陶磁器 寶物
청자 유개호
경기도 양평군에 있는 수종사
석조 부도를 고쳐 세울 때 발견된 유물들이다.
청자항아리, 금동구층소탑,
은제도금육각감이 발견되었고,
당시 금동 구층소탑과 은제도금 육각감은
청자항아리 안에 들어 있었다.
청자 상감 포도동자 문매병
![]()
고려 시대의 만들어진 청자 상감 매병으로
높이 41.5㎝, 아가리 지름 7.5㎝, 밑지름 15.8㎝의 크기로
매병 가운데 드물게 보이는 큰 작품이다.
철채백화 삼엽 문매병
고려시대 만들어진 매병으로
높이 27.5㎝, 아가리 지름 5㎝, 밑지름 9.5㎝이다
청자 상감복사 문매병
고려시대 만들어진 매병으로
높이 35.4㎝, 지름 22.1㎝이다
청자 순화4년 명호
고려 태조의 태묘 제1실의 향을 피우던
높이 35.2㎝의 항아리로 최길회가 만들었다.
상감 초화문병
조선 초기에 제작된 분청사기 병으로
높이 28㎝, 아가리 지름 5.8㎝, 밑지름 17㎝이다
백자투조 모란문호
조선시대 몸체를 뚫을 새김한
높이 26.7㎝, 아가리 지름 14.25㎝의 백자 항아리이다
백자 상감모란 문매병
![]()
고려시대 만들어진 백자 매병으로
높이 29.2㎝, 몸 지름 18.7㎝이다.
청자 상감 진사모란 문매병
고려 중기에 만들어진 청자 상감 매병으로
높이 34.6㎝, 아가리 지름 5.6㎝, 밑지름 13.5㎝이다
청자상감 유어문매병
조선 전기에 제작된 청자 매병으로
높이 30.0㎝, 아가리 지름 4.6㎝, 밑지름10.4㎝이다.
청자상감 모자합
![]()
화장품을 넣어 두었던 것으로 추정되는 이 그릇은
바깥쪽의 큰 그릇인 모합(母盒)과 그 안에 들어가는
작은 그릇인 자합(子盒) 5개로 이루어져 있다.
청자상감 운학모란 국화문매병
청자상감이란 흙으로 그릇을 빚어 표면에 무늬나 그림을 새기고,
그 자리를 백토나 자토로 메운 뒤 유약을 발라 구운 후,
투명한 청자 유약을 통해 흰색 또는
검은색 무늬가 보이도록 한 것으로,
12세기 전반에 발생하여 12세기 중엽에 전성기를 이루었다
백자 청화매 죽문병
![]()
중국 원, 명나라 도자기의 영향으로 만들어진 청화백자는
초기에는 중국 도자기를 모방한 무늬와 형태를 보이지만,
이후 중국식에서 탈피하여 한국적인 특징을 갖추게 된다
청화백자 운룡문병
조선시대 만들어진 높이 5.3㎝ 아가리 지름 5.3㎝ 밑지름 7.7㎝의 병으로
청화백자운룡문병(보물 제786호)과 한 쌍으로 발견되었다.
청화백자 운룡문병
조선시대 만들어진 높이 21.5㎝, 아가리 지름 4.6㎝, 밑지름 6.6㎝의 병으로
청화백자운룡문병(보물 제785호)과 같이 출토되었다.
분청사기 철화어문호
조선시대 만들어진 높이 27㎝,
아가리 지름 15㎝, 밑지름 9.8㎝의 항아리이다.
청화백자 군어문호
청화백자는 14세기 전반에 중국의 원나라에서 처음 개발되었으며,
백자의 표면에 그려진 푸른색의 그림이
마치 수묵화 같은 정취를 지니고 있다.
우리 나라에서도 15세기 중엽에는 이 자기가
만들어지기 시작했으며,사실적 화풍을 특징으로 한다
백자반합
조선시대 만들어진 총 높이 22.5㎝, 뚜껑 높이 9.9㎝, 뚜껑 지름 17.4㎝,
아가리 지름 15.3㎝, 굽지름 9.4㎝인 조선시대 백자 반합이다.
청자상감 동채연당 초용문병
고려시대 만들어진
높이 38.3㎝, 아가리 지름 6.9㎝, 밑지름 12㎝의 청자병으로,
길게 뻗어 세워진 목과 약간 벌어진 아가리를 가지고 있다.
청자양각 연당초 상감운학 문대접
고려시대 만들어진 청자 대접으로
높이 5.0㎝, 아가리 지름 16.2㎝, 밑지름 4.4㎝의 크기이다
청자 도형연적
고려시대 복숭아 모양을 본떠서 만든 상형청자의 일종으로
크기는 높이 8.6㎝, 폭 9.6㎝×7.1㎝이다.
청자 구룡형삼 족향로
입 주위 넓은 테인 전이 달리고 향을 사르는 몸체 위에
구룡(龜龍)이 장식된, 뚜껑이 있는 향로로
총 높이 20.4㎝, 향로 높이 10.2㎝, 입지름 10.2㎝이다.
'국보, 유물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한의 아름다운 보석화 (0) | 2008.10.22 |
---|---|
대한민국 보물 목록 (0) | 2008.10.21 |
부벽루 (0) | 2008.10.19 |
경복궁 (0) | 2008.10.18 |
북한 천연기념물 419호 토끼바위 (0) | 2008.1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