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방 ,생활 지혜방

새로보는 방약합편方藥合編

모링가연구가 2013. 1. 9. 16:29

새로보는 방약합편方藥合編

활투침선活套鍼線 병증도표病症圖表 손익본초損益本草 한의약서韓醫藥書

 

 

 

 

황도연 원저│이종대 편저

736쪽│국배판│양장│80000원

ISBN 978-89-90116-51-2(94510)

2012년 3월 29일 출간│도서출판 청홍 발행

 

도서출판 청홍(지상사) 135-921 서울 강남구 역삼동 730-1번지 모두빌 502호

담당: 편집부 02-3453-6111, 011-773-0583│jhj-9020@hanmail.net

 

 

?책소개

 

조선 말기인 1885년 황도연 선생의 뜻에 따라 출간된 《방약합편》은 세월이 지날수록 수많은 임상가에게 애용되는 처방집이다. 실용성, 간결성, 임상활용의 편리성에서 볼 때 그 유(類)를 찾아볼 수 없는 특출한 것이라는 극찬을 받았으며, 앞으로 한의학 부흥과 더불어 점차 외국에 소개될 만한 책으로 지목(指目)되고 있다.

모든 책이 그렇듯이 《방약합편》에도 장점만 있는 것은 아니다. 임상에서 활용하는 처방 위주로 간결하고 명료하게 요약했기 때문에 한의학을 심도 있게 공부한 이에게는 더할 나위 없이 좋은 참고서가 되지만, 초학자는 그 뜻을 파악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더구나 지금은 옛날처럼 도제식(徒弟式) 학습을 하지 않기 때문에 더욱 그렇다. 《새로보는 방약합편》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간결하고 명료하게 요약된 부분을 임상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설명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

 

 

활투침선(活套鍼線)

活 활용하다 套 버릇이 되어 이루어진 일정한 틀

鍼 바늘 線 실

활투침선은 바늘이 실을 이끄는 것처럼 특정 병증에는 어떤 처방을 사용한다는 식으로 버릇처럼 활용한다는 의미이다. 예를 들어 기허두통(氣虛頭痛)에 순기화중탕을, 혈허두통(血虛頭痛)에는 당귀보혈탕을 사용한다는 공식을 설정해 놓은 것이다. 뿐만 아니라 풍문(風門), 한문(寒門), 서문(暑門), 습문(濕門), 조문(燥門), 화문(火門), 내상문(內傷門), 노허문(勞虛門)으로부터 시작하여 부인문(婦人門), 소아문(小兒門)에 이르기까지 과별(科別)로 분류하고 있어 학습과 임상활용에 효율적이다.

활투침선은 의자(醫者)가 환자를 대할 때마다 가지고 다녔던 핸드북(handbook)이라고 할 수 있다. 환자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의서(醫書)를 읽고 또 읽어서 많은 처방을 숙지해야 한다. 그러나 환자를 진료할 때는 학습했던 책을 모두 가지고 다닐 수 없기 때문에 병증과 처방을 연결해 주는 간추린 책이 필요했다. 특히 예전에는 모든 응급질환을 한방으로 치료했고, 응급질환을 다룰 때는 여유롭게 처방을 검토할 시간이 허락되지 않기 때문에 더욱 그러했다. 활투침선은 이러한 역할을 하는 책이다. 즉 병증에 가장 적합한 처방, 병증에 가장 실용적인 처방을 연결하는 기능이 있다. 이는 활투침선에 실린 처방들이 당시에 가장 많이 활용되었다는 뜻이며, 치료율 또한 가장 높았음을 의미한다.

 

활투침선은 총 54개의 문(門)으로 구성

여기서 문(門)은 과(科)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문(耳門)은 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병증을 다루고 있다. 즉, 이비인후과(耳鼻咽喉科)의 일부분이다. 내상문(內傷門)은 소화기와 연관된 병증을 다루고 있으며, 내과(內科)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각 문(門)마다 병증을 분류했고, 병증의 이해를 돕기 위해 해설을 덧붙이고, 해당 처방을 열거했다. 또한 《동의보감》《제중신편》《의종손익》 등을 참고하여 병증과 처방을 삽입한 부분이 있으며, 필자의 소견에 따라 병증과 처방을 삽입하기도 했다.

 

병증도표(病症圖表)

활투침선이 19세기의 핸드북이었다면, 병증도표는 21세기의 핸드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들의 차이점을 두 가지 관점에서 살펴볼 수 있다.

첫째, 19세기에는 이질(痢疾)이나 학질(?疾) 같은 전염성질환이 발생했을 때 모두 한방으로 치료했으므로 활투침선에는 급성질환에 사용하는 처방이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지금은 이질이나 학질에 걸리는 환자가 많지 않을뿐더러, 걸리더라도 일차 치료는 양방에서 하기 때문에 이런 질환에 처방을 활용하는 빈도가 급감했다. 반대로 요즘에는 요통이나 소화불량, 불임 같은 만성 증상과 질환에 한약을 사용하는 빈도가 높아졌다. 병증도표는 요즘 한의원을 찾는 환자의 병증을 근거로 작성했다는 특징이 있다. 물론 예전에도 만성질환이 많았고, 그에 해당하는 처방이 있었기 때문에 활투침선의 분류와 병증도표의 분류 간에 다소 겹치는 부분이 있다. 따라서 병증과 처방을 연결할 때는 병증도표뿐 아니라 활투침선도 참고하는 것이 좋다.

둘째, 활투침선은 19세기에 통용되던 병증을 기준으로 분류한 것이고, 병증도표는 요즘 통용되는 병증까지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어 19세기에는 아토피성피부염이나 알레르기성피부염 같은 병증이 존재하지 않았으므로, 이러한 병증은 병증도표에만 포함되어 있다. 반대로 이질이나 학질 같은 병증에 한약을 상용하지 않기 때문에 병증도표에는 빠져 있다.

 

손익본초(損益本草)

《손익본초》는 황도연 선생이 1868년(고종5년)에 지은 《의종손익》의 부록인 본초서(本草書)이다. 식물성 본초에서 광물성 약재에 이르기까지 총 514종을 차례로 배열했고, 《만병회춘》의 약성가(藥性歌)를 칠언절구(七言絶句)로 편술(編述)하여 암송(暗誦)할 수 있게 만들었다는 특징이 있다.

_본초명(本草名) 향약명(鄕藥名)

_약성가(藥性歌)

_약성, 효능, 특성

 

한국(韓國)의 한의약서(韓醫藥書)

한의학은 한국과 중국을 비롯하여 일본, 베트남, 티베트, 몽골 같은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생성되고 발전해온 의학이다. 특히 한국과 중국에서는 오래전부터 수많은 의학 기록과 경험이 수록된 서책들이 발간되어 후대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우리 조상들은 중국에서 들여온 서책(書冊)을 참고하고 그들만의 경험을 살려 우리 실정에 맞는 의학서적을 출간했는데, 종합서(綜合書)와 전문서(專門書)를 통틀어 무려 100종이 넘는다. 그러나 예전에는 출판기술이 발달하지 못하여 널리 알려지지 못한 것들이 많아 아쉬움이 크다. 《새로보는 방약합편》에 한국의 역대 한의약서를 첨부하는 이유는 선조들의 경험이 담겨 있는 책들을 알리고, 후학들이 이를 본받아 한의학을 발전시켜 한국뿐 아니라 세계적으로 한의학 중흥(中興)을 이루기 바라는 마음에서이다.

 

● 활용방법

《새로보는 방약합편》은 임상서이다. 따라서 일차 목적은 환자가 호소하는 ‘병증(病症)’과 그에 적합한 ‘처방(處方)’을 연결해 주는 것이다. 따라서 활투침선(活套鍼線)과 병증도표(病症圖表)를 참고하여 환자의 병증을 확인한 연후에 상통(上統), 중동(中統), 하통(下統)의 처방해설과 활용사례를 통해 적합한 처방을 확증하는 식으로 활용할 것을 권장한다.

 

추천의 글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방약합편》은 한의사 황도연의 저작으로 황필수에 의해 1885년에 출간된 것으로써 한국 의학 역사를 빛낸 역작이라고 말 할 수 있습니다. 이 책에는 수많은 고귀한 임상경험이 담긴 처방 중에서 비교적 많이 사용하는 처방을 선방하여 편람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임상에 종사하는 대다수 한의사들이 가장 많이 활용하는 필독서이기도 합니다.

현재 사회의 끊임없는 발전과 함께 새로운 질병이 나타나는 지금에 와서는 이전의 시각이나 기준만으로는 새로운 형태의 많은 질병을 치료하기가 어렵게 되었습니다. 이런 상황을 극복하여 한국의 명망 높은 한약업사 이종대 선생께서는 자신의 수십년의 임상경험을 총결하여 이 책을 새롭게 정리하여 《새로보는 방약합편》이라는 책으로 펴내게 되었습니다.

《방약합편》은 이전의 처방에 새로운 기준을 정하여 약성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하고 있으며, 또한 이들 처방을 바탕으로 20만 여개의 의안을 통하여 수많은 치료경험을 사실적으로 기록하여 첨가했습니다. 《새로보는 방약합편》은 내용이 극히 풍부하여 이 책의 탄생은 한의사, 그리고 한의과대학 교수와 연구자들의 기초서적으로나 참고서적으로 훌륭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됩니다.

노장경 교수 북경중의약대학 / 중국보건식품협회 전문가위원회 위원

 

○… 《새로보는 방약합편》의 원전인 《방약합편》은 선조의 명으로 허준이 쓴 동의보감을 요약하여 함축시킨 실용 한의서였습니다. 동의보감은 그 부피가 어른의 허리춤에 닿을 만큼 분량이 엄청났습니다. 환자의 증상마다 내용을 확인하고 처방을 한다는 게 도통 어려운 게 아니었을 것입니다. 그때마다 임금의 주치의인 내의원조차 동의보감을 뒤져 치료법을 찾아낸다는 게 쉽지 않은 작업이었을 것입니다. 그래서 보다 간명하고 적절한 처방법이 담긴 임상 의서가 필요했던 것입니다.

동의보감이 임상의 백과사전이라면 방약합편은 간추린 동의보감이었을 것입니다. 양의사이건 한의사이건 많고 많은 의학 지식을 다 외울 수는 없습니다. 방약합편은 1885년 출간 이래, 1세기가 지난 지금까지 임상가들이 가장 많이 활용하는 한의약서입니다.

이런 방약합편을 현대적이면서 이해하기 쉽게 활용사례를 붙여서 역사적으로 한의학 발전에 큰 보탬이 될 만한 책입니다.

정승욱 세계일보 선임기자

 

 

편저자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甘泉 이종대

1946년 김천출생, 한약업사 대종한의원, 대원한약방, 할아버지한약방 원장(1984~2000)

동의학연구소, 한방학술지 《태극》지 발행인, 고령자채록사업 단장, 사상의약학회장,

고방의약학회장, 한방학술 태극학회 고문, 상태의학회 학술고문,

American States University 이사장

>>저서<<

한방임상비방집(태극지합본) 3권, 감기의 한약치료 2권, 새로보는 빈용101처방,

새로보는 빈용202처방, 30처방으로 보는 한방병리, 흔한통증 증후군 한방요법

 

 

목차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시작하기 앞서 ? 동의학연구소 이종대

우리 의학체계의 핵심이며

임상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처방들로 구성된 요약편

 

추천사 ? 전세일/포천중문의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장

한의학 전체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구성

 

추천사 ? 김용호/전 국립의료원 한방진료부장

방약합편의 이해와 운용을 한층 깊고 편리하게

 

추천사 ? 류재환/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동서의학과 교수

활투침선을 자세하게 설명 초학자도 쉽게 볼 수 있게

 

추천사 ? 김상찬/대구한의대학교 한의과대학 교수

30여 년 임상경험을 토대로 새로운 주석을 달아 

 

활투침선活套鍼線

01. 風풍

02. 寒한

03. 暑서

04. 濕습

05. 燥조

06. 火화

07. 內傷내상

08. 虛勞허로

09. ?亂곽란

10. 嘔吐구토

11. 咳嗽해수

12. 積聚적취

13. 浮腫부종

14. 脹滿창만

15. 消渴소갈

16. 黃疸황달

17. ?疾학질

18. 邪?사수

19. 身形신형

20. 精정

21. 氣기

22. 神신

23. 血혈

24. 夢몽

25. 聲音성음

26. 津液진액

27. 痰飮담음

28. 蟲충

29. 小便소변

30. 大便대변

31. 頭두

32. 面면

33. 眼안

34. 耳이

35. 鼻비

36. 口舌구설

37. 牙齒아치

38. 咽喉인후

39. 頸項경항

40. 背배

41. 胸흉

42. 乳유

43. 腹복

44. 腰요

45. 脇협

46. 皮피

47. 手수

48. 足족

49. 前陰전음

50. 後陰후음

51. 癰疽옹저

52. 諸瘡제창

53. 婦人부인

54. 小兒소아 

 

병증도표病症圖表

신경계神經系?근골격계질환筋骨格系疾患

◎ 신경계질환神經系疾患

01. 안면마비顔面麻痺

02. 삼차신경통三叉神經痛

◎근골격계질환筋骨格系疾患

01. 요통腰痛?엉치통

02. 좌섬요통挫閃腰痛

03. 하지견인통下肢牽引痛

04. 견통肩痛

05. 슬통膝痛

06. 지절통肢節痛

07. 항강項强?항강통項强痛

08. 배통背痛

09. 배한背寒

10. 흉통胸痛

11. 협통脇痛

12. 종아리통

13. 족장통足掌痛

14. 전신통全身痛?근육통筋肉痛

15. 항문통肛門痛

16. 쥐남-근육경련筋肉痙攣

17. 통풍通風

18. 타박상打撲傷

19. 류마티스성 관절염

20. 퇴행성관절염退行性關節炎

21. 요추 추간판탈출증, 추간판협착증

부인과질환婦人科疾患

◎부인일반婦人一般

01. 경지經遲

02. 경소經少

03. 경다經多

04. 월경지속月經持續

05. 월경불순月經不順

06. 경폐經閉

07. 월경통月經痛

08. 불임不姙

09. 냉冷?대하帶下

10. 자궁출혈子宮出血

11. 유방멍울

12. 갱년기장애更年期障碍

13. 질건조증膣乾燥症

14. 성교통性交痛

15. 성교출혈性交出血

16. 성불감증性不感症

◎ 부인임신婦人姙娠

01. 임신허약姙娠虛弱

02. 습관성유산習慣性流産

03. 빈혈貧血

04. 태동불안胎動不安

05. 임신출혈姙娠出血

06. 입덧-임신오조姙娠惡阻

07. 설사泄瀉

08. 변비便秘

09. 자번子煩

10. 자간子癎

11. 임신감기姙娠感氣

12. 피부염皮膚炎

13. 부종浮腫

14. 방광염膀胱炎, 요도염尿道炎

15. 태아역위胎兒逆位

16. 보산補産, 이산易産, 최산催産

◎ 부인산후婦人産後

01. 허약虛弱?기핍氣乏

02. 부종浮腫

03. 산후무력産後無力, 산후곤권産後困倦

04. 식욕부진食慾不振, 소화불량消化不良

05. 자한自汗

06. 현훈眩暈

07. 산후풍産後風?산후지절통産後肢節痛

08. 하복통下腹痛?아침통兒枕痛

09. 산후출혈産後出血

10. 음탈陰脫?자궁하수子宮下垂?탈출脫出

11. 두통頭痛

12. 유선염乳腺炎

13. 유즙부족乳汁不足

14. 소유消乳

15. 산후경폐産後經閉

16. 산후설사産後泄瀉

17. 산후변비産後便秘

18. 산후우울産後憂鬱

비뇨기질환泌尿器疾患

01. 요실금尿失禁

02. 소변빈삭小便頻數

03. 소변불금小便不禁

04. 소변불통小便不通

05. 소변불리小便不利

06. 잔뇨감殘尿感

07. 야뇨夜尿

08. 야간빈뇨夜間頻尿

09. 배뇨통排尿痛

10. 혈뇨血尿

11. 소변백탁小便白濁

12. 단백뇨蛋白尿

13. 방광염膀胱炎, 요도염尿道炎

14. 신장염腎臟炎

15. 전립선염前立腺炎

16. 전립선비대증前立腺肥大症

17. 요로결석尿路結石

생식기질환生殖器疾患

01. 여성음부소양증女性陰部搔痒症

02. 여성외음부염증女性外陰部炎症

03. 음탈陰脫

04. 고환염睾丸炎

05. 음낭수종陰囊水腫

06. 유정遺精

07. 발기부전勃起不全

08. 조루早漏

09. 정자무력증精子無力症?감소증減少症

10. 질건조증膣乾燥症, 분비물감소分泌物減少

11. 성교통性交痛

12. 성교출혈性交出血

13. 성불감증性不感症

소아질환小兒疾患

01. 식욕부진食慾不振

02. 구토嘔吐

03. 연변軟便

04. 설사泄瀉

05. 변비便秘

06. 복통腹痛

07. 성장통成長痛

08. 소아허약小兒虛弱

09. 발열發熱

10. 야뇨夜尿

11. 야제夜啼

12. 경기驚氣

13. 경계驚悸

14. 도한盜汗

15. 감기빈발感氣頻發

16. 감기感氣

17. 홍역紅疫

18. 수두手痘

19. 소아천식小兒喘息

20. 소아코피

21. 소아중이염小兒中耳炎

22. 틱tic

23. 유연증流涎症

소화기질환消化器疾患

01. 식욕부진食慾不振, 소식小食

02. 소화불량消化不良

03. 식체食滯

04. 식체빈발食滯頻發

05. 식상食傷?식중독食中毒

06. 주상酒傷

07. 구토嘔吐

08. 오심惡心?트림

09. 속쓰림

10. 위통胃痛

11. 복통腹痛

12. 하복통下腹痛

13. 하복포만下腹飽滿

14. 고창鼓脹

15. 충수염蟲垂炎

16. 설사泄瀉

17. 연변軟便, 세변細便

18. 대변빈번실금大便頻繁失禁, 식후즉변食後卽便

19. 변비便秘, 변폐便閉, 대변난大便難

20. 변혈便血

21. 탈항脫肛

22. 치질痔疾

23. 황달黃疸

24. 간염肝炎

25. 담결석膽結石

26. 매핵기梅核氣

27. 딸꾹질

28. 위하수胃下垂

29. 과민성대장증후군過敏性大腸症候群

30. 복명腹鳴

순환기질환循環期疾患

01. 중풍中風

02. 두통頭痛

03. 현훈眩暈

04. 안면마비顔面麻痺

05. 삼차신경통三叉神經痛

06. 하지무력下肢無力

07. 수족저림

08. 근육경련筋肉痙攣-쥐남

09. 협심증狹心症

10. 고혈압高血壓

11. 저혈압低血壓

12. 전신부종全身浮腫

13. 면부종面浮腫

14. 하지부종下肢浮腫

15. 수장번열手掌煩熱

16. 족번열足煩熱

17. 수족장번열手足掌煩熱

18. 수장한手掌汗

19. 수장건조手掌乾燥

20. 족장건조足掌乾燥?균열龜裂

21. 전신허랭全身虛冷

22. 수족手足冷

23. 족足冷

24. 하복下腹冷

25. 냉방병冷房病

26. 일사병日射病

27. 버거씨병

28. 번조煩燥

29. 진전振顫

30. 면열面熱

31. 면한面寒

안치이비인후질환眼齒耳鼻咽喉疾患

◎ 안과질환眼科疾患

01. 안구충혈眼球充血

02. 안구건조증眼球乾燥症

03. 안통眼痛

04. 안검경련眼瞼痙攣

05. 안검하수眼瞼下垂

06. 유루流淚

07. 다래끼

◎ 치과질환齒科疾患

01. 치통齒痛

02. 잇몸시림

03. 잇몸출혈

04. 치주염齒周炎

05. 치은염齒?炎

◎ 이과질환耳科疾患

01. 농루膿漏

02. 종통腫痛

03. 이명耳鳴

04. 이롱耳聾

05. 중이염中耳炎

06. 외이도염外耳道炎

◎ 비과질환鼻科疾患

01. 콧물

02. 비색鼻塞

03. 재채기

04. 후비루後鼻漏

05. 불문향취不聞香臭

06. 코골음

07. 비건鼻乾, 비창鼻瘡

08. 비치鼻痔, 비수종鼻水腫

09. 취비臭鼻

10. 코피

11. 알레르기성 비염

12. 비후성비염肥厚性鼻炎

13. 부비동염副鼻洞炎

◎ 구강질환口腔疾患

01. 구미口?, 구내염口內炎

02. 설염舌炎

03. 설균열舌龜裂

04. 지도설地圖舌

05. 구건口乾

06. 구갈口渴

07. 구고口苦

08. 구취口臭

09. 순건脣乾, 순균열脣龜裂

◎ 인후질환咽喉疾患

01. 인통咽痛, 인창咽瘡, 인종咽腫

02. 변성變聲

03. 실음失音

04. 매핵기梅核氣

05. 편도염扁桃炎

06. 후두염喉頭炎

07. 성대결절聲帶結節

정신질환精神疾患

01. 불안不安, 초조焦燥

02. 우울憂鬱

03. 공황장애恐惶障碍

04. 경계驚悸

05. 정충??

06. 흉비胸?

07. 불면不眠?천면淺眠

08. 기면嗜眠

09. 다몽多夢

10. 잠꼬대

11. 이갈이

12. 잠버릇

13. 몽유병夢遊病

14. 짜증, 신경질

15. 건망健忘, 기억력격감

16. 졸도卒倒, 중기中氣

17. 정신이상精神異常

18. 간질癎疾

19. 화병火病

20. 한숨쉼

피부질환皮膚疾患

01. 은진?疹

02. 반진?疹

03. 피부소양皮膚搔痒

04. 피부건조皮膚乾燥

05. 수장건조手掌乾燥

06. 족장건조足掌乾燥?균열龜裂

07. 면적面赤

08. 주사비酒渣鼻

09. 두창頭瘡

10. 옻오름

11. 손톱부러짐, 손톱변형, 손톱균열

12. 아토피성 피부염

13. 접촉성피부염接觸性皮膚炎

14. 한랭성피부염寒冷性皮膚炎

15. 햇빛 알레르기

16. 지루성피부염脂漏性皮膚炎

17. 주부습진主婦濕疹

18. 서혜부습진鼠蹊部濕疹

19. 여드름

20. 기미

21. 약물발진藥物發疹

22. 대상포진帶狀疱疹

23. 자반병紫斑病

24. 신장풍腎臟風?염창?瘡

25. 탈모脫毛

26. 종기腫氣

호흡기질환呼吸器疾患

01. 코감기

02. 기침감기

03. 목감기

04. 몸살감기

05. 발열감기

06. 한열감기

07. 내상감기

08. 여름감기

09. 임신감기

10. 허로감기

11. 천식喘息, 알레르기성 기관지천식

12. 기관지염氣管支炎

13. 기관지확장증氣管支擴張症

14. 폐결핵肺結核

15. 수면무호흡睡眠無呼吸

16. 가래

내분비질환內分泌疾患

01. 다한多汗

02. 도한盜汗

03. 수장한手掌汗

04. 하지한下肢汗

05. 액한腋汗

06. 낭습囊濕

07. 서혜부습진鼠蹊部濕疹

08. 무한無汗

09. 당뇨병糖尿病

10. 갑상선기능항진증甲狀腺機能亢進症

11. 갑상선기능저하증甲狀腺機能低下症

12. 골다공증骨多孔症

13. 임파선종淋巴腺腫

14. 담종痰腫?담핵痰核

허약질환虛弱疾患

◎ 전신허약

01. 피로疲勞, 곤권困倦

02. 혈색창백血色蒼白, 혈색불량血色不良

03. 감기빈발感氣頻發

04. 수술후 허약, 회복지연

05. 방사선후 장애

06. 노인성허약질환

07. 짜증, 신경질

08. 손톱균열

◎기허氣虛

01. 기운없음, 무기력無氣力

02. 곤권困倦, 신중身重

03. 하지무력下肢無力, 근무력筋無力

04. 소성小聲

05. 졸음

◎ 혈허血虛

01. 혈허연관처방

02. 빈혈貧血

03. 임신빈혈姙娠貧血

04. 경소經少

◎ 양허陽虛

01. 추위탐-외한畏寒

02. 전신랭全身冷, 전신시림

03. 복腹冷

04. 족足冷, 하지下肢冷

05. 냉방병冷房病

◎ 정허精虛

01. 정허연관처방

02. 발기부전勃起不全

◎ 음허陰虛

01. 음허연관처방

◎ 비허脾虛

01. 비허연관처방

02. 식욕부진食慾不振

03. 소식小食

04. 도포倒飽

05. 연변軟便, 세변細便

06. 대변빈번大便頻繁, 식후즉변食後卽便

07. 위하수胃下垂

08. 탈항脫肛

◎ 심허心虛

01. 심허연관처방

02. 경계驚悸

03. 다몽多夢

04. 몽유병夢遊病

05. 우울憂鬱

06. 저혈압低血壓

07. 건망健忘

◎ 신허腎虛

01. 신허연관처방

02. 경소經少

03. 습관성유산習慣性流産

04. 산후우울産後憂鬱

 

손익본초損益本草

山草산초-43종

01. 人蔘인삼

02. 甘草감초

03. 黃?황기

04. 薺?제니

05. 桔梗길경

06. 黃精황정

07. 知母지모

08. 肉?蓉육종용

09. 天麻천마

10. 赤箭적전

11. 白朮백출

12. 蒼朮창출

13. 狗脊구척

14. 貫衆관중

15. 巴戟파극

16. 遠志원지

17. 淫羊藿음양곽

18. 仙茅선모

19. 玄현삼

20. 地楡지유

21. 丹단삼

22. 紫草자초

23. 白?백급

24. 三七根삼칠근

25. 黃連황련

26. 胡黃蓮호황련

27. 黃芩황금

28. 秦?진교

29. 柴胡시호

30. 前胡전호

31. 防風방풍

32. 羌活강활

33. 獨活독활

34. 升麻승마

35. 苦參고삼

36. 白蘚皮백선피

37. 延胡索연(현)호색

38. 貝母패모

39. 山慈菰산자고

40. 白茅根백모근

41. 龍膽草용담초

42. 細辛세신

43. 白薇백미

芳草방초-33종

01. 當歸당귀

02. 川芎천궁

03. 蛇床子사상자

04. 藁本고본

05. 白芷백지

06. 白灼藥백작약

07. 赤芍藥적작약

08. 木香목향

09. 甘松감송

10. 良薑양강

11. 草荳?초두구

12. 草果초과

13. 白荳?백두구

14. 砂仁사인

15. 益智仁익지인

16. ?撥필발

17. 肉荳?육두구

18. 破古紙파고지

19. 薑黃강황

20. 鬱金울금

21. 莪朮아출

22. 三稜삼릉

23. 香附子향부자

24. 藿香곽향

25. 澤蘭葉택란엽

26. 香?향유

27. 荊芥형개

28. 薄荷박하

29. 蘇葉소엽

30. 蘇子소자

31. 大茴香대회향

32. 小茴香소회향

33. 百合백합

濕草습초-49종

01. 甘菊감국

02. 艾葉애엽

03. 茵蔯인진

04. 菁蒿청호

05. 益母草익모초

06. ?蔚子충울자

07. 夏枯草하고초

08. 金沸草금불초

09. 靑?子청상자

10. 紅花홍화

11. 大小?대소계

12. 續斷속단

13. 漏蘆누로

14. 苧根저근

15. 胡蘆巴호로파

16. 鼠?子서점자

17. 蒼耳子창이자

18. ??희렴

19. 甘蕉감초

20. 鶴?학슬

21. 麻黃마황

22. 木賊목적

23. 燈心등심

24. 生地黃생지황

25. 乾地黃건지황

26. 熟地黃숙지황

27. 牛膝우슬

28. 紫?자원

29. 麥門冬맥문동

30. 葵花규화

31. 龍葵용규

32. 酸漿산장

33. 旱蓮草한련초

34. 款冬花관동화

35. 草決明초결명

36. 地膚子지부자

37. 瞿麥구맥

38. 王不留行왕불류행

39. ??子정력자

40. 罌粟殼앵속각

41. 車前子차전자

42. 連翹연교

43. 靑黛청대

44. 虎杖根호장근

45. ?蓄편축

46. ?藜질려

47. 穀精草곡정초

48. 海金砂해금사

49. 蒲公英포공영

毒草독초-20종

01. 大黃대황

02. 商陸상륙

03. 狼毒낭독

04. 大戟대극

05. 甘遂감수

06. 續隨子속수자

07. ??子낭탕자

08. ?麻子피마자

09. 常山상산

10. 黎蘆여로

11. 附子부자

12. 川烏천오

13. 草烏초오

14. 白附子백부자

15. 南星남성

16. 半夏반하

17. 射干사간

18. 鳳仙子봉선자

19. ?花원화

20. 烟草연초

蔓草만초-31종

01. ?澄茄필징가

02. 胡椒호초

03. 薯?서여

04. 兎絲토사

05. 沙사삼

06. 白扁豆백편두

07. 五味子오미자

08. 使君子사군자

09. 木鼈목별

10. 馬兜鈴마두령

11. 牽牛견우

12. 瓜蔞仁과루인

13. 天花粉천화분

14. 葛根갈근

15. 天門冬천문동

16. 百部根백부근

17. 何首烏하수오

18. ??비해

19. 土茯?토복령

20. 白?백렴

21. 山豆根산두근

22. ?靈仙위령선

23. ?草천초

24. 防己방기

25. 通草통초

26. 木通목통

27. 釣鉤藤조구등

28. 忍冬인동

29. 金銀花금은화

30. 丁公藤정공등

31. 絲瓜사과

水草수초-10종

01. 澤瀉택사

02. 石菖蒲석창포

03. 蒲黃포황

04. 浮萍부평

05. 海藻해조

06. 海帶해대

07. 昆布곤포

08. 海菜해채

09. 甘苔감태

10. 鹿角菜녹각채

石草석초-2종

01. 石斛석곡

02. 骨碎補골쇄보

苔草태초-1종

01. 拳柏권백

香木향목-28종

01. 側柏葉측백엽

02. 柏子백자

03. 松脂송지

04. 肉桂육계

05. 桂心계심

06. 桂枝계지

07. 辛夷신이

08. 沈香침향

09. 丁香정향

10. 檀香단향

11. 川椒천초

12. 吳茱萸오수유

13. 檳?빈

14. 大腹皮대복피

15. 枳?지구

16. 枇杷葉비파엽

17. 烏藥오약

18. 乳香유향

19. 沒藥몰약

20. 血竭혈갈

21. 安息香안식향

22. 蘇合香소합향

23. 龍腦용뇌

24. 阿魏아위

25. 蘆?노회

26. 胡桐淚호동루

27. 茶茗다명

28. 黃梅황매

喬木교목-20종

01. 黃柏황백

02. 厚朴후박

03. 杜仲두충

04. 樗根白皮저근백피

05. 乾漆건칠

06. 海桐皮해동피

07. 苦?根고련근

08. 川?子천련자

09. 槐花괴화

10. 秦皮진피

11. 牙?子아조자

12. ?角刺조각자

13. 訶子가자

14. 水楊수양

15. 楡皮유피

16. 蕪荑무이

17. 蘇木소목

18. 樺皮화피

19. 棕櫚皮종려피

20. 巴豆파두

灌木관목-20종

01. 桑?子상심자

02. 桑白皮상백피

03. 桑??상표초

04. 桑寄生상기생

05. 楮實저실

06. 枳實지실

07. 枳殼지각

08. 梔子치자

09. 酸棗仁산조인

10. 山茱萸산수유

11. 金櫻子금앵자

12. 郁李仁욱리인

13. 女貞實여정실

14. 五加皮오가피

15. 枸杞子구기자

16. 地骨皮지골피

17. 蔓荊子만형자

18. 牧丹皮목단피

19. 密蒙花밀몽화

20. 寶豆보두

寓木우목-5종

01. 茯?복령

02. 茯神복신

03. 琥珀호박

04. 猪?저령

05. 雷丸뇌환

苞木포목-5종

01. 竹葉죽엽

02. 竹瀝죽력

03. 竹茹죽여

04. 竹筍죽순

05. 天竺黃천축황

?辛菜훈신채-16종

01. ?菜구채

02. ?子구자

03. 蔥白총백

04. 大蒜대산

05. 蕓?운대

06. ?菜숭채

07. 芥菜개채

08. 白芥子백개자

09. 蔓菁만청

10. 蔓菁子만청자

11. 萊?根내복근

12. 萊?子내복자

13. 生薑생강

14. 乾薑건강

15. 胡?호유

16. 水芹수근

柔滑菜유활채-10종

01. 薺菜제채

02. ?蓂子석명자

03. 蓴菜순채

04. ??목숙

05. 馬齒?마치현

06. ??와거

07. 蕨菜궐채

08. 芋子우자

09. 甘藷감저

10. 冬葵子동규자

瓜菜과채-4종

01. 茄子가자

02. 冬瓜동과

03. 南瓜남과

04. 胡瓜호과

芝?지이-2종

01. 松耳송이

02. 石耳석이

五果오과-6종

01. 李이

02. 杏仁행인

03. 烏梅오매

04. 桃仁도인

05. 栗子율자

06. 大棗대조

山果산과-17종

01. 梨이

02. 木모과

03. 山査산사

04. 林檎임금

05. ?子시자

06. 石榴석류

07. 陳皮진피

08. 靑皮청피

09. 柑子감자

10. 柚子유자

11. 櫻桃앵도

12. 白果백과

13. 胡桃肉호도육

14. 榛子진자

15. 落花生낙화생

16. 覆盆子복분자

17. 橡實상실

夷果이과-5종

01. ?枝여지

02. 龍眼용안

03. 橄欖감람

04. 榧實비실

05. 海松子해송자

瓜果과과-7종

01. 甛瓜첨과

02. 瓜?과체

03. 西瓜서과

04. 葡萄포도

05. ??영욱

06. ??桃미후도

07. 砂糖사탕

水果수과-3종

01. 藕우

02. 蓮肉연육

03. ?實감실

麻麥稻마맥도-9종

01. 胡麻仁호마인

02. 麻油마유

03. 火麻화마

04. 小麥소맥

05. 大麥대맥

06. 蕎麥교맥

07. ?米나미

08. 粳米갱미

09. 荏子임자

稷粟직속-8종

01. 稷米직미

02. 黍米서미

03. 玉蜀黍옥촉서

04. 黃粱황량

05. 靑梁청량

06. 粟米속미

07. ??출촉

08. 薏苡仁의이인

菽豆숙두-4종

01. 大豆대두

02. 大豆黃卷대두황권

03. 赤豆적두

04. 菉豆녹두

造釀조양-9종

01. 淡豆?담두시

02. 豆腐두부

03. 陳倉穀진창곡

04. 神?신곡

05. 麥芽맥아

06. 飴糖이당

07. 醬장

08. 醋초

09. 酒주

卵蟲난충-10종

01. 石蜜석밀

02. 蜂房봉방

03. 五倍子오배자

04. 百藥煎백약전

05. 白?蠶백강잠

06. ??청령

07. 斑猫반묘

08. 全蝎전갈

09. 水蛭수질

10. 蜘蛛지주

化蟲화충-4종

01. 蟬退선퇴

02. 蟾?섬여

03. 蜈蚣오공

04. ?蚓구인

龍용-4종

01. 龍骨용골

02. 紫稍花자초화

03. 穿山甲천산갑

04. 蛤?합개

蛇사-2종

01. 蛇退사퇴

02. 花蛇화사

-13종

01. 鯉魚이어

02. ?魚연어

03. 石魚석어

04. ?魚즉어

05. ?魚치어

06. ?魚방어

07. ?魚노어

08. ?魚궐어

09. 大口魚대구어

10. ?魚회어

11. ?膠표교

12. 靑魚청어

13. 北魚북어

無鱗魚무린어-19종

01. ?魚여어

02. 鰻?魚만리어

03. ?魚선어

04. ?魚추어

05. 黃?魚황상어

06. ?魚전어

07. 鮎魚점어

08. ?魚홍어

09. 河豚하돈

10. 比目魚비목어

11. 鮫魚교어

12. 烏賊魚오적어

13. 海??해표초

14. 鰕하

15. 海馬해마

16. 八稍魚팔초어

17. 小八稍魚소팔초어

18. 白魚백어

19. 銀條魚은조어

龜鼈귀별-5종

01. 龜甲귀갑

02. 鼈肉별육

03. 鼈甲별갑

04. 蟹해

05. ?蟹방해

蚌蛤방합-12종

01. 白蛤肉백합육

02. 蛤?肉합리육

03. 牡蠣모려

04. 海粉해분

05. 珍珠진주

06. 瓦壟肉와롱육

07. 石決明석결명

08. ?정

09. 貝子패자

10. 淡菜담채

11. 海해삼

12. 田螺전라

水禽수금-2종

01. 白?肉백아육

02. 鴨肉압육

原禽원금-8종

01. 雄鷄웅계

02. 鷄內金계내금

03. 雉肉치육

04. ?肉순육

05. 雀肉작육

06. 雀卵작란

07. 夜明砂야명사

08. 五靈脂오령지

林禽임금-3종

01. 鴉肉아육

02. 鵲肉작육

03. 鳩肉구육

畜축-9종

01. 猪肉저육

02. 犬肉견육

03. 羊肉양육

04. 牛肉우육

05. 阿膠아교

06. 牛黃우황

07. 馬肉마육

08. 驢肉여육

09. ?油수유

獸수-11종

01. 虎骨호골

02. 犀角서각

03. 熊膽웅담

04. 羚羊角영양각

05. 鹿茸녹용

06. 鹿角膠녹각교

07. 鹿角霜녹각상

08. 麝香사향

09. 兎肉토육

10. ??臍올눌제

11. ?肉단육

鼠서-2종

01. 鼠肉서육

02. 刺?皮자위피

人인-6종

01. 紫河車자하거

02. 頭髮두발

03. 人屎인시

04. 童便동변

05. 人乳인유

06. 口津구진

水수-1종

01. 臘雪水납설수

土토-2종

01. 伏龍肝복룡간

02. 京墨경묵

金石금석-35종

01. 金箔금박

02. 銀屑은설

03. 黑鉛흑연

04. 自然銅자연동

05. 黃丹황단

06. 密陀僧밀타승

07. 鐵漿철장

08. 雲母운모

09. 紫石英자석영

10. 朱砂주사

11. 水銀수은

12. 輕粉경분

13. 靈砂영사

14. 雄黃웅황

15. 石膏석고

16. 滑石활석

17. 赤石脂적석지

18. 爐甘石노감석

19. 石鍾油석종유

20. 陽起石양기석

21. 磁石자석

22. 代?石대자석

23. 禹餘粮우여량

24. ?霜비상

25. 靑?石청몽석

26. 花蘂石화예석

27. 食鹽식염

28. 凝水石응수석

29. 芒硝망초

30. 玄明粉현명분

31. ?砂망사

32. 硼砂붕사

33. 硫黃유황

34. 白礬백반

35. 石油석유

 

한의약서韓醫藥書

1. 綜合書종합서

高句麗고구려

01. 高麗老師方고려노사방

百濟백제

01. 百濟新集方백제신집방

新羅신라

01. 新羅法師方신라법사방

高麗고려

01. 濟衆立?方제중입효방

02. 藥方약방

03. 鄕藥救急方향약구급방

04. 御醫撮要方어의촬요방

05. ?仙活人心方구선활인심방

06. 診脈圖訣진맥도결

07. 三和子鄕藥方삼화자향약방

08. 鄕藥古方향약고방

09. 東人經驗方동인경험방

10. 鄕藥惠民經驗方향약혜민경험방

11. 鄕藥簡易方향약간이방

朝鮮조선

01. 鄕藥濟生集成方향약제생집성방

02. 本朝經驗方본조경험방

03. 鄕藥集成方향약집성방

04. 鄕藥本草향약본초

05. 鄕藥本草圖향약본초도

06. 醫方類聚의방유취

07. 撮要新書촬요신서

08. 救急方구급방

09. 食療纂要식료찬요

10. 醫藥論의약론

11. 新纂救急簡易方신찬구급간이방

12. 醫門精要의문정요

13. 醫方要錄의방요록

14. 救急易解方구급이해방

15. 村家救急方촌가구급방

16. 活人新方활인신방

17. 經驗方경험방

18. 鄭北窓方정북창방

19. 醫林撮要의림촬요

20. 醫學辨症의학변증

21. 醫學指南의학지남

22. 諺解救急方언해구급방

23. 東醫寶鑑동의보감

24. 東醫寶鑑의 出版史

25. 良方金丹양방금단

26. 四醫經驗方사의경험방

27. 舟村新方주촌신방

28. 醫門寶鑑의문보감

29. 廣濟秘?광제비급

30. 通玄集통현집

31. 單方新編단방신편

32. 濟衆新編제중신편

33. 壽民妙詮수민묘전

34. 纓雲齊方영운제방

35. 醫鑑刪定要訣의감산정요결

36. 醫學鍼線의학침선

37. 本草附方便覽본초부방편람

38. 身機踐驗신기천험

39. 醫林秘書의림비서

40. 醫宗損益의종손익

41. 醫方活套의방활투

42. 方藥合編방약합편

43. 醫彙의휘

44. 醫方撮要의방촬요

45. 醫鑑重磨의감중마

46. 丹谷經驗方抄단곡경험방초

47. 醫本의본

48. 察病用藥訣찰병용약결

49. 八陣方팔진방

50. 經驗方경험방

近世근세

01. 袖珍經驗神方수진경험신방

02. 醫方新鑑의방신감

03. 醫家秘訣의가비결

04. 春鑑錄춘감록

05. 靑囊訣청낭결

06. 通俗漢醫學原論통속한의학원론

07. 東洋醫學叢書동양의학총서

08. 洪家定診秘傳홍가정진비전

09. 醫窓論攷의창논고

10. 最新韓方臨床治療學최신한방임상치료학

11. 漢方臨床四十年한방임상사십년

12. 東洋醫學診療要鑑동양의학진료요감

13. 素虛後世處方學소허후세처방학

14. 古今醫方고금의방

15. 晴崗醫鑑청강의감

附錄부록 - 北韓북한韓醫學書한의학서

01. 東醫寶鑑飜譯本동의보감번역본

02. 東醫處方大典동의처방대전

03. 東醫治療經驗集成동의치료경험집성

04. 東醫學叢書동의학총서

05. 醫方類聚飜譯本의방유취번역본

06. 辨證奇聞辨證錄변증기문변증록

07. 外經외경

08. 新東醫學辭典신동의학사전

2. 專門書전문서

産婦人科산부인과

01. 胎産要錄태산요록

02. 産書산서

03. 諺解胎産集要언해태산집요

04. 胎敎新記태교신기

05. 醫寶의보

06. 産方隨錄산방수록

小兒科소아과

01. 及幼方급유방

02. 幼幼一心유유일심

03. 小兒醫方소아의방

04. 經驗秘方小兒保鑑경험비방소아보감

05. 漢方醫學小兒專科한방의학소아전과

06. 小兒保鑑소아보감

麻疹마진

01. 麻疹奇方마진기방

02. 麻疹篇마진편

03. 麻科會通마과회통

04. 麻疹彙成마진휘성

05. 麻方統彙마방통휘

痘瘡두창

01. 瘡疹集창진집

02. 諺解瘡疹方언해창진방

03. 諺解痘瘡集要언해두창집요

04. 痘瘡經驗方두창경험방

05. 經驗痘方경험두방

06. 種痘心法要旨종두심법요지

07. 時種通編시종통편

08. 醫家神方의가신방

09. 牛痘新說우두신설

10. 濟?新編제영신편

11. 人父須知인부수지

?瘟벽온

01. 簡易?瘟方간이벽온방

02. 分門瘟疫易解方분문온역이해방

03. 新纂?溫方신찬벽온방

04. ?疫神方벽역신방

05. ?瘟新方벽온신방

黃疸황달, ?疾학질

01. 黃疸?疾治療方황달학질치료방

眼科안과

01. 目科一覽목과일람

治腫科치종과

01. 治腫秘方치종비방

02. 治腫指南치종지남

03. 若山好古撮要약산호고촬요

鍼灸침구

01. 纂圖方論脈訣集成찬도방론맥결집성

02. 鍼灸要訣침구요결

03. 鍼灸經驗方침구경험방

本草본초

01. 鄕藥採取月令향약채취월령

02. 本草精華본초정화

03. 本草類函要領본초유함요령

04. 申氏本草學신씨본초학

05. 本草學본초학

06. 標準本草學표준본초학

譯註역주, 醫論의론

01. 醫藥論의약론

02. 醫零의령

03. 解惑辨疑해혹변의

04. 黃帝素問節要황제소문절요

05. 醫鑑重磨醫門入式의감중마의문입식

四象醫學사상의학

01. 東醫壽世保元동의수세보원

02. 東醫四象新編동의사상신편

運氣論운기론

01. 草窓訣초창결

02. 草堂遺訣초당유결

03. 濟?篇제륭편

道敎醫學도교의학

01. 醫藥鑑의약감

02. 道藏輯要撮도장집요촬

養生양생

01. 二養編이양편

02. 壽養叢書類輯수양총서유집

法醫學법의학

01. 新註無寃錄신주무원록

02. 增修無寃錄증수무원록

03. 增修無寃錄諺解증수무원록언해

04. 審理錄심리록

05. 檢要검요

獸醫學수의학

01. 鷹?方응골방

02. 新編集成牛馬醫方신편집성우마의방

03. 古本鷹?方고본응골방

04. 牛馬羊猪染疫病治療方우마양저염역병치료방

05. 馬經抄集마경초집

臘藥납약

01. 諺解臘藥證治方언해납약증치방

02. 藥房謄錄약방등록

醫譜의보

01. 醫科先生案의과선생안

02. 醫科八世譜의과팔세보

醫學記事記載書籍의학기사기재서적

01. 世宗地理志세종지리지

02. 攷事撮要고사촬요

03. 攷事新書고사신서

04. 山林經濟산림경제

05. 增補山林經濟증보산림경제

06. 林園經濟志임원경제지

 

본문 중에서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중풍에 걸려 의식을 잃고 쓰러졌을 때 생명을 구하기 위해 취하는 행위를 구급(救急)이라고 하며, 여기에서는 이를 위해 사용하는 처방을 구급으로 표현했다. 중풍은 뇌혈관장애이기 때문에 빨리 치료하지 않으면 상태가 악화되어 생명을 잃을 수도 있고, 심각한 후유증을 남기는 경우도 있다.

_53쪽

 

인간은 항온동물(恒溫動物)이기 때문에 적절한 체온이 유지되어야 생명현상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몸이 극도로 허랭(虛冷)해졌다는 것은 인체의 기능이 저하되어 생명현상을 이어갈 수 없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_71쪽

 

하초열(下焦熱)은 비뇨기나 생식기에 열이 몰려 장애를 일으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전신발열이 나타나기도 하지만 주요증상은 생식기조직이나 주위 조직의 충혈(充血)로 인한 소변불리(小便不利), 소변불통(小便不通), 요혈(尿血), 낭습(囊濕), 냉대하, 전립선염(前立腺炎) 등이며, 하부(下部) 소화기에 영향을 주었을 때는 대변비결(大便秘結)이 동반되는 경우도 있다.

_103쪽

 

주상(酒傷)은 과음이나 잦은 음주로 인해 소화기조직이 손상되었을 때 발생하는 오심(惡心), 구토, 소화불량, 설사를 의미한다. 술을 조금씩 마시면 체열(體熱)이 높아지면서 인체의 기능이 활성화된다는 장점이 있지만, 반복하여 마시거나 한 번에 많은 양을 마시게 되면 인체의 조직이 이완(弛緩)되고, 이완된 조직 사이에 담음(痰飮)이 울체(鬱滯)된다.

_115쪽

 

六味地黃元(上40)

熟地黃 八兩 山藥 山茱萸 各四兩 白茯? 牧丹皮 澤瀉 各三兩

음허(陰虛)한 상태에서 나타나는 허약, 피로, 족번열(足煩熱), 도한(盜汗), 육혈(?血), 소변빈삭(小便頻數) 등에 사용하며, 자음강화탕이나 청리자감탕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처럼 열증(熱症)이 강하게 나타나지 않는다.

_127쪽

 

산후(産後)에 체력소모가 과다하여 몸이 허약해지고, 이로 인해 목소리가 잘 나오지 않는 증상이다. 실음(失音)은 교사나 성악가가 성대(聲帶)를 과도하게 사용하여 목이 쉬는 경우처럼 성대 자체의 장애 때문에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_244쪽

 

《동의보감》에서는 두풍(頭風)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두풍은 원래 담음(痰飮)이 있거나, 목욕하다가 한사(寒邪)를 받았거나, 바람받이에 오랫동안 누워 있어서 머리와 목덜미에 풍사(風邪)가 침범하게 되면 생긴다.

_299쪽

 

안구건조증의 원인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는데, 첫째 눈물 생성이 부족한 경우, 둘째 눈물층의 이상으로 눈물이 빨리 건조되는 경우이다. 두 경우 모두 안부(眼部)에 자윤(滋潤)이 부족하거나 혈액이 충분히 공급되지 못한 것이 원인이다.

_319쪽

불문향취(不聞香臭)는 냄새를 맡지 못하는 증상이다. 냄새를 맡지 못하는 증상을 일반적으로 후각장애(嗅覺障?)라고 한다. 냄새를 맡게 되는 것은 공기 중에 퍼져 있는 냄새분자가 콧속으로 들어와서 콧속 점막(粘膜)의 수용체와 결합되고, 이러한 자극이 후각신경(嗅覺神經)을 통해 뇌(腦)에 도달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일련의 과정에서 어떤 장애가 발생했을 때 냄새를 맡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_330쪽

 

구사(求嗣)는 구자(求子)라고도 하며, 불임증(不姙症)을 의미한다. 불임(不姙)은 전신허약으로 인한 경우와 자궁의 기능장애로 인한 경우가 있다. 물론 전신이 허약하면 자궁기능이 나빠질 수 있고, 자궁기능에 장애가 생겼을 때도 허약해질 수 있기 때문에 서로 불가분의 관계라고 할 수 있지만, 처방을 활용하기 위해 나누어 생각하는 것이 좋다.

_434쪽

 

식욕이 좋거나 체력이 좋은 사람에게 쥐가 났을 때 사용한다. 또한 과로나 질병으로 허약해진 상태에서 피로, 곤권, 식욕부진, 근육통, 자한(自汗), 도한(盜汗), 감기몸살 등이 발생한 경우에도 사용한다.

_493쪽

 

양치질을 할 때 칫솔의 자극으로 잇몸에서 출혈이 발생하여 피가 묻어나올 때 사용한다. 대부분 신경을 많이 쓴 사람, 또는 피부가 건조하거나 연약한 사람에게 사용한다.

_554쪽

 

건강해 보이는 사람의 도한에 사용한다. 과로(過勞), 질병(疾病) 등으로 자윤물질(滋潤物質)이 결핍되어 있는 상태에서 도한(盜汗)이 발생했을 때 사용한다. 당귀육황탕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자윤결핍이 심하지만 열성상태는 덜하다.

_587쪽

 

淫羊藿辛陰陽興 堅筋益骨志力增

음양곽신음양흥 견근익골지력증

음양곽은 맛이 맵고, 성은 온하며, 肝, 腎經에 들어가 작용한다. 음양을 흥성하게 하고, 근골을 튼튼하게 하며, 지력을 좋게 한다.

_610쪽

 

益母草甘最宜婦 去瘀生新産前後

익모초감최의부 거어생신산전후

익모초는 맛이 쓰고 매우며, 성은 미한하며, 心包, 肝經에 들어가 작용한다. 부인에게 가장 좋으며, 어혈을 없애고 신혈을 만드니 산전 산후에 쓴다.

_620쪽

 

大蒜辛溫化肉穀 解毒散癰過損目

대산신온화육곡 해독산옹과손목

대산은 맛이 맵고, 성은 온하며, 脾, 胃, 肺經에 들어가 작용한다. 육류와 곡식을 소화시키며, 해독하고 산옹도 하는데, 과용하면 눈이 상하게 된다.

_648쪽

 

人乳味甘補陰陽 悅顔明目却老方

인유미감보음양 열안명목각노방

인유는 맛이 달면서 짜고, 성은 평하며, 心, 肝, 胃經에 들어가 작용한다. 음양을 보하며, 얼굴이 좋아지고, 눈이 밝아지고, 노쇠방지의 약이 된다.

_681쪽

 

活人新方활인신방

中宗 33年(1538) 慶尙左道 兵馬節度使를 지낸 朴英박영이 編纂. 현존하지 않음 朴英박영은 少時에 武科에 及第하고도, 儒書에 洞達했으며 다방면에 조예가 깊었다. 특히 의술도 높아 많은 사람을 치료했다고 한다.

_693쪽

 

産方隨錄산방수록

1865年 刊行된 木版本. 《壽生新鑑수생신감》에 ‘麻疹方’과 함께 合編되어 있다. ‘丁茶山先生製’라고 되어 있으나 《俟菴年譜사암연보》 등 저술 목록이 보이지 않기 때문에 실제 茶山의 저술인지는 불확실하다.

_699쪽

 

',한방 ,생활 지혜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의학 연구책  (0) 2013.01.12
한의사, 동의학 사전(자)..... www.cuckorea.com   (0) 2013.01.11
한의학 특수진료_한의외치요법  (0) 2013.01.08
귀리효능  (0) 2012.11.23
좋은 한방 차(음료)들  (1) 2012.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