絶代佳人難得
傾國
花下見無期
一雙愁黛遠山眉
不忍更思惟
(절대가인난득
경국
화하견무기
일쌍수대원산미
불인경사유)
절대 가인은 얻기 어려워
경국지색이라 하였지
꽃 아래 만날 기약 없어
그리움에 찬 두 눈썹에 수심이 맺혀
차마 다시 생각하지 못하리
☞ 위장(韋莊), <하엽배(荷葉杯)> 중에서
※ 荷葉杯: 연잎 모양의 술잔. 한가운데에 대롱 달린 구멍이 있어 대롱을 통해 술을 빨아 마시게 만들었다.
※ 遠山眉: 파랗게 그린 먼 산 같은 눈썹이라는 뜻. 흔히 미인의 눈썹을 형용하여 이르는 말로 쓰인다. 蓮花峽(연꽃같은 붉은 뺨)·芙蓉膚(부용같이 하얀 피부)와 함께 미인의 3대 조건으로 탁문군(卓文君)의 아름다운 용모를 묘사한 표현이기도 하다.
※ 현대 중국화가 화삼천(華三川)의 <사미도(四美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