이 부족해서 심장부위가 두근거리는 것
진심통(眞心痛)심통의 하나
진심환(鎭心丸)①열담으로 가슴이 답답하고 불안해 하며 손발이 오그라드는 급경풍에 쓰는 동약처방.②심기 부족으로 잘 잊어버리고 무서워하면서 불안해 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진아(眞牙)[동의어]지치(셋째큰어금니)
진애(振埃)5절의 하나
진액(津液)①몸 안의 체액을 통틀어 이르는 말.②음식물을 먹은 다음 위, 비, 폐, 삼초 등 장부의 작용에 의하여 생기는 영양물질.③몸 안의 체액과 그 대사 산물
진액곽(津液廓)[동의어]수곽(눈동자부위)
진액단(鎭液丹)양허로 기운이 없고 손발이 차며 배 안이 늘 서늘하면서 식은땀이 나는 데 쓰는 동약처방
진액지부(津液之府)[동의어]방광(膀胱)
진양(眞陽)①[동의어]신양(腎陽).②[동의어]족태양방경의 승근혈
진양부족(眞陽不足)[동의어]신양허. 진양탕 신경성 피부염, 피부가려움증에 쓰는 동약처방
진억(塡臆)가슴이 막힌 것
진열가한(眞熱假寒)병의 본질은 열증인데 겉으로는 한증 비슷한 거짓증상이 나타나는 것
진원(眞元)[동의어]신(腎)
진원하허(眞元下虛)[동의어]신양허쇠
진월(辰月)[동의어]음력 3월
진율(振慄)추위를 몹시 느낄 때 나타나는 증상
진음(眞陰)[동의어]신음(腎陰)
진음부족(眞陰不足)[동의어]신음허
진이(震耳)정이( 耳)때 퍼런 색 고름이 나오는 것. 진익고 고혈압으로 머리가 아프 고 어지러우며 뒷목이 뻣뻣한 증상이 있는 데 쓰는 동약처방
진인(眞人)옛날에 사물이 이치에 밝고 양생법을 잘 지켜서 오래 사는 사람을 추상적으로 4부류로 갈라놓은 것 가운데서 첫번째에 해당한 사람
진인양장탕(眞人養臟湯)[참조]양장탕
진인화철탕(眞人化鐵湯)[참조]화철탕
진일(辰日)지난날에 날짜를 천간지기와 맞추어놓은 것 가운데에서 지지가 ?진?자로 된 날
진일(眞一)[동의어]진기, 진원
진자(疹子)[동의어]진(疹)
진자(榛子)[참조]개암
진잠(鎭潛)[동의어]잠진
진장(眞臟)①[동의어]5장의 진기.②[동의어]5장.③[동의어]진장맥
진장맥(眞臟脈)[동의어]진맥. 병적 맥상의 하나. 5장의 병이 몹시 중하여 진기가 심히 허손된 때 나타나는 맥상
진장색(眞臟色)5장의 정기가 몹시 허손되었을 때 나타나는 얼굴색
진적(診籍)[동의어]의안, 병안. 옛날에 동의사들이 쓰던 병력서
진전법(振顫法)안마법의 하나
진전법(震顫法)침 자극법의 하나. 진정 정골도구의 하나
진정기(眞精氣)[동의어]선천지정
진정약(鎭靜藥)[참조]진정진경약. 진정점[참조]손침요법
진정진경약(鎭靜鎭痙藥)동약분류의 하나. 정신을 진정시키며 경련을 멈추는 동약진정파손(眞睛破損)목정손상의 하나. 외상으로 눈알이 천공되거나 파열된 것
진주(珍珠, 眞珠, 眞朱)진주조개과에 속하는 진주조개(Pinctada martensii Dunker), 마합과에 속하는 마합(Cristaria plicata Leach)과 개굴조개(Anadonta woodina Leach)의 조가비 안에 병적으로 생긴 알갱이를 말린 것
진주독(珍珠毒)[동의어]설생포
진주매(珍珠梅)[동의어]쉬땅나무껍질
진주모(珍珠母)진주조개 또는 마합과 개굴조개의 조가비
진주모환(眞珠母丸)[동의어]진주환. 간담이 허하여 마음이 불안하고 가슴이 두근거리면서 잠을 잘 자지 못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진주분환(珍珠粉丸)음허로 생긴 몽설과 유정에 쓰는 동약처방
진주예(眞珠 )예막의 하나
진주적(珍珠積)부인에게서 드물게 보는 기이한 병. 진주조가비[참조]진주모
진주환(眞珠丸)[동의어]진주모환
진중(眞中)[동의어]진중풍
진중풍(眞中風)중풍의 하나. 풍에 맞아 갑자기 정신을 잃고 넘어졌다가 정신이 든 뒤에 일련의 후유증이 있는 병증
진지문(診指紋)어린이 지문진찰법.[참조]소아지문
진창( 脹)배가 창만한 병증
진창미(陳倉米)[동의어]진미. 여러 해 묵은 쌀
진천(眞喘)폐의 기능장애로 숨이 찬 것
진침(進針)[동의어]납침
진침법(進針法)침을 꽂는 수법
진탈(津脫)땀을 지나치게 많이 흘려서 망양증이 생긴 것
진토(眞土)비 또는 비기
진토약(鎭吐藥)[참조]게움멎이약
진통(鎭痛)아픔을 멎게 하는 것
진통산( 痛散
)①혈허로 어혈이 져서 생긴 통풍에 쓰는 동약처방.②산후에 온몸 뼈마디가 아파서 잘 움직이지 못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진통싸락약 아픔멎이약, 진경약으로 쓰는 동약처방
진폐맥(眞肺脈)진장맥의 하나
대(大)하면서 허한 감을 주는 맥
진풍(眞風)[동의어]진중풍
진피(秦皮)[참조]물푸레껍질
진피(陳皮)[참조]귤껍질
진피고삼탕(陳皮苦蔘湯)세균성 적리, 급성 및 만성 대장염으로 열나며 설하는 데 특히 곱섞인 대변을 누는 데 쓰는 동약처방
진피백출탕(陳皮白朮湯)산후에 음혈부족으로 온몸이 노곤하고 음식을 먹지 못하며 배가 아프면서 설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진피산(秦皮散)풍독으로 눈에 피가 지면서 붓고 아프며 눈곱이 끼고 눈물이 나며 잘 보이지 않는 데 쓰는 동약처방
진피수(秦皮水)폭풍객열, 천행적안, 백삽증, 금감, 백막침정에 쓰는 동약처방
진피죽여탕(陳皮竹茹湯)[동의어]귤피죽여탕
진 피탕(陳皮湯)[동의어]생강귤피탕
진한(振寒)[동의어]전율
진한가열(眞寒假熱)병의 본질은 한증인데 겉으로는 열증 비슷한 거짓증상이 나타나는 것. 진해고 급성 및 만성 기관지염, 감기, 폐결핵 등 때 기침을 하며 가래가 나오고 열이 나며 몹시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진해산(鎭咳散)감기, 돌림감기, 기관지염, 폐렴 등으로 기침을 하며 가래가 나오고 열이 나며 몹시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진해싸락약 기침, 가래멎이약으로 쓰는 동약처방
진허가실(眞虛假實)병증의 본질은 허증인데 겉으로는 실증 비슷한 거짓증상이 나타나는 것
진허리(診虛里)절진내용의 하나. 심첨부위를 짚어보는 것
진현운(眞眩運)비위에 습담이 몰려서 생긴 현훈의 하나
진혈(眞血)눈 안에서 순환하는 피
진혈동원(津血同源)진과 혈의 기원은 같다는 말. 진형탕 신경쇠약으로 늘 머리가 아프고 어지러우며 정신이 흐린 데 쓰는 동약처방
진화(眞火)[동의어]신양(腎陽)
진후실음(疹後失音)[동의어]주아. 홍역을 앓은 뒤에 목소리를 잘 내지 못하는 병증
진훈(眞暈)헌데 둘레에 붉은 핏줄 같은 것이 서는 것
진휵(眞 )①경련이 일 때에 이빨을 악물고 담연을 게우는 증상.②아이가 나서 100일 안에 어떤 자극에 의하여 경련이 이는 증상.③경련은 멎었으나 정신이 혼미한 증상
질(疾)①몸이 편안치 못한 것. 병이 생긴 것.②동작이 빠른 것.③[동의어]질맥
질경이 [의어]길짱구
질경이씨 [의어]길짱구씨
질고(疾苦)병으로 오는 고통. 병으로 오는 괴로움
질고(疾故)[동의어]병고. 병으로 생긴 사고
질려자( 藜子)[참조]남가새열매 질맥(疾脈)[동의어]극맥. 몹시 빨리 뛰는 맥으로서 1번 숨쉬는 동안에 7-8번(1분 동안에 120-140번)정도 뛰는 맥
질박(跌撲)[동의어]타박. 넘어지거나 부딪쳐서 상한 것
질박늑통(跌撲肋痛)넘어지거나 다쳐서 옆구리가 아픈 것
질박상태(跌撲傷胎)[동의어]질부상태. 임심부가 넘어져 태아가 상하고 기혈이 혼란되어 태동불안이 생긴 것
질박협통(跌撲脇痛)타박을 받아서 생긴 옆구리아픔.[참조]어혈협통
질변(秩邊)족태양방광경의 혈
질부상태(跌 傷胎)[동의어]질박상태
질서보사법(疾徐補瀉法)침놓는 보사법의 하나
질의(疾醫)[동의어]내과의사
질진 [의어]질병
질타내상(跌打內傷)타박으로 내장이 손상된 것
질타손상(跌打損傷)[동의어]타박상
질타요통(跌打腰痛)[동의어]어혈요통
질통(疾痛)병 으로 아픈 것
집맥(執脈)[동의어]진맥(맥을 짚어보는 것)
집성비아환(集成肥兒丸)어린이가 비위허약으로 음식을 잘 안 먹거나 먹은 것이 잘 소화되지 않으면서 몸이 여위는 데 쓰는 동약처방. 집[짚]신나물[참조]낭아초. 집[짚]신나물뿌리[참조]낭아
집증(執證)[동의어]변증. 병증을 알아낸다는 것
집함박꽃뿌리 [의어]백작약. 바구지과에 속하는 집함박꽃(Paeonia albiflora Pallas var. trichocarpa Bunge), 산함박꽃(Paeonia obovata Maxim.)의 뿌리를 말린 것
집향탕(集香湯)몸이 부석부석 부으며 오줌이 잘 나가지 않고 헛배가 부르면서 먹은 것이 잘 내려가지 않는 데 쓰는 동약처방
징( )아랫배 속에 덩이가 생긴 것
징가(澄茄)[동의어]필징가
징가( )아랫배 속에 덩이가 생긴 병증.[참조]적취
징결( 結)사기가 몰린 것
징산( 疝)산증의 하나. 뱃속에 갑자기 기가 몰려 그득해지면서 위장이 불러 올라 팔뚝처럼 두드러지고 위완부가 아픈 산증
징적창( 積脹)징적으로 배가 불러 오르는 병증
징청음(澄淸飮)기침하면서 목에서 가래끓는 소리가 나며 가슴이 답답한 담소(痰嗽)에 쓰는 동약처방. 쪽뿌리[참조]쪽잎. 쪽씨 여뀌과에 속하는 쪽(Persicaria tinct oria Spach 또는 Polygonum tinctorium Ait.)의 씨를 말린 것. 쪽잎 쪽의 잎을 말린 것
찐지황 [의어]숙지황. 현삼과에 속하는
지황(Rehmannia glutinosa Libosch. var. R. purpurea Mak.)의 뿌리를 말린 것
찔광이 [의어]산사, 당구자. 배나무과에 속하는 찔광이나무(Crataegus pinnatifida Bunge)의 익은 열매를 말린 것
찔구배열매 [의어]찔광이. 찔레나무꽃[참조]찔레나무열매. 찔레나무뿌리[참조]찔레나무열매
찔레나무열매 [의어]영실, 장미자, 우극, 산극. 장미과에 속하는 찔레나무(Rosa multiflora Thunb. 또는 R. polyantha Sieb. et Zucc.)의 익은 열매를 말린 것. 찔레나무잎[참조]찔레나무열매
찔배열매 [의어]찔광이. 찜질 치료법의 하나
모래, 불돌, 물(더운물, 찬물, 약수, 온천물 등), 감탕, 파라핀, 약재 등으로 살갗이나 점막에 일정한 시간 거듭 자극을 주어 병을 치료하는 방법
미국한의사 성공 핵심열쇠 ! 복수면허 한의사만이 성공의 지름길이다! -한방에 카이로프랙틱까지…면허 동시 소유 20년 임상
흔히들 미국에서 침구사 면허이든, 민간자격이든 간에 상관없다고 생각하면서 무개념으로 한의대 유학을 떠나는 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그러나 미국에서 침구사는 의사가 아닙니다. 때문에 한의원이든 병원이든 침구사는 “닥터○”이라고 부르지 못합니다. 그저 “미스터○”라고 호칭을 하죠.
백인들이 한의원, 병원에 올 때는 아시아 출신 침구사에게서 치료받기 보다는 백인의사에게서 치료를 받고자 하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왜냐하면 의사도 아닌 사람에게 자신의 몸을 치료하도록 맡기는 위험을 감수하고 싶지 않기 때문입니다.
결국 미국에서 한의사[침구사]로 살아남기 위해서는
1) 비정규 미국한의대보다는 중의대를 졸업하는 것이 절대적으로 유리합니다.
2) 그저 단순한 의료보조인 자격면허를 가지고 환자를 치료하려고 하기 보다는 ‘닥터’라는 호칭을 사용할 수 있는 「척추신경의사(Doctor of Chiropratic)」「자연의학의사(Doctor of Natural Medicine)」와 같은 복수면허/ 자격증을 취득하는 것이 한의사로서 보다 많은 신뢰를 얻게 되고, 경제적으로도 부유한 기반을 튼튼히 쌓는 보증수표입니다.
YBU연대한의대, 남양중의대, JXU 강서대학교를 졸업하면 한의사, 침구사 면허 외에도, 자연의학의사, 척추신경의사 면허를 취득할 수 있는 기반이 갖춰지게 됩니다.
그러나 한인교포가 운영하는 비정규 미국한의대는 복수면허 신청 자격이 없습니다.
한국에서 자영업, 직장생활을 하면서 셔틀 통학과정으로 중의대를 마칠 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십시오. 예전에는 60이면 죽을 날이 얼마남지 않은 환갑이었고 30대가 중년이었지만, 지금은 인생 100세까지 활동하는 세상인지라 50대가 중년이라고 합니다.
지금 한국 입학사무소에서는 입학절차와 각종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입학상담신청은 www.hani.tv 혹은 www.nyist.org로 방문하시어 ‘입학상담신청하기’를 클리하고 자세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적어 제출하신 후 0505-613-6688 010-6834-6253으로 전화 하십시오.
++++++ [ 신문기사 발췌 ]++++++++
○
한방에 카이로프랙틱까지…면허 동시 소유 20년 임상[LA중앙일보]
그레이스 최 척추신경한방병원
기사입력: 04.14.11 18:13
그레이스 최원장은 한방과 카이로프랙틱을 함께 진료한다.
한인타운 윌튼과 7가에 위치한 '그레이스 최 척추신경한방병원'은 이름 그대로 한방과 카이로프랙틱 치료를 함께 하는 병원이다. 그레이스 최원장은 카이로프랙틱 전문의면서 한의사 면허도 동시 소유한 의사다.
클리블랜드 카이로프랙틱칼리지를 졸업하고 척추신경의로 첫발을 내디딘 최원장은 이후 중국에 건너가 공부하고, 한의대를 수석졸업해 한의사 면허도 취득했다. 전문의로 환자를 치료한지 벌써 20년이 훌쩍 넘었다. 밸리와 토렌스에서 개업의로 명성을 떨치다가 LA 윌튼길에서 다시 환자를 맞고 있다.
최원장은 20여년의 임상경험까지 더해 각종 통증을 치료하는데 그만의 노하우를 갖췄다. 예컨대 누구에게나 흔한 발목염좌 즉 발이 삐었을 경우 최원장을 찾으면 놀랄만큼 빠르게 통증을 가라앉히고 치료를 해준다. 골프 관련 통증도 전공치료 분야중 하나. 프로선수를 치료할 정도로 실력을 인정받았다.
직장상해 교통사고 스포츠부상 두통 허리통증 디스크 관절염 자세교정 신경통 고혈압 비만치료등 각종 증상을 전문으로 다루고 있다. 레이저등 첨단기기도 갖추고 정확한 치료를 해준다.
한편 이 병원에서는 자체 개발한 약제도 저렴한 가격에 판매하고 있다. 24가지이상의 한약재가 들어간 약으로 현재 생리통약 감기약 변비 갱년기장애 불면증 빈혈등에 먹는 약이 나와 있다. 병원에 직접 방문하거나 웹사이트(www.herbacula.com)에서 구입이 가능하다.
▶주소: 726 S Wilton Pl #2 LA
',한방 ,생활 지혜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인수맥감정연구회 약초도감-엉겅퀴의 효능과 활용법..|│ (0) | 2013.01.23 |
---|---|
(1)제육고추장볶음, 제육간장볶음 (0) | 2013.01.21 |
한의사, 동의학 사전(자)..... www.cuckorea.com (0) | 2013.01.11 |
새로보는 방약합편方藥合編 (0) | 2013.01.09 |
한의학 특수진료_한의외치요법 (0) | 2013.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