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체관측 기기를 표현하는 방법으로는 사람을 의롭게 하는 그릇이라고 하여 사람 "인(人)"변에 옳을 "의(義)"를 써서 "의기(義器)"라고 표현했다. 이렇게 표현된 천문의기는 크게 천체위치측정기, 시간측정기, 천구의, 구면측정기로 구분할 수 있고 시간측정기는 다시 해시계, 별시계, 물시계로 구분된다. 1. 천체위치측정기천체위치측정기는 천체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기기로 일찍이 중국으로부터 전해 내 려오는 선기옥형(璇璣玉衡)이라 불리우는 혼천의(渾天儀), 혼천의의 구조를 간소화하여 만든 간의(簡儀), 간의가 크고 무거워 이동하여 관측하기에 무리가 따랐기에 이점을 보완하여 제 작한 것이 소형의 간의인 소간의(小簡儀)가 있다. 이 밖에도 기기를 받침대 위에 놓고 적도 좌표계를 사용하여 기기의 방위와 관측지점의 북극고도를 맞추어 천체의 위치를 측정하는 적도의(赤道儀)가 있다. (1) 혼천의혼천의는 혼의 또는 선기옥형(璿璣玉衡)이라고도 불리는 일종의 천체측정기로서 일찍부터 고대 동아시아에서는 천체관측에 있어 기본적인 측정용 기기였다. 중국에서 처음 기원전 2세기경에 제작한 이래 청대까지 내려오면서 발전을 거듭해 왔다. 혼천의가 우리 나라에는 언제쯤 전래되었는지 확실치 않지만 대체로 삼국시대 후기와 통일신라 시대에는 혼천의가 천문관측에 사용되었으리라고 생각되고 있으나 발견된 기록은 아직 나타나지 않고 있으며 고려시대 역시 천문대에 설치해 천문관측에 사용했을 가능성이 있으나 이 시대 역시 발견된 기록은 나타나지 않고 있다. 혼천의 제작에 대한 처음 기록은 "세종실록"에서 처음으로 찾을 수 있다. 조선시대 최초의 혼천의 세종 14년(1432년) 7월부터 시작된 천문기기 및 계시기구의 제작 사업의 일환으로 만들어졌다. 세종 15년 6월에 정초, 박연, 김진 등이 만들었는데 이것은 아마도 관측용 혼천의를 만들기 위한 소규모 모형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 후에 이천, 정인지, 김빈이 제작에 참여하여 관측용 혼천의를 만들어 간의대에 설치하였다.
![](http://www.kao.re.kr/space/Old/sunjo/images/seungsilhon1_s.jpg) <세종대 혼천의(남문현 1994)> <이황 혼천의> <숭실대 혼천의>
![](http://www.kao.re.kr/space/Old/sunjo/images/y_hon2_s.jpg) <우암 혼천의> <선화랑 혼천의> <영릉 혼천의 복원품; 여주 영릉>
(2) 간의세종대왕은 그의 재위 기간인 세종 14년(1432년)부터 19년(1437년)까지 자주적인 역법을 편찬하기 위하여 역법을 연구하고 천체를 관측하고 정확한 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국립 천문대인 간의대(簡儀臺)와 천문의기와 계시의기들을 만들게 하였다. 세종14년(1432년), 먼저 천체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해 목(木)간의를 시험 제작하여 한양(서울)의 북극고도(위도)를 측정한 후 청동으로 제작하여 간의대(簡儀臺) 위에 설치하였다. 간의(簡儀)는 1276년 중국 원나라의 천문학자 곽수경(郭守敬)이 처음 만든 천문의기로써 오늘날의 천문관측기기와 같이 적도의(赤道儀)식 기기이며 행성과 별의 위치인 적경[적도수도]과 적위[거극도]를 정밀하게 측정하였다. 그리고 간의는 고도와 방위측정, 낮과 밤의 시간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었던 조선시대의 가장 대표적인 천문관측기기라고 할 수 있다.
<간의 복원품1; 여주 영릉> <간의 복원품2; 한국천문연구원>(3) 소간의소간의는 천체의 위치를 관측하고, 시간을 측정할 수 있도록 만든 천문관측 기기이다. 세종16년(1434년)에 이천, 정초(鄭招), 정인지(鄭麟趾)가 제작하여 경복궁 천추전(天秋殿)과 서운관(書雲觀)에 설치하였다. 소간의는 간의보다 크기가 작고 이동이 편리하도록 하여 더욱 간편하게 만든 것으로 사유환(四遊環), 적도환(赤道環), 백각환(百刻環), 규형(窺衡), 기둥과 밑받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적도좌표계와 지평좌표계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다목적인 관측기기로 행성과 별의 위치, 고도와 방위를 측정할 수 있다.
![](http://www.kao.re.kr/space/Old/sunjo/images/sogan_s.jpg) <소간의 복원품; 여주 영릉> (4) 적도의천체의 위치를 측정하는 간단한 기기로는 조선 후기 관상감에서 사용한 적도의(赤道儀)가 있는데 받침대 위에 놓고 기기의 방위와 관측지점의 북극 고도를 맞추어 간편하게 적도좌표계로 사용 할 수 있다. 적도의는 그 구조가 간단하고 오래 전부터 적도좌표계를 써왔기 때문 이러한 형태의 관측기기의 역사는 오래 되었음을 짐작 할 수 있다.
<적도의 복원품; 나일성천문관 소장> <적도의 복원품; 환 확대>
혼의 = 혼천의 = 선기옥형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