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화에 월백하고 / 이조년(李兆年)
이화(梨花)에 월백(月白)하고 은한(銀漢)이 삼경(三更)인 졔
일지춘심(一枝春心)을 자규(子規)ㅣ야 아랴마난
다정(多情)도 병(病)인 양하야 잠 못 드러 하노라.
현대어 풀이
하얗게 핀 배꽃에 달은 환히 비치고 은하수는 (돌아서) 자정 무렵을 알리는 때에
배꽃 한 가지에 어린 봄날의 정서를 자규가 알고서 저리 우는 것일까마는
다정다감한 나는 그것이 병인 듯 하여 잠을 이루지 못하노라.
시어 및 시구 풀이
*월백(月白) : 달이 밝게 비치고.
*삼경(三更) : 한밤중. 밤 11시-오전 1시. 자시(子時). 병야(丙夜)
*일지춘심(一枝春心) : 한 나무가지에 어려 있는 봄날의 애상적인 정서.
*자규(子規) : 소쩍새. 두백(杜魄). 불여귀(不如歸).
이화(梨花)에 월백(月白)하고 은한(銀漢)이 삼경(三更)인 졔
일지춘심(一枝春心)을 자규(子規)ㅣ야 아랴마난
다정(多情)도 병(病)인 양하야 잠 못 드러 하노라.
현대어 풀이
하얗게 핀 배꽃에 달은 환히 비치고 은하수는 (돌아서) 자정 무렵을 알리는 때에
배꽃 한 가지에 어린 봄날의 정서를 자규가 알고서 저리 우는 것일까마는
다정다감한 나는 그것이 병인 듯 하여 잠을 이루지 못하노라.
시어 및 시구 풀이
*월백(月白) : 달이 밝게 비치고.
*삼경(三更) : 한밤중. 밤 11시-오전 1시. 자시(子時). 병야(丙夜)
*일지춘심(一枝春心) : 한 나무가지에 어려 있는 봄날의 애상적인 정서.
*자규(子規) : 소쩍새. 두백(杜魄). 불여귀(不如歸).
망제혼(望帝魂). 귀촉도(歸蜀道). 촉조(蜀鳥)
*알냐마난 : 알까마는. 알겠는가마는.
출전 <병와가곡집>, <청구영언>
작품개괄
-작가 이조년(고려 말엽) 고려 말기의 학자, 정치가.
*알냐마난 : 알까마는. 알겠는가마는.
출전 <병와가곡집>, <청구영언>
작품개괄
-작가 이조년(고려 말엽) 고려 말기의 학자, 정치가.
호는 매운당(梅雲堂) 또는 백화헌.(百花軒)
충숙왕과 충혜왕 때 원나라에 내왕하며 국가에 공을 세웠고,
예문관 대제학을 거쳐 성산군에 책봉되었다.
오늘날 전하는 고시조 가운데 자주 애송되는 것으로,
잠못 이루는 밤의 심정을 자연을 통해 표현한 절구(絶句)라는 평가를 받는다.
시호는 문열(文烈)이다. 시조 1수가 전한다.
-갈래 평시조
-연대 고려 말기
-성격 다정가(多情歌)
-출전 <병와가곡집>, <청구영언>
-주제 봄밤의 애상적인 정감
-특징
1. 이화, 월백, 은한 등 백색의 이미지로 정감을 형성함.
2. 문학성이 뛰어남.
-표현
1. 상징법. 의인법
2. 애상적인 정서를 시각적, 청각적 이미지로 구체화시켰다.
작품 평가
이화의 청초와 순백, 월백의 환상과 낭만, 삼경 은한의 신비감,
-갈래 평시조
-연대 고려 말기
-성격 다정가(多情歌)
-출전 <병와가곡집>, <청구영언>
-주제 봄밤의 애상적인 정감
-특징
1. 이화, 월백, 은한 등 백색의 이미지로 정감을 형성함.
2. 문학성이 뛰어남.
-표현
1. 상징법. 의인법
2. 애상적인 정서를 시각적, 청각적 이미지로 구체화시켰다.
작품 평가
이화의 청초와 순백, 월백의 환상과 낭만, 삼경 은한의 신비감,
자규의 처절과 애원, 이것들이 뒤범벅이 되어 빚어내는
봄밤의 애상적이면서도 낭만적인 분위기는 사람으로 하여금
우수에 잠겨 전전반측(輾轉反側) 잠 못 이루게 하고 있다.
의인법과 직유법의 표현으로 '배꽃과 달빛', '소쩍새'의 이미지를 통하여
봄밤의 애상과 우수에 잠겨 잠을 이루지 못하는 작자의 심정이 잘 나타나 있다.
한 가닥 지향할 수 없는 애상적인 봄밤의 정서는
'이화, 월백, 은한' 등의 백색 언어와 자규(소쩍새)에 연결되어
작자의 충정이 청빈, 고독함을 나타내면서 모든 시상이 일지춘심에 집중되고 있다.
'다정가(多情歌)'라고도 부르는 이 시조는
고려시대 시조 중에서 문학성이 가장 뛰어난 작품으로 평가된다.
|
'현대시 옛시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수화를 배경으로 옛 기생들의 시조를 감상해 보시지요. (0) | 2009.05.14 |
---|---|
西山大師 詩碑 (0) | 2009.05.14 |
그대여서 참 좋다/류인순 (0) | 2009.05.02 |
思 親 (어머니 생각) / 신사임당 (0) | 2009.05.01 |
有感(유감) - 조식(曺植) (0) | 2009.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