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방 ,생활 지혜방

한의학 특수진료_한의외치요법

모링가연구가 2013. 1. 8. 16:01

  • 한의학 특수진료_한의외치요법
  • Ⅰ. 정의 한의외치요법은 한의와 외치요법이라는 용어의 복합명사이다. 한의는 한의학을 의미하며 외치요법은 기존의 내치와 상반된 개념의 용어이다. 내치란 내복약을 투여하든지 약이되는 음식물을 섭취하는 형태로서의 치료효과를 유도하는 방법이다. 반면에 외치는 약을 구강을 통해서 위장관에 투여되는 형태를 취하지 않고 피부나 호흡기 등 구규에 다양한 자극의 방법을 통해서 치료효과를 유도하는 방법이다. 이렇게 설명하면 기공이나 침구치료 기타 물리요법도 외치요법에 속한다. 즉 한의외치요법이란 한의학적인 이론을 바탕으로 피부나 호흡기 등 구규에 다양한 자극의 방법을 통해서 치료효과를 유도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기존의 침구치료나 기공 및 물리요법의 분야는 전문적인 연구분야가 존재하므로 우선적인 연구방향으로 잡지 않는다. 현재 한의외치요법학회는 침구나 기공 물리요법의 분야를 제외한 모든 분야를 외치요법에서 연구하고자 하는 분야로 정하고 있다. Ⅱ. 외치요법의 기원과 역사 한의학에서 외치요법에 관한 전문적인 서적이나 고전은 없다. 여기에는 이유가 있다. 본초의 외용은 이미 한의학의 태동기에서부터 시행되었으니라라고 추측된다. 그 이유는 인간보다 원시적이라는 짐승에게서도 스스로의 상처를 외치를 통하여 치유하려는 노력을 관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본능적인 능력은 인간에게 이성적인 치유방법으로 모색되는데 그 증거로 중국의 가장 오래된 처방서인 五十二病方에는 뱀에 물린 경우 겨자를 으깨서 바르는 방법에 대한 기록이 있다. 동의보감에는 신침법이라는 방법으로 32가지 약물을 잣나무로 만든 목침안에 넣어 베고 잠을 자도록 하는 방법으로 양생의 목적을 이루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이 기록은 전한시대 무제때의 일이므로 기원전의 일이다. 이후 외치요법에 관한 기록은 내치법과 더불에 지속적으로 의서에 수재되어 왔다. 이후 후한이후 삼국시대의 화타에 관한 기록이 있을 때에는 외과수술을 시행할 정도로 발달되어 왔으나 이후 외과치료에 관한 빈약한 치료법에 의존하여 피부질환이나 외상을 치료하는 정도로 발달되었다. 중국에서는 청대 이후 보다 전문적인 고약학이나 첩부요법에 대한 서적이 출판되고 있었으나 한국의 경우 전문적인 서적의 소개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후 1994년에 이르러 한방외용약이라는 전문서적이 출판되고 한의외치요법학회의 결성에 힘입어 한의사에 의하여 외치요법 분야를 주창하고 임상에 적극적으로 적용하게 되었다. Ⅲ. 외치요법의 기본이론 1. 天食人以五氣 외치요법의 기본이론은 내경에서 시작된 것으로 해석한다. 내경에 天食人以五氣 地食人以五味라는 구절이 있다. 이 구절을 통해서 본초의 천부적인 특성인 오기를 통하여 사람에게 투약한다는 의미의 해석을 통하여 외치법의 근거를 취합할 수 있다. 대우주는 소우주인 인간에게 상호 공진하는 역할을 하는데 대우주의 하늘과 같은 경청한 기운은 오기라는 특성을 가진 기운으로 인간의 호흡과 피부의 접촉 구규의 접촉을 통하여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의미이다. 중탁한 기운은 오미라는 물질로 섭취된다는 의미이다. 이것은 즉 내치와 외치의 근거를 확보하는 구절로 해석할 수 있다. 2. 피부침투의 이론 외치요법은 피부나 구규를 통하여 작용하는 약물에 의하여 작용한다. 결국 소과기를 통하거나 혈관주사 및 근육주사에 의하지 않기 때문에 침투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론이 준비되어 있어야 한다. 한의학의 전통적인 방법으로 외용약이 소개된 것은 고약을 통해서이다. 고약은 기제가 각종 식물유나 동물성 유지가 선택되었다. 이것은 충분히 가치있는 의미를 제공한다. 피부의 침투에 있어서 피부의 리피드결합층을 침투하는 것은 중대한 의미를 가지는데 약성분을 기름성분에 추출하여 바르는 관계로 충분히 유효한 성분을 피부를 통하여 침투시킬 수 있는 이론적인 준비가 되어있었다. 회분의 사용을 통한 침투의 방법은 리피드 결합층을 투과하는 방법에 리피드 결합을 깰 수 있는 계면활성제의 역할을 수행하는 회분이야말로 충분한 기제로 활용할 수 있었다. 또한 특수한 수렴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아울러 특정한 치료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특성이 있다. 꿀이나 식초의 사용을 통한 침투 및 수렴작용의 보완도 회분의 사용과 맥락을 같이 한다. 침투가 용이한 물질을 선택하는 방법도 모색된 것으로 안다. 특히 방향성 물질이나 급성자의 이용은 피부의 각피층을 투과하거나 연화시키는 작용을 선택하는 방법으로 충분한 가능성이 있다. 신열한 약물의 선택으로 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