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초와 연꽃부채/춘강화 愛蓮說 水陸草木之花, 可愛者甚蕃, 晉陶淵獨愛菊, 自李唐來世人甚愛牧丹, 予獨愛蓮之, 出於淤泥而不染, 濯淸漣而不妖, 中通外直不蔓不枝, 香遠益淸亭亭淨植, 可遠觀而, 不可褻翫焉, 予謂, 菊花之隱逸者也, 牧丹花之富貴者也, 蓮花之君子也, 噫,; 菊之愛陶後鮮有聞, 蓮之愛, 同予者何人, 牧丹之愛, 宜.. 그림 모음방 2011.04.26
신묘년/ [ 귀여운 토끼 그림들 ] 신묘년/ [ 귀여운 토끼 그림들 ] [ 귀여운 토끼 그림들 ] 19세기 영국 화가인 Sir Henry Paeburn 의 Boy and Rabbit 10세기 독일 화가인 Felix Schlesinge의 Two Chidren playing with Rabbits Felix Schlesinge의 Futterung Der kaninchnen 19세기 영국화가인 John Roddam Spencer Stanhope의 The White Rabbit 19세기 프랑스 화가인 Ferdinand Loyen Du Puigaudeau 의 .. 그림 모음방 2011.04.22
朝鮮時代의 名畵 朝鮮時代의 名畵 제목: 예장소요도(曳杖逍遙圖) * 작가: 이불해(李不害) * 소장: 국립중앙박물관 언제 : 16세기 후반 * 재료 : 비단에 담채 * 규격 : 18.6 x 13.5 cm 해설 : 이불해는 조선시대 중기의 선비화가로 알려져. 그의 신상에 대하여는 밝혀진 사실이 적다. 제목 : 산수인물도(山水人物圖) *소장 : 국립중.. 그림 모음방 2011.04.19
朝鮮時代의 名畵 朝鮮時代의 名畵 제목: 예장소요도(曳杖逍遙圖) * 작가: 이불해(李不害) * 소장: 국립중앙박물관 언제 : 16세기 후반 * 재료 : 비단에 담채 * 규격 : 18.6 x 13.5 cm 해설 : 이불해는 조선시대 중기의 선비화가로 알려져. 그의 신상에 대하여는 밝혀진 사실이 적다. 제목 : 산수인물도(山水人物圖) *소장 : 국립중.. 그림 모음방 2011.04.19
朝鮮時代의 名畵 朝鮮時代의 名畵 제목: 예장소요도(曳杖逍遙圖) * 작가: 이불해(李不害) * 소장: 국립중앙박물관 언제 : 16세기 후반 * 재료 : 비단에 담채 * 규격 : 18.6 x 13.5 cm 해설 : 이불해는 조선시대 중기의 선비화가로 알려져. 그의 신상에 대하여는 밝혀진 사실이 적다. 제목 : 산수인물도(山水人物圖) *소장 : 국립중.. 그림 모음방 2011.04.19
朝鮮時代의 名畵 朝鮮時代의 名畵 제목: 예장소요도(曳杖逍遙圖) * 작가: 이불해(李不害) * 소장: 국립중앙박물관 언제 : 16세기 후반 * 재료 : 비단에 담채 * 규격 : 18.6 x 13.5 cm 해설 : 이불해는 조선시대 중기의 선비화가로 알려져. 그의 신상에 대하여는 밝혀진 사실이 적다. 제목 : 산수인물도(山水人物圖) *소장 : 국립중.. 그림 모음방 2011.04.19
朝鮮時代의 名畵 朝鮮時代의 名畵 제목: 예장소요도(曳杖逍遙圖) * 작가: 이불해(李不害) * 소장: 국립중앙박물관 언제 : 16세기 후반 * 재료 : 비단에 담채 * 규격 : 18.6 x 13.5 cm 해설 : 이불해는 조선시대 중기의 선비화가로 알려져. 그의 신상에 대하여는 밝혀진 사실이 적다. 제목 : 산수인물도(山水人物圖) *소장 : 국립중.. 그림 모음방 2011.0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