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속 ,역사 .인물,방

추사 김정희 선생의 영정

모링가연구가 2008. 11. 15. 00:38

 

         

         충남 예산군 신암면 용궁리의 추사 김정희 선생의 고택

 

                         

                         추사 김정희 선생의 영정

 

          慨然起別想 개연기별상

         개연히 한 생각 일으켜


         四海結知己 사해결지기

         사해에서 널리 지기를 맺고 싶네


         如得契心人 여득계심인

         만약 마음 맞는 사람을 얻게 된다면


         可以爲一死 가이위일사

         그를 위해 목숨을 바칠 수도 있겠네


         日下多名士 일하다명사

         하늘 아래엔 명사가 많다 하니


         艶羨不自已 염선부자이

         부럽기 그지 없어라

 

        위의 글은 꿈 많은 소년시절에 추사 김정희선생께서

              청나라의 연경에 세 차례나 다녀온 북학파의 석학이며 스승이신

              박제가에게서 어려서부터 글을 배우면서 연경의 발달된 문물과

              그곳 학자들의 왕성한 학예 활동과 신경향을 듣고 신기해하

              동경해 마지않았으며 자신도 언젠가는 꼭 한번 연경을

              다녀오고 싶다는 생각을 하면서 읊은 시라고 한다.


             박제가는 영리한 젊은 제자가 이처럼 북학에 뜻을 세운 것을

             기특해하며, 1801년 유득공과 함께 연경에 갔을 때

             그곳의 젊은 학자인 조강(조강)에게 요즘 자신은 이런 청년을

             가르치고 있다고 자랑하며 이 시를 보여주었고,

 

            7년 뒤 마침내 추사가 연경에 가게 되었을 때

            추사가 첫 인연을 맺은 그곳 학자가 바로 조강이었는데,

            그때 조강은 추사의 이 시를 기억하고 있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