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요 국악방

★"아리랑"의 의미를 아시나요?★

모링가연구가 2008. 12. 19. 23:53
★"아리랑"의 의미를 아시나요?★

						
♣ "아리랑"의 의미를 아시나요? ♣

다알고 계시겠지만 참고로 한번 읽어보신것도 좋을듯 싶네요.
草庵송채섭입니다.
“아리랑”의 의미를 아시나요?
“아리랑”은 한국민족의 상징적인 
대표적 민요로서 아득한 옛날부터 
한국 민족의 사랑을 받으며 널리 불려 
온 노래일 뿐 아니라,
오늘날 처럼 남북이 분단되어 올림픽 
단일팀이 하나의 國歌를 부르기 어려울 
때에는 “아리랑"을 국가처럼 합창하여 
한민족임을 확인한다.
草庵송채섭입니다.

그러면서도 우리국민 거의다가 “아리랑”이 무슨 뜻인가? 를 모르고 있다.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아리랑 고개를 넘어간다; 草庵송채섭입니다.

경기도 아리랑 “아리 아리랑 쓰리 쓰리랑(또는 사투리로 서리 서리랑) 아라리가 났네 "아리랑" 고개로 날 넘겨주소” (밀양 아리랑, 진도 아리랑, 정선 아리랑) 등 에서 나오는“아리랑",“쓰리랑”,“아라리, “아리랑고개”의 뜻을 알아본다. 草庵송채섭입니다.

첫째 “아리”의 뜻 "아리”가 고대 한국어에서 “고운”, ”곱다” 로 쓰인 흔적을 현대 한국어 (“아리다운” =아리+다운)에서 찾아 볼수 있고, 몽골에서 “아리”는 아직도 “고운” “곱다”의 뜻으로 사용되고 있으므로 “아리”의 뜻은 “고운을 뜻한다. 草庵송채섭입니다.

둘째 “아리”의 뜻 현대 한국어에서 “아리다”(마음이)의 동사는 사랑에 빠져 상사병에 걸렸을 때나 마음의 상처를 받았을 때의 표현이다. 이것이 형용사가 되면 “아리”는 상사병이 나도록 “사무치게 그리움”을 표현하는 뜻이 되어 "아리“는 ”(사무치게)그리운” 의 뜻이 된다 草庵송채섭입니다.

“랑”의 뜻 “랑”은 한자로 삼국시대에는“낭(郞 )“ 자를 써서 젊은 남녀를 모두 표현 했다. 통일 신라시대 이후 조선시대에는 남녀를 구분하여 남자는 *주로* ”郞“자, 여자는"娘“자로 표시했다. 발음은 모두 “랑”이며, 뜻은 “임”이다. 이는 신라향가(鄕歌)의 죽지랑(竹旨郞), 기파랑(耆婆郞) 등이 좋은 예이다. 草庵송채섭입니다.

“아라리”의 뜻 “아라리”는 근 현대에 뜻을 몰라 잃어버린 말인데, 이는 ‘상사병’의 고대 한국어 라고 판단 된다. 현대 한국어 에서는 상사병을 나타내는 ‘가슴아리’ (가슴앓이)에서 그 흔적이 어렴풋이 보인다. '쓰리다’를 강조할 때'쓰라리다‘ 라고 강조사를 넣는 것처럼 ’가슴아리‘는 ’가슴 아라리‘ ’아라리‘와 같다. 삼국유사’ 등에는 상사병에 걸린 사랑 이야기가 몇 개 나오는데, 상사병에 해당하는 순수 고대 한국어를 한자가 수입된 뒤 언젠가 그만 잃어버린 것이다. *-민요-*아리랑’에 들어있는 ‘아라리’가 바로 ‘상사병’의 순수 인 것이다. 草庵송채섭입니다.

“쓰리랑”의 뜻 “쓰리랑”“아리랑” 둘째의 뜻과 동의어 또는 유사어(類似語) 이다. 마음이 “쓰리다”는 마음이 “아리다” 와 유사어 이다. “쓰리랑”은 마음이 아리고 “쓰리도록 그리운 임“을 뜻한다. "아리랑”의 가사를 현대 한국어로 리듬을 접어두고 번역하면“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곱고 그리운 임/곱고 그리운 임/ 사무치게 그리워 상사병이 났네.)의 뜻이 된다. 草庵송채섭입니다.

“아리랑 고개로 넘어간다” : ‘아리랑(이) 고개를 넘어간다’ 라는 표현을 운율에 맞추고자“아리랑” 다음의 토씨 ‘이’를 생략 한 것으로서, 번역하면 ‘곱고 그리운 임이 고개를 넘어간다는 뜻이다. 한국 전통사회에서 마을 공동체의 활동범위를 차단 하는 것은 “고개” 였다. 고개를 넘어가는 것은 다시 만나기 어려운 공간으로서‘이별“ 을 의미하는 것이다. 草庵송채섭입니다.

따라서 "아리랑이 고개를 넘어 간다”“곱고 그리운 임과의 이별“ 을 뜻하는 것이다. 위에서의 의미를 유추해 볼때" "아리랑”이 뜻도 모른 채(알았더라도) 일천수백 년을 내려온 것은 이 고대어 속에 현대어로는 치환할 수 없는 절묘한 뜻과 멋이 담겨 있기 때문이 아닌가? 합니다.
-옮긴 글-

'민요 국악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대가 머문자리 음악편지  (0) 2008.12.22
한국의美 한강변에서~~ (리베로30님 작품)   (0) 2008.12.20
♪ 하모니카 연주곡 ♬   (0) 2008.12.19
정선아리랑 배우기   (0) 2008.12.18
회심곡  (0) 2008.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