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부자(꽃)
3, 투구꽃(대관령)
4, 투구꽃
5, 투구꽃(열매)
6, 세뿔투구꽃
7, 세뿔투구꽃
8, 각시투구꽃
9, 두메투구꽃
10, 놋젓가락나물
11,놋젓가락나물
12, 세잎돌쩌귀
13, 그늘돌쩌귀(잎)
14, 그늘돌쩌귀(꽃)
15, 이삭바꽃
16, 지리바꽃
혈액순환 강심 이뇨 신경통 음위증에 효험
▶ 아픔멎이작용, 강심작용, 이뇨작용, 혈액순환작용, 중풍, 류마티스 관절염, 신경통, 냉증, 음위증에 효험있는 독초 초오 키다리바꽃, 지리바꽃, 선덩굴바꽃, 왕바꽃, 흰왕바꽃, 투구꽃, 노랑돌쩌귀, 이삭바꽃, 각시 투구꽃, 한라돌쩌귀, 흰한라돌쩌귀, 참줄바꽃, 싹눈바꽃, 개싹눈바꽃, 세뿔투구꽃, 진돌쩌귀, 노랑투구꽃, 세잎돌쩌귀, 그늘돌쩌귀, 흰그늘돌쩌귀, 선투구꽃, 가는돌쩌귀, 가는줄돌쩌귀, 진교, 흰진교, 줄오독도기(줄바꽃)등이 초오속에 속한다. 안전하다. tum triphyllum Nakai), 키다리바꽃(Aconitum arcuatum Maxim.)등의 뿌리를 말린 것이다. 이삭바꽃, 세잎돌쩌귀는 각지의 산에서 자라고 키다리바꽃은 북부의 산에서 자란다. 독이 있다. 십이경맥(十二經脈)에 다 작용한다. 풍습을 없애고 통증을 멈춘다. 풍한습비증, 중풍으로 다리를 쓰지 못하는 데, 파상풍, 배가 차고 아픈 데, 류머티즘성관절염, 신경통 등에 쓴다. 하루 2~4그램(법제한 것)을 탕약, 환약, 산제, 형태로 먹는다. 외용약으로 쓸 때는 법제하지 않은 것을 가루내서 기초제에 개어 붙이거나 식초나 술에 불려 갈아서 바른다. 허약한 사람과 열증으로 아픈 데는 쓰지 않는다. 반하, 과루인, 패모, 백렴, 백급 등과 배합 금기이다.] 항온작용 감기, 신경통, 늑막염, 각기, 당뇨병, 다발성 관절염, 심장 및 핏줄계통이 질병, 위병, 구풍, 구충약, 이뇨 촉진, 관절통, 관절염, 각기, 냉병, 배아픔, 음위증, 신경통, 편두통, 류마티스성 질병 40변종이 자란다. 가색을 띤 하늘색의 투구 모양의 꽃이 핀다. 1~@년 지나서 죽는다. 엄지뿌리를 오두(천오)라 하고 새끼 뿌리를 부자(천부자)라고 한다. 크기에 따라 큰 것을 천웅, 작은 것을 누람자, 아주 작은 것을 양두첨, 부자에서 생겨난 곁뿌리를 측자라고 한다. 지금은 이렇게 까지 구별하지 않는다. 새끼뿌리가 엄지뿌리에서 갈라진 것이고, 오두는 새로 자란 엄지뿌리에서 잎과 줄기가 돋아 나고 작은 새끼 뿌리가 생겼을 때의 뿌리이다. 천웅은 부자와 오두의 중간, 즉 이른여름 줄기가 돋아났을 때에 새로 생긴 엄지뿌리이다. 측자는 여름과 가을에 엄지뿌리에 생긴 어린 새끼뿌리이다. 중국의 중부 원산으로, 중부와 남부에서 심는다. 절반 정도 말린 다음 다시 담갔다가 꺼내서 말리기를 여러 번 반복하여 겉면에 소금 결정이 돋게 한 것이다. 잠깐 끓여서 꺼낸 다음 사탕과 기름으로 밤색을 띠게 가공한 것이다. 때로 유황으로 표백하기도 한다. 겉껍질을 벗기고 두 조각 낸 것을 의미할 때도 있다. 같이 가공하는 옛날 방법도 있다. 가공의 기준은 혀의 마비감이 없을 때까지이다. 90분 쪄도 혀에 마비감이 없게 된다고 한다. 호흡이 떨어진다. 호흡중추마비, 심전도장애, 순환기마비, 지각 및 운동신경마비로 간대성, 강직성 경련, 토하기, 동공을 확대시킨다. 심하면 허탈에 빠지고 손발이 차지면서 혼수에 이른다. 심하면 사망할 수 있다. 물질대사 기능이 약해진 상태를 회복시키며 온몸과 관절통, 마비, 풍습통, 요통, 허약한 사람의 배아픔, 한냉으로 온 배아픔과 설사, 내장 기관의 이완 증상을 치료하는데 쓴다. 가공된 부자 하루 0.2~0.5g을 쓴다. 경험적으로 법제한 포부자는 3~10g, 천오 법제품은 1.5~5g을 쓰는 경우가 있다.
잎은 3개로 깊이 갈라졌고 가장자리에 성긴 톱니가 있다. 줄기 윗부분에 희거나 하늘색의 투구 모양의 꽃이 핀다. 씨앗집은 털이 있고 3개로 갈라진다. 북부와 중부의 산기슭, 떨기나무 사이에서 자란다. 세잎돌쩌귀이다. 섞일 수 있으나 생긴 모양이 크게 다르고 자라는 곳이 제한되어 있다. 이것을 감초, 검은콩(뿌리의 10퍼센트)과 함께 삶아서 말린 다음 가루낸다. 또는 증기로 6~8시간 찌거나 소금물에 15~30일 담갔다가 물에 씻어 햇볕에 말린다. 약으로 쓰지 못한다. 일부 외용약을 만들어 신경통에 바르기도 한다. 어지러움, 부정맥, 숨가쁨, 게우기, 운동마비가 있다. 그리고 침분비항진, 동공축소, 핏줄 확장, 눈물 등이 있다. 심하면 사망할 수 있다. 있는 것을 고려하여 신진대사 기능을 높일 목적으로 쓴다. 즉 대사 기능 장애 특히 순환기 계통 기능장애와 땀을 많이 흘려 팔다리가 뻣뻣해지고 심한 설사로 근육이 꼬이며 뼈와 가슴이 차고 아프며 풍습성인 관절아픔, 치통, 편두통, 관절염, 각기, 냉병, 배아픔, 음위, 신경아픔에 쓴다. 하루 0.2~05g을 물 200cc로 달여 3번 나누어 먹는다. 잘만 사용한다면 뛰어난 치료제가 될 수 있다. 초오는 너무 일찍 캐면 알이 없고 6~7월에가장 알이 차며 8월이 되면 알이 빠져 버린다. 민간에서는 초오술을 담궈서 즉 30도 이상 되는 알코올에 담가서 6개월 지난뒤에 소주잔으로 5분의 1 가량 소량씩을 먹고 관절염, 신경통, 중풍, 냉증 등을 고쳤다고 전해진다. 혀와 입안이 말려들어가며 속이 답답하고 죽을 것 같은 지경에 이르러 사경을 헤멘 경험이 있다. 성냥 끝부분만큼 조금씩 실험하고 양을 차츰 늘려간다면 크게 문제될 것이 없다고 본다. 처음 실험에서 한번에 절대로 초오를 절반이나 한개를 먹어서는 안될 것이다. 안전하게 실험을 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로서는 본인은 초오 3분의 1정도 먹어도 견딜 수 있을 만큼 면역력이 증가하게 되었다. 앓던 중 부자를 생으로 먹고 기절하였는데, 깨어나고 난뒤부터 골수병이 재발되지 않고 다 나았다고 하였다. 그분은 맹독성의 약이 명약이라고 하면서 요즘도 가끔 만나면 그 당시를 회상하면서 부자 이야기를 하시며 웃음을 짓기도 한다. 명문, 삼초에 주로 작용하는 약이다. 생것을 쓰면 여러 가지 약을 이끌어서 경맥으로 돌아가게 한다. 밀가루반죽에 싸서 재불에 묻어 구워서 껍질과 배꼽을 버린 다음 썰어서 동변에 담갔다가 닦아서 말리여 쓴다. 건강과 같이 쓰지 않으면 덥게 하지 못하며 생각과 같이 쓰면 발산시키는데 이것은 열로 열을 치는 것이다. 또 허열을 인도하여 열을 없앤다. 왕지네와 상오약이고 방풍, 검정콩, 감초, 인삼, 단너삼, 무소뿔, 오해와는 상외약이다. 약전국푼물, 대추살, 엿을 금한다. 새로 길어온 우물물은 부자의 독을 푼다. 동변에 5이동안 담갔다가 썰어서 껍질과 배꼽을 떼어버리고 찬물에 또 3일 동안 담갔다가 검정콩, 감초와 같이 익도록 끓인다. 그다음 햇볕에 말리거나 약한 불기운에 말려서 쓴다. 비유해서 말하면 인삼과 찐지황은 좋은 세상에서의 어진 재상이고 부자와 대황은 어지러운 세상에서의 날랜 장수라고 하였다. 적취를 헤치는 효과 또한 있다더라.> 법제하는 방법은 부자와 같다. 소금을 넣어 쓰면 효과가 더욱 빠르다." 동변에 담갔다가 닦아서 참대칼로 썰거나 검정콩과 함께 삶아서 쓴다. 바꽃즙을 사망이라 하는데 약효와 쓰는법은 바꽃과 같다. 치료하더라.> 양명경에 작용한다. 싸서 구워서 쓴다. 다른 약기운을 위로 올라가게 인도한다.] 황도연이 쓴 <방약합편>에서는 부자를 포하는 방법을 이렇게 적고 있다. [부자를 동변(12살 아래 남자 어린이의 오줌)에 4일간 담갔다가 껍질과 꼭지부분을 긁어버리고 찬물에 3일간 담근다. 이것을 꺼내어 검정콩과 감초를 함께 잘 익도록 달여서 햇볕에 말리거나 약한 불기운에 말린다. '외하는 법 즉 싸서 굽는법'은 위의 방법과 같이 동변이나 찬물에 담근다. 이렇게 한 부자를 썰어 한겹 놓고 그 위에 생강을 쪼개서 한겹 놓는 방법으로 엇 바꾸어 겹겹이 쌓는다. 이것을 밀까루반죽으로 싸서 약한 불에 묻어 구운 다음 꺼내어 위의 방법대로 말린다. 오두(천오)를 포하는 방법도 이와 같다.] 하지만 맹독성을 가지고 있는 독초들이 약 5~10% 존재한다. 독초를 잘 알고 독을 해독하는 방법과 법제를 통해서 독성을 완화시키거나 낮추어 잘 활용만 한다면 질병 치료에 큰 효험을 볼 수 있다. (글/ 약초연구가 전동명)
|
미나리아재비과 초오속에 속하는 맹독성 유독식물인 "지리바꽃" 의 아름다운 모습
중풍, 강장, 건위제로 감초와 검은콩을 넣고 달여서 법제하여 소량을 약으로 사용한다.
지리 바꽃의 특징은 다른곳에서 자라는 초오와는 다르게 잎이 깊게 5갈래로 갈라지고 다시 깃모양으로 가늘게
갈라지며 꽃자루에 많은 털이 있는 것이 일반 초오와 다른점이다.
우리나라에는 현재 26가지의 초오속 식물이 자생한다.
맹독성을 가진 초오의 어린싹이 자라고 있다.
초오는 옛날 죄인을 처벌하는 사약으로 사용하기도 하였다.
* 효능별분류 속을 덥혀주는약 *
부자(附子)
심장에 작용하여 온몸의 경맥이 잘 순환되게 하고 밖으로는
추위를 몰아내고 몸의 저항력을 강하게 합니다.
따라서 부자는 양기가 부족하여 손발이 차고 맥이 약하면서 기운이
없을 때, 속이 차고 설사를 자주 하며 몸에 부종이 생길 때,
허리와 무릎이 시리고 아프면서 음위증이 나타날 때 등에 효과를 나타냅니다.
또한 사지가 저리고 아프면서 마비가 올 때, 경련 발작을 할 때 등에도 효과가
있습니다. 즉, 옛말에 부자는 『죽어가는 사람의 양기를 돋구어 맥을 통하게
하여 다시 살리는 묘미가 있는 약』이라 하였듯이, 매우 뜨거운 성질과 독성이
강하여 함부로 써서는 안되지만 이 강력한 약성을 적절히 이용하면 신묘한
효과를 낼 수 있는 약재입니다.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인 부자의 건조한 자근.
부자는 가공한 방법에 따라 염부자(鹽附子), 흑순편(黑順片), 백부편(白附片)
으로 나뉩니다.
염부자 - 원추형으로 길이 4-7㎝, 지름 3-5㎝이며, 표면은 회흑색으로
소금결정이 덮혀 있고, 주위에는 잔뿌리의 흔적이 보입니다.
단면은 회갈색입니다.
흑순편 - 위는 넓고 아래는 좁은 형태이고 길이는 1.7-5㎝, 너비 0.9-3㎝,
두께 0.2-0.5㎝입니다.
외피는 흑갈색이며 절단면은 암황색으로 기름기가 있고 광택이 나며
반투명합니다. 질은 단단하면서 부스러지기 쉽고 단면은 각질상입니다.
백부편 - 외피가 없고 황백색이며 반투명하고 두께는 0.3㎝입니다.
중국의 사천, 협서 등지가 주된 집산지입니다.
약리실험 결과 항염작용, 진통작용, 강심작용 등이 있음이 밝혀졌습니다.
6월 말에서 8월 초에 부자의 덩이 뿌리를 채취하여 잔뿌리 등을 제거한 후
물에 씻어 햇볕에 말려서 이용합니다.
하루에 4-12g을 복용합니다.
단, 부자는 독성이 매우 강하므로 반드시 한의사나 한약사가
적절하게 법제(가공)한 것을 사용하여야 합니다.
건강(乾薑), 감초(甘草) 등과 배합하면 사역탕(四逆湯)이라 하여
심한 설사, 땀, 구토로 인한 탈수로 손발이 차가워지고 의식이 몽롱해지는
증상을 다스립니다.
몸에 진액이 부족하여 허열이 뜨거나 열이 심한 사람, 임산부에는 절대 복용하여선
안됩니다.
관련질환 [비위허약]
민간요법 [소아 신우신장염]
원문 ; 산사랑 산야초
본 약제는 독성이 가장 강한 약제입니다.
함부로 사용하지 말고 전문가의 처방이나
전문의사의
',한방 ,생활 지혜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암 약초와 효능 (0) | 2013.03.17 |
---|---|
개머루덩쿨 (0) | 2013.03.15 |
귀사문석 & 황토 왜 좋은가?! (0) | 2013.03.12 |
교통위반 벌금, 별점 상세표 (0) | 2013.03.09 |
일반 약재을 법제 하는법 | 약초/독초/법제법 (0) | 2013.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