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08. 6. 8 >
![](http://blogfile.paran.com/BLOG_401912/200806/1214044261_01.jpg)
로제타 스톤[Rosetta Stone] : 이 비문으로 이집트 상형문자가 해독되었다. 길이 114㎝, 폭 72㎝인 로제타석은 모양이 다듬어지지 않은 검은 현무암으로 되어 있으며, 오랜 세월에 마모된 채로 있다가 1799년 8월 알렉산드리아 북동쪽 약 56㎞ 지점의 로제타(라쉬드) 마을 부근에서 부샤르 혹은 부사르라는 이름을 가진 프랑스인에게 발견되었다. 1801년 프랑스가 이집트를 포기한 뒤 이 돌은 영국인의 손에 들어가 지금은 대영박물관에 보존되어 있다. |
![](http://blogfile.paran.com/BLOG_401912/200806/1214044261_02.jpg)
외관상 멤피스의 사제들이 쓴 듯한 비문은 프톨레마이오스 5세(BC 205~180)의 은혜를 요약하고 있으며, 그의 즉위를 기념해 재위 9년째에 씌어졌다. 이집트어와 그리스어의 2가지 언어와 상형문자·민용문자(民用文字:이집트 상형문자 필기체)·그리스 알파벳의 3가지 필기방식으로 씌어진 이 비문은 이집트 상형문자를 해석하는 열쇠를 마련해주었다. |
![](http://blogfile.paran.com/BLOG_401912/200806/1214044261_03.jpg)
람세스 2세의 흉상
![](http://blogfile.paran.com/BLOG_401912/200806/1214044261_04.jpg)
![](http://blogfile.paran.com/BLOG_401912/200806/1214044261_05.jpg)
![](http://blogfile.paran.com/BLOG_401912/200806/1214044261_06.jpg)
![](http://blogfile.paran.com/BLOG_401912/200806/1214044261_07.jpg)
![](http://blogfile.paran.com/BLOG_401912/200806/1214044261_08.jpg)
![](http://blogfile.paran.com/BLOG_401912/200806/1214044261_09.jpg)
![](http://blogfile.paran.com/BLOG_401912/200806/1214044261_10.jpg)
![](http://blogfile.paran.com/BLOG_401912/200806/1214044261_11.jpg)
![](http://blogfile.paran.com/BLOG_401912/200806/1214044261_12.jpg)
![](http://blogfile.paran.com/BLOG_401912/200806/1214044261_13.jpg)
![](http://blogfile.paran.com/BLOG_401912/200806/1214044261_14.jpg)
![](http://blogfile.paran.com/BLOG_401912/200806/1214044261_15.jpg)
![](http://blogfile.paran.com/BLOG_401912/200806/1214056297_16-.jpg)
![](http://blogfile.paran.com/BLOG_401912/200806/1214044355_17.jpg)
![](http://blogfile.paran.com/BLOG_401912/200806/1214044355_18.jpg)
![](http://blogfile.paran.com/BLOG_401912/200806/1214044355_19.jpg)
![](http://blogfile.paran.com/BLOG_401912/200806/1214044355_20.jpg)
![](http://blogfile.paran.com/BLOG_401912/200806/1214044355_21.jpg)
![](http://blogfile.paran.com/BLOG_401912/200806/1214044355_22.jpg)
![](http://blogfile.paran.com/BLOG_401912/200806/1214044355_23.jpg)
![](http://blogfile.paran.com/BLOG_401912/200806/1214044355_28.jpg)
![](http://blogfile.paran.com/BLOG_401912/200806/1214044355_29.jpg)
![](http://blogfile.paran.com/BLOG_401912/200806/1214044355_30.jpg)
![](http://blogfile.paran.com/BLOG_401912/200806/1214044448_31.jpg)
![](http://blogfile.paran.com/BLOG_401912/200806/1214044448_32.jpg)
![](http://blogfile.paran.com/BLOG_401912/200806/1214044448_33.jpg)
![](http://blogfile.paran.com/BLOG_401912/200806/1214044448_34.jpg)
![](http://blogfile.paran.com/BLOG_401912/200806/1214044448_35.jpg)
![](http://blogfile.paran.com/BLOG_401912/200806/1214044448_36.jpg)
![](http://blogfile.paran.com/BLOG_401912/200806/1214044448_37.jpg)
![](http://blogfile.paran.com/BLOG_401912/200806/1214044448_38.jpg)
사막에서 발견된 자연 미이라 : 이집트인들이 미이라를 만들기 시작한 것은 3천년전 부터 시신을 그냥 모래사막에 묻으므로 시작되었다. 모래사막의 뜨거운 열기와 건조함으로 이렇게 자연 미이라가 되었다. |
![](http://blogfile.paran.com/BLOG_401912/200806/1214044448_39.jpg)
3천년전 이집트인들은 시신이 썩고나서 뼈만 남으면 옆에 있는 나무관에 들어 갈 수 있도록 시신의 뼈를 부러뜨려 저곳에 넣어 집안에 보관했단다.
![](http://blogfile.paran.com/BLOG_401912/200806/1214044448_40.jpg)
![](http://blogfile.paran.com/BLOG_401912/200806/1214044448_41.jpg)
![](http://blogfile.paran.com/BLOG_401912/200806/1214044448_42.jpg)
![](http://blogfile.paran.com/BLOG_401912/200806/1214055814_43-.jpg)
'국보, 유물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陶磁器 國寶 (1) (0) | 2008.10.05 |
---|---|
불가사의한 24개의 세계건축물 (0) | 2008.10.02 |
호암미술관 소장품 중 국보급 고미술품의 진수 . 6세기 고구려때부터 (0) | 2008.09.29 |
1. 서 울 숭 례 문 (국보1-100) (0) | 2008.09.28 |
놀라운 인도의 조형예술 (0) | 2008.09.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