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면적의 약 1/5 크기인 부탄은 히말라야의
산맥에 둘러 싸인 채 신비에 싸여 있었다
부탄이 인도와 영국의 영향으로부터 벗어나
해외에 문호를 개방한 것이 1960년대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786_5?1224053845.jpg)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786_32?1224053845.jpg)
생산 공장도 찌든 공해도 찾아 보기 힘든
[지구상 마지막 샹그릴라]라고 불리는
자연 그대로 보존된 국가이자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나라이기도 하며,
아이러니 하게도 세계에서 8번째 아시아 에서는
첫번재로 행복한 나라 이기도 하다
(지난 2006년10월11일자 비즈니스위크에서
세계에서 가장 행복한 나라들[The World's Happiest Countries]을 뽑아 소개한 내용 中 에서 발취)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786_20?1224053845.jpg)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786_36?1224053845.jpg)
부탄은 세계에서 가장 험준한 지형을 자랑하는
나라 중 하나로, 산 속에서 많은 주거생활을
하고 있다 국민들의 약80%인 대다수가 농경으로
생계를 이어가고 있지만 산악지대인 만큼
경작 가능한 땅은전체 국토의 2.3%에 불과하다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786_16?1224053845.jpg)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786_13?1224053845.jpg)
남부 아시아의 중국과 인도 사이 히말라야산맥
동쪽에 있는 나라 1907년 영국의 인정으로
군주제가 성립되었고 1947년 인도가
영국으로부터 독립함에 따라
1949년 영국에 합병되었던 인도-부탄 지역을
돌려받는 대신 인도에 국방과 외교권을
위임하고 독립하였다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786_40?1224053845.jpg)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786_34?1224053845.jpg)
히말라야 산맥에 위치하며 면적은47,000㎢로
수도는 팀부 Thimphu이며 인구 682,321명이다
정식명칭은 부탄왕국(Kingdom of Bhutan)이다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786_23?1224053845.jpg)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786_26?1224053845.jpg)
부탄 왕국은 히말라야의 동쪽에, 북으로는
티베트와 남으로는 인도의 아삼 주 및
벵갈 서부지방과 국경을 이루고 있다
중앙에 히말라야 산맥이 위치하고
산들로 둘러싸인 내륙 국가다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786_7?1224053845.jpg)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786_37?1224053845.jpg)
7,300미터에 이르는 히말라야 산맥의
티베트 고원과 경계를 이루는 북쪽에서
남쪽으로 내려가면 높이가 낮아지면서
비옥한 계곡이 형성되어 있다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786_4?1224053845.jpg)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786_29?1224053845.jpg)
계절풍(몬순)은 이 지역에 산림을 풍성하게
했으며 높은 곳에는 산악인들이
거주할 수 있게 만들었다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786_18?1224053845.jpg)
경작이 가능한 중부와 히말라야 언덕에
인구가 밀집해 있다 남쪽의 Daurs 평원은
히말라야 산맥 보다 고도가 낮아 아열대
숲과 열대 초원(사바나), 대나무 숲으로 이루어져있다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786_11?1224053845.jpg)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786_0?1224053845.jpg)
국토의 대부분이 해발고도 2,000m 이상의
산악지대로 평야가 거의 없다
최근까지 인도의 보호 아래 있었으며,
티베트 문화권에 속하고 티베트와 같이
쇄국정책을 써왔다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786_6?1224053845.jpg)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786_33?1224053845.jpg)
제2차 세계대전 후 인도는 부탄과의 국경선에
여행 금지선을 설정하여 현재까지
외국인 입국자가 가장 적은
비경(秘境)으로 존재한다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786_24?1224053845.jpg)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786_30?1224053845.jpg)
오래 전에 사라진 탄트라(tantra)의 사상을
간직하고 있는 지구상의 유일한 곳이기도 하다
1971년 국제연합(UN)에 가입하였다.
행정구역은 18개 행정구(dzongkhag)로 이루어져 있다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786_25?1224053845.jpg)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786_15?1224053845.jpg)
부탄의 옛 기록은 화재와 지진으로
소멸되어 신비에 싸여 있다
8세기경에 Guru Padma Sambhava가
비호를 타고 티벳에서 부탄으로 날아와
타루 벨리에 있는 호랑이의 거처인
탁상 Taktsang에 왔다는 전설이 있다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786_1?1224053845.jpg)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786_21?1224053845.jpg)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786_41?1224053845.jpg)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786_9?1224053845.jpg)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786_38?1224053845.jpg)
해발 3120m 산에 자리잡은 보금자리 라는 뜻을 지니고 있는, 부탄의 탁상(Taktshang)
사원은 파로 골짜기 300m의 절벽위에
아슬아슬하게 붙어있듯 지어져 있다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786_14?1224053845.jpg)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786_12?1224053845.jpg)
파드마 삼바바가 호랑이를 타고 온 장소라는
전설이 내려오며 부탄의 국민들에게
이곳은 최대의 성지다 1692년에 세워졌으며,
1998년4월 19일 원인 불명의 대화재를 겪기도 하였다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786_27?1224053845.jpg)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786_8?1224053845.jpg)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786_3?1224053845.jpg)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786_35?1224053845.jpg)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786_22?1224053845.jpg)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786_28?1224053845.jpg)
부탄은 16세기부터 푸나카 사원의
대승정(大僧正) 다르마 라자의 지배를 받았고,
행정의 실무는 데프 라자(副王)가 행하므로
승·속(僧俗)의 이중 통치 형태를 이루고 있었다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786_19?1224053845.jpg)
그러나 지방의 군(郡)에는 토후(土侯)가
있어서 그 지배력이 강하였다
1907년 중부에 있던 통사군의 군수(郡守)
우겐 왕추크가 왕위(마하라자)를 선고하고
영국에 의해 유일한 왕조로 인정받음으로써
부탄에 군주제가 성립되었다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786_10?1224053845.jpg)
이후 인도와 조약을 맺어 인도에 외교권을
위임하였고 1949년 8월 8일 독립하였다
국왕 지그메 도르지 왕추크는 개화된 통치자로서
전통적 가치 보존과 함께 국가의 발전을 추구하려 하였다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786_17?1224053845.jpg)
전(前) 국왕 지그메 싱예 왕추크는
제4대 왕으로 1972년에 16세의 나이로 즉위하였다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786_31?1224053845.jpg)
그 후 지그메 케사르 남기엘 왕축이
Jigme Khesar Namgyel Wangchuk
2006년 즉위했으며,
2008년 입헌 군주제 수립을 위해 의회 선거가
2008년 3월 24일에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