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요 국악방

정선아리랑 배우기

모링가연구가 2008. 12. 18. 07:01

  정선아리랑 배우기

 

 

아나리 설로 이어진 정선의 전설 

정선아리랑은 본래 '아나리'라고 불렸는데,,,
세월이 흐르면서 '아리랑'으로 바뀌었다고 한다.
'아나니'란 누가 나의 심정을 '알리'에서 연유한다고 한다.
진도아리랑, 밀양아리랑 등 우리나라 팔도 아리랑 중 정선아리랑만이
중요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조선 왕조가 들어서자 고려왕조를 섬기고 벼슬하던 선비들 가운데

두 임금을 섬길수 없다는 충정으로 전오륜(全五倫),신안(申晏), 

변귀수(邊貴遂),김충한(金沖漢),고천우(高天佑),김위(金瑋)· 이수생(李遂生) 이며

이들이 머문 곳을 후세에 ‘거칠현동’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이들은 7인이 정선 서운산 거칠현동에 몸을 숨기고 산나물을

뜯어 먹으며 지내며 망국한을 달래는 심사를 읊으면서

'누가 이 내 심정을 알리오, 알아주소서'에서 비롯되었다는  

정선의 전설에서 그들은 옛 임금을 사모하며 충절을 맹세하고

입지시절을 회상하며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달래며 그심정을 한시로 지어 읊었다.


그것을 그지역 선비들이 듣고 한시를 이해못하는 사람들에게

풀이하여 주면서 구전되어 오던 토착민요에 감정을 살려 부르던 것이

정선 아리랑의 시원이 되었으며...전란과 폭정시 고달픈 민생을 푸념하며

내려오던 노래에 아리랑 아리랑 후렴을 부르게 된것은 조선 후기때 부터라고 한다.


아라리란 '내 마음을 아리요"에서 비롯된 말이라고 한다.
현재 채록된 정선 아리랑은 생활에 관계된것이 317곡,

인간관계 를 노래한것이 347곡, 이성에 대한 그리움이 136곡,

환경을 노래한 것이 157곡, 기타 185곡으로 총 1,300여수가 전해진다.

 

눈이올라나 비가 올라나 억수장마 질라나 만수산 검은 구름이 막 모여 든다

명사십리가 아니라며는 해당화는 왜 피며 모춘 삼월이 아니라며는 두견새는 왜 우나

아우라지 뱃사공아 배좀 건너주게 싸리골 올동박이 다떨어 진다

떨어진 동박은 낙엽에나 쌓이지 사시장철 님그리워서 나는 못살겠네

 

무릉도원 삼산 오수에 도화는 만발했는데 짝을 잃은 외기러기 갈곳이 없구나

천지 조화로 눈비가 올라면 땅에 누기가 있듯이 눈도 비도 다오는데 당신은 왜 못오시나

산자수명 둔내 강물에 꼬리치는 열목어 강태공을 조롱하더니 어데로 갔나

반달같은 얼굴위에 반보라 양산을 들고서 한걸음 두걸음 가볍게 걸어서 님마중 가네

 

동박나무를 휘어잡고서 애쓰지 말아라 동박기름이 몇백원한대도 내가 사다 주마

정선같이 살기 좋은곳 놀러한번 오세요 검은산 물밑이라도 해당화가 핍니다

노랑나비가 퍼펄펄 날며는 대한에 봄온줄알고 세살문고리 다달달거리면 내가온줄 알아라

당신이 날 생각을 나만치만 한다면 가시밭길 수천리라도 신발 벗고 오리라

 

간다지 못간다지 얼마나 울었나 송정암 나룻터가 한강수가 되었네

정선읍내 물레방아는 물살을 안고 도는데 우리집에 낭군님은 날안고 돌줄 몰나

앞 남산 뻐꾸기는 초성도 좋다 세살적 듣던 목소리 변치도 않었네

맨드라미 줄봉숭아는 토담이 붉어 좋고요 앞 남산 철쭉꽃은 강산이 붉어 좋다

 

저건너 저묵밭은 작년에도 묵더니 올해도 날과같이 또 한해 묵네

오라버니 장가는 명년에나 가시고 검둥송아지 툭툭 팔아서 날 시집보내주

봄철인지 가을철인지 나는 몰랐더니 뒷동산 행화춘절이 날알려주네

한치 뒷산에 곤드레 딱주기 님에 맘만 같으면 올같은 흉년에도 봄살아 나지

 

몰운대 방석위에는 신선이 놀던곳이요 층대 밑에 맑은 폭포 금상첨화 이루네

꼴두바우 중석 허가는 다달이 년년이 나는데 처녀 총각 잠자리 허가는 왜 아니 나나

떡갈잎을 띄워서 님소식을 안다면 님오시는 철리길에도 님마중 가자

비봉산 중허리에 두견새가 울거든 가신님에 영혼이 돌아온줄 알어라

 

월미봉 살구나무도 고목이 덜컥진다면 오던 새 그 나비도 되 돌아 간다

높은산 정상 말랑에 단독이나 선나무 날과야 같이로만 외로이 섰네

니팔자나 내팔자나 이불 담요 깔겠나 마틀마틀 장석자리에 깊은정만 들자

삭달가지를 뚝뚝 꺽어서 군불을 때고 중방밑이 다 타도록만 잘살아 보세

 

고향을 등진지 20여년인데 인심좋고 살기 좋아서 나는 못가겠네

오늘 갈런지 내일 갈런지 정수정망 없는데 맨드라미 줄봉숭아는 왜심어 놨나

강물은 돌고돌아서 바다로나 가지만 이내 이몸은 돌고 돌아서 어데로 가나

강원도 금강산 제일가는 소나무 경복궁 대들보로만 다 나간다

 

창밖에 오는비는 구성지게오잔나 비끝에 돗는 달은 유정도 하다

앞남산 불뼝대 밑에는 솔거미 한쌍이 돌구요 늘어진 나무가지엔 꾀꼬리 한쌍이 논다

낚시대를 달달 끌고 개울가로 들거든 싸리 바구니 옆에 끼고서 뒤따라 오게

나무가지에 앉은 새는 바람이 불까 염려요 당신하고 나하고는 정떨어질까 염려라

금전이 중하거는 네멋대로 가고 사랑이 중하거든 내뒤따라 오게

 

담밑에 세워놓고 손목을 잡으니 온전신이 떨려서 나죽겠네

우리도 언제나 돈많이 벌어서 고대 광실 높은집에서 잘살어 보나

부모 동기 이별 할때는 눈물이 짤끔 나더니 그대 당신을 이별하자니 하늘이 팽팽 돈다

노랑 저고리 진분홍 치마를 받고싶어 받았나 우리부모님 말 한마디에 울며 불며 받았지

 

정선읍내 은행나무야 꾀꼬리 단풍들어라 은행따러 가는 핑계 님 마중가네

허공중천에 뜬달은 님계신 곳을 알건만 나는야 어이해서 님계신 곳을 모르나

변북이 삼등에 이밥취 곤드레 내연설을 들어라 총각낭군을 만나려거든 해년년이 나게

산란한 봄바람아 네가 불지 말어라 알뜰한 요 네맘이 또 산란 하구나

 

앞남산에 황국 단풍은 구시월로 들고 이내 가슴 속단풍은 시시로만 든다

나비없는 강산에 꽃은피어 뭣하며 당신없는 요 세상에 단장하여 뭣하리

앞남산 송정이 우리님만 같으면 낙낙장송 높은가지에 훌쩍날어 오르리

정든님이 오셨는데 수인사를 못하고 행주치마 입에다 물고서 눈으로만 반기네

 

태산이 무너져 사해 들평지 되더라도 우리들에 드는 정분은 변치를 말자

꽃본나비야 물본 기러기 탐화봉접이 아니냐 나비가 꽃을 보고서 그냥갈 수 있나

앞남산 살구꽃은 필락 말락 하는데 우리들에 정분은 들락말락 한다

?타리 밑에 저 닭은 모이나 주면 오잔나 저건너 큰아기는무엇을 주면 오나

 

당신은 거기 있구서 나는 여기 있어도 말한마디 못전하니 수천리로구나

윗그림바위 앞 강물에 용마혼이 잠들고 당신과 나와 이별할 정분에 내 가슴을 울린다

공산 삼십아 비 삼십오야 뒷장만 펄펄펄 일어라 일년열두달 낫자루 품판돈 다 날아어간다

황새여울 된꼬까리에 떼를 지어 놀았네 만지산 전산옥이야 술상차려 놓게

 

해도가고 달도가고 월선이도 가는데 그대님은 누구를 볼라고 뒤쳐져있나

당신이 내속썩는줄 그다지도 모르거든 앞 남산 봄눈썩는걸 건너다 보게

묵은방초는 년년이나 보련만 한번가신 그대님은 왜아니 오시나

우수야 경칩에 대동강이 풀리고 당신에 말한마디에 내속이 풀린다

 

산천에 올라서 님생각을 하니 풀잎에 매디 매디 찬이슬이 맺혔네

오시라는 유정님은 왜아니 오시고 오지말라는 굿은 비만 줄줄이 오네

내가 왔다가 간뒤에 개구장 물이 불거든 내가 왔다 가노라고 울고간줄 알아라

물 한동이를 여다 놓고선 물그림자 보니 촌살림하기에는 정말 원통하구나

 

'민요 국악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리랑"의 의미를 아시나요?★  (0) 2008.12.19
♪ 하모니카 연주곡 ♬   (0) 2008.12.19
회심곡  (0) 2008.12.15
홀로피는 연꽃  (0) 2008.12.15
김세레나 [1987] 민요전집 성주풀이  (0) 2008.1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