솟대를 전라도에서는 '소주', '소줏대', 함흥 지방에서는 '솔대', 황해도·평안도에서는 '솟댁', 강원도에서는 '솔대', 경상도 해안 지방에서는 '별신대' 등으로 부른다. 솟대는 삼한시대에 신을 모시던 장소인 소도에서 유래한 것이라고 한다. 소도에 세우는 솟대가 그것이며, 소도라는 발음 자체도 솟대의 음이 변한 것이라는 설이 있다. 농가에서 섣달 무렵에 새해의 풍년을 바라는 뜻에서 볍씨를 주머니에 넣어 장대에 높이 달아맨다. 이 볏가릿대를 넓은 마당에 세워 두고 정월 보름날 마을 사람들이 농악을 벌이는데, 이렇게 하면 그 해에 풍년이 든다는 것이다. 또 민간신앙의 상징물인 장승 옆에 장대를 세우고 장대 끝에 새를 나무로 깎아서 달기도 하였다.
솟대는 그 기원이 청동기시대로 올라갈 수 있을 만큼 매우 오랜 역사를 지니며 또한 그 분포도 만주, 몽고, 시베리아, 일본에 이르는 광범한 지역에 나타난다. 이것은 솟대가 북아시아 샤머니즘의 문화권에서 유구한 역사를 지니는 신앙 대상물임을 말해 주는 것이다. 솟대가 언제부터 농경 마을의 신으로 모셔 졌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다만 북아시아의 솟대와는 달리 우리의 솟대는 농경문화에 적합한 여러 다양한 형태와 기능으로 변모해 가면서 농경 마을의 신앙 체계에 통합되어 갔으리라 추측할 뿐이다.
출처 야후 지식검색 http://www.jangsam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