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왜장을 죽이는 데 공을 세워 논개와 더불어 임진왜란 때 ‘2대 의기(義妓)’로 꼽히는
-
평양 기생 계월향(桂月香·?~1592)의 초상화가 발견됐다. “1815년 그린 것으로,
-
그를 기리는 사당(장향각·藏香閣)에 걸고 1년에 한 번씩 제사를 지냈다”고 그림에는 적혀 있다.
-
그림을 감정한 안휘준 문화재위원장(미술사)은 “전형적인 19세기 조선 미인도”라며 “기생을 기리는 초상화가 발견된 것은
-
처음”이라고 했다. 훗날 우의정에 추증된 김경서(1564~1624)장군의 애첩이던 계월향은,
-
왜군 선봉장 고니시 유키나가(小西行長)의 부장(副將)으로 평양성 함락(1592년) 때 ‘용장(勇將)’으로 꼽힌
-
고니시 히(小西飛)를 참수하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한 여인. 적장이 죽은 직후인 이듬해 1월 초, 평양성은 탈환됐다.
고미술품수집가 안병례(46)씨가 본지에 공개한 이 그림은 가로 70㎝, 세로 105㎝ 정도다. -
일본 교토에서 최근 입수됐는데, 한지에 그린 채색화다.
-
옥비녀를 한 계월향은 반달 같은 눈매에 이중으로 된 옅은 눈썹, 도톰하면서도 오뚝한 코 등 전형적인 조선 미인이다. 안 위원장은 “저고리 길이가 짧고 소매폭도 좁은 등 몸에 착 달라붙는 상의로 당대의 패션 감각을 반영한 ‘섹시한’ 느낌을 주면서도, 손을 ‘X자로 곱게 교차한 뒤 가슴에 찬 노리개에는 ‘齋戒(재계·몸과 마음을 깨끗이 함)’라고 적어 그를 현창한다는 의미를 더했다”고 평했다. 얼굴과 옷주름에 음영을 잘 대비시키는 등 당시 조선 화단에서는 첨단 기법이던 서구의 명암법도 적극 수용해 그렸다.
그림 상단에는 ‘義妓 桂月香(의기 계월향)’이라는 제목으로 그를 높이는 글을 한자로 빼곡히 적었다. 이 글은 계월향의 업적을 이렇게 적고 있다.
‘고니시 히라는 뛰어난 장수가 (1592년) 평양성에 먼저 올라 우리 진을 함락시키니, 고니시 유키나가가 그를 중히 여겨 위임을 했다. 평양부 기생 계월향은 고니시 히에게 잡힌 뒤 귀여움을 지극히 받았지만 성을 빠져나가고자 했다. 그는 무관이던 김경서 장군을 친오빠라고 속여 평양성 안으로 불러들였다. 어느 날 밤, 왜장이 깊이 잠들자 김장군을 장막으로 몰래 들어오게 했다. 양 허리에 찬 칼을 손에 쥔 채 의자에 앉아 두 눈을 부릅뜨고 잠을 자던 왜장의 목을 김장군이 벴다. 목이 땅에 곤두박질쳤는데도 왜장이 쌍칼을 던지니 하나는 벽에, 다른 하나는 기둥에 꽂혔다. 두 사람 모두 성을 빠져나가고자 했으나, 둘 다 무사하지 못할 것을 알게 되자 (계월향의 청으로) 김장군이 칼을 뽑아 계월향을 죽이고 성을 빠져 나갔다. 이튿날 적군은 왜장의 죽음을 알고 기가 꺾이고 형세가 크게 위축됐다.’
계월향은 그 뒤 ‘남 논개, 북 계월향’으로 추앙받았다. 만해 한용운선생은 ‘계월향에게’라는 시에서 ‘대동강에서 낚시질하는 사람은 그대의 노래를 듣고 모란봉에서 밤놀이하는 사람은 그대의 얼굴을 봅니다.(중략)그대의 붉은 한은 현란한 저녁놀이 되어서 하늘 길을 가로막고 황량한 떨어지는 날을 돌이키고자 합니다’라고 노래했다.
-
▲왜장을 죽이는 데 공을 세워 논개와 더불어 임진왜란 때 '2대 의기'로 꼽히는 평양기생 계월향의 초상화가 발견됐다. 고미술품수집가 안병례씨가 일본 교토에서 최근 입수됐는데, 한지에 그린 채색화다./ 조선일보 이태경 객원기자
'민속 ,역사 .인물,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정희대통령의 생가에 옛스러움이..... (0) | 2009.05.14 |
---|---|
★朴正熙는 風雲兒요 英雄이었다★ (0) | 2009.05.05 |
독도가 우리 땅이었음을 밝히는 매우 훌륭한 자료”라고 말했다. (0) | 2009.04.28 |
朴正熙는 風雲兒요 英雄이었다. (0) | 2009.04.26 |
년대후반 & 1900년대 초반 희귀사진 조회(30) (0) | 2009.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