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만리 머나먼 길에 ☆
- 왕방연 -
천만리 머나먼 길에 고운님 여의옵고
내 마음 둘 데 없어 냇가에 앉아이다
저 물도 내 안 같도다 울어 밤길 예놋다
천 리 만 리 머나먼 저승길에 고운 님(단종)을 영원히 사별하옵고 (돌아오니)
나의 슬픈 마음을 붙일 데가 없어 객사에 앉았습니다.
(흘러가는) 저 냇물도 내 마음 같아서 울며불며 밤길을 흘러갑니다.
○ 주제 - 임(단종)과의 이별을 슬퍼함.
(군신유의,충성심)
○ 지은이 - 왕방연[王邦衍,(연대미상)]
사육신에 의한 단종 복위 기도 사건이 발각된 뒤, 폐위된 단종이 영월로 유배될 때에 의금부도사(義禁府都事)로서 호송하였다. 이것은 그때의 울적한 심정을 읊은 시조이다.
○ 말 뜻
* 천만리(千萬里) - 영월이 서울에서 멀고도 멀다는 뜻.
*고운님 - 예쁜 님인데, 어린 단종을 가리킨다.
충정어린 말이다.
* 여의옵고 - 이별하옵고.
* 내 안 - 내 속. 내 마음.
* 예놋다 - 가는구나! '녀다>녜다> 예다'는 '가다', '~놋다'는
'~노다, 나다'와 같은 말로서 감탄형 종결어미다.
○ 감상
천리 만리, 멀고도 먼 곳에 와서 고운 임(단종임금)을 이별하고 혼자 돌아가는 길이라 내 마음도 언짢고 갈피를 잡을 수가 없어, 냇가에 앉아서 시름에 잠겨 있노라니, 저 무심히 흘러가는 냇물도 내 이 슬픈 마음과 같아서 울면서 밤길을 가는구나!
밤에 냇물이 졸졸 소리를 내며 흘러가는 것과 지은이가 슬픈 마음을 달래면서 밤길을 가는 것을 아주 잘 어울리게 조화시켜, 읽는 이의 심금을 울린다. 그러나 그보다도 더 본질적인 문제는 "내 마음 둘 데 없어"와 "저 물도 내 안 같도다"에서 포착되는 지은이의 마음의 갈등이다.
의금부도사로서 폐위된 단종을 배소(配所)로 압송하는 중대한 직책을 완수하였으므로 그로서는 자기의 사명을 다한 셈이 되지만, 마음은 더욱 괴롭고 심한 갈등을 느낀다. 그 까닭은 말할 것도 없이 그의 마음속 깊이 자리잡고 있는 '군신유의(君臣有義)'의 유교 사상에서 오는 도덕관과 정의감때문이다. 즉 불의에 희생된 어린 임금에 대한 동정 내지 충성심의 발로인 것이다. "고운님 여의옵고"라는 구절에선 그것을 역력히 느낄 수가 있다.
'밤길' '냇가'라는 엄숙한 자연 환경이 그로 하여금 인간 본연의 심성에 눈뜨게 한 것이라고 말할 수 있는 감동적인 작품이다.
☆ 천만리 머나먼 길에 ☆
- 왕방연 -
천만리 머나먼 길에 고운님 여의옵고
내 마음 둘 데 없어 냇가에 앉아이다
저 물도 내 안 같도다 울어 밤길 예놋다
천 리 만 리 머나먼 저승길에 고운 님(단종)을 영원히 사별하옵고 (돌아오니)
나의 슬픈 마음을 붙일 데가 없어 객사에 앉았습니다.
(흘러가는) 저 냇물도 내 마음 같아서 울며불며 밤길을 흘러갑니다.
○ 주제 - 임(단종)과의 이별을 슬퍼함.
(군신유의,충성심)
○ 지은이 - 왕방연[王邦衍,(연대미상)]
사육신에 의한 단종 복위 기도 사건이 발각된 뒤, 폐위된 단종이 영월로 유배될 때에 의금부도사(義禁府都事)로서 호송하였다. 이것은 그때의 울적한 심정을 읊은 시조이다.
○ 말 뜻
* 천만리(千萬里) - 영월이 서울에서 멀고도 멀다는 뜻.
*고운님 - 예쁜 님인데, 어린 단종을 가리킨다.
충정어린 말이다.
* 여의옵고 - 이별하옵고.
* 내 안 - 내 속. 내 마음.
* 예놋다 - 가는구나! '녀다>녜다> 예다'는 '가다', '~놋다'는
'~노다, 나다'와 같은 말로서 감탄형 종결어미다.
○ 감상
천리 만리, 멀고도 먼 곳에 와서 고운 임(단종임금)을 이별하고 혼자 돌아가는 길이라 내 마음도 언짢고 갈피를 잡을 수가 없어, 냇가에 앉아서 시름에 잠겨 있노라니, 저 무심히 흘러가는 냇물도 내 이 슬픈 마음과 같아서 울면서 밤길을 가는구나!
밤에 냇물이 졸졸 소리를 내며 흘러가는 것과 지은이가 슬픈 마음을 달래면서 밤길을 가는 것을 아주 잘 어울리게 조화시켜, 읽는 이의 심금을 울린다. 그러나 그보다도 더 본질적인 문제는 "내 마음 둘 데 없어"와 "저 물도 내 안 같도다"에서 포착되는 지은이의 마음의 갈등이다.
의금부도사로서 폐위된 단종을 배소(配所)로 압송하는 중대한 직책을 완수하였으므로 그로서는 자기의 사명을 다한 셈이 되지만, 마음은 더욱 괴롭고 심한 갈등을 느낀다. 그 까닭은 말할 것도 없이 그의 마음속 깊이 자리잡고 있는 '군신유의(君臣有義)'의 유교 사상에서 오는 도덕관과 정의감때문이다. 즉 불의에 희생된 어린 임금에 대한 동정 내지 충성심의 발로인 것이다. "고운님 여의옵고"라는 구절에선 그것을 역력히 느낄 수가 있다.
'밤길' '냇가'라는 엄숙한 자연 환경이 그로 하여금 인간 본연의 심성에 눈뜨게 한 것이라고 말할 수 있는 감동적인 작품이다.
- 보낸이
- 연구가 (sg4811@hanmail.net) 주소록 추가
- 08-10-17 20:08
Content-Type |
text/html; charset=euc-kr | ||
---|---|---|---|
Content-Transfer-Encoding |
8bit | ||
X-Originating-IP |
[211.115.115.13] | ||
From |
"=?EUC-KR?B?v6yxuLCh?=" <sg4811@hanmail.net> | ||
Organization |
=?EUC-KR?B?vda4tijB1ik=?= | ||
To |
<sg4811@hanmail.net> | ||
Subject |
=?EUC-KR?B?W726xam3pl0gvcPBtg==?= | ||
X-Mailer |
Daum Web Mailer 1.1 | ||
X-Hanmail-Scrap-Info |
iEB53qqyV3z43Bfr+CQ62MkbLxaB1F9/L5cTWdxau/eto3LLu1wQQN8/d1SNqC8uIncQum9+u+JhtULOvk7qsr7ZLqderazYhmwmrGYu8ueV+YTOtC1ygBIuMjm2S5Wu4czjz1v21Ij7Aboyvbd7IGVArsQ3CDb0jPibh5yeM04mqcrUMfZtQYyzgMW0rbHhqZySpGOrGYVMMv0GBymXaw== | ||
Date |
Fri, 17 Oct 2008 20:08:45 +0900 (KST) | ||
Message-Id |
<20081017200845.HM.000000000000417@sg4811.wwl319.hanmail.net> | ||
Errors-To |
<sg4811@hanmail.net> | ||
X-HM-UT |
Le7EPhJrUJ1U1EqZhv9YGTdbQo2LPIBg4ZXM4OMHYCY= | ||
MIME-Version |
1.0 |
' name=ADDRNAME>
☆ 천만리 머나먼 길에 ☆
- 왕방연 -
천만리 머나먼 길에 고운님 여의옵고
내 마음 둘 데 없어 냇가에 앉아이다
저 물도 내 안 같도다 울어 밤길 예놋다
천 리 만 리 머나먼 저승길에 고운 님(단종)을 영원히 사별하옵고 (돌아오니)
나의 슬픈 마음을 붙일 데가 없어 객사에 앉았습니다.
(흘러가는) 저 냇물도 내 마음 같아서 울며불며 밤길을 흘러갑니다.
○ 주제 - 임(단종)과의 이별을 슬퍼함.
(군신유의,충성심)
○ 지은이 - 왕방연[王邦衍,(연대미상)]
사육신에 의한 단종 복위 기도 사건이 발각된 뒤, 폐위된 단종이 영월로 유배될 때에 의금부도사(義禁府都事)로서 호송하였다. 이것은 그때의 울적한 심정을 읊은 시조이다.
○ 말 뜻
* 천만리(千萬里) - 영월이 서울에서 멀고도 멀다는 뜻.
*고운님 - 예쁜 님인데, 어린 단종을 가리킨다.
충정어린 말이다.
* 여의옵고 - 이별하옵고.
* 내 안 - 내 속. 내 마음.
* 예놋다 - 가는구나! '녀다>녜다> 예다'는 '가다', '~놋다'는
'~노다, 나다'와 같은 말로서 감탄형 종결어미다.
○ 감상
천리 만리, 멀고도 먼 곳에 와서 고운 임(단종임금)을 이별하고 혼자 돌아가는 길이라 내 마음도 언짢고 갈피를 잡을 수가 없어, 냇가에 앉아서 시름에 잠겨 있노라니, 저 무심히 흘러가는 냇물도 내 이 슬픈 마음과 같아서 울면서 밤길을 가는구나!
밤에 냇물이 졸졸 소리를 내며 흘러가는 것과 지은이가 슬픈 마음을 달래면서 밤길을 가는 것을 아주 잘 어울리게 조화시켜, 읽는 이의 심금을 울린다. 그러나 그보다도 더 본질적인 문제는 "내 마음 둘 데 없어"와 "저 물도 내 안 같도다"에서 포착되는 지은이의 마음의 갈등이다.
의금부도사로서 폐위된 단종을 배소(配所)로 압송하는 중대한 직책을 완수하였으므로 그로서는 자기의 사명을 다한 셈이 되지만, 마음은 더욱 괴롭고 심한 갈등을 느낀다. 그 까닭은 말할 것도 없이 그의 마음속 깊이 자리잡고 있는 '군신유의(君臣有義)'의 유교 사상에서 오는 도덕관과 정의감때문이다. 즉 불의에 희생된 어린 임금에 대한 동정 내지 충성심의 발로인 것이다. "고운님 여의옵고"라는 구절에선 그것을 역력히 느낄 수가 있다.
'밤길' '냇가'라는 엄숙한 자연 환경이 그로 하여금 인간 본연의 심성에 눈뜨게 한 것이라고 말할 수 있는 감동적인 작품이다.
'현대시 옛시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삿갓 / 24. 影浸綠水衣無濕(영침록수의무습) (0) | 2008.10.20 |
---|---|
한국화와 조선 명기들의 시조 (0) | 2008.10.19 |
서산대사시 답설야중거 (0) | 2008.10.18 |
최고운 선생 시 가야산 독서당 (0) | 2008.10.17 |
황강시비 (0) | 2008.1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