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blogfile.paran.com/BLOG_336288/200710/1191817771_0011.jpg)
청와대가 뒤뜰처럼 보이고 서울시내가 한눈에 들어온다
![](http://blogfile.paran.com/BLOG_336288/200710/1191817771_0012.jpg)
![](http://blogfile.paran.com/BLOG_336288/200710/1191817771_0013.jpg) 앞은 청와대, 중간은 창경궁, 멀리 중랑구
![](http://blogfile.paran.com/BLOG_336288/200710/1191817771_0014.jpg) 청와대
![](http://blogfile.paran.com/BLOG_336288/200710/1191817771_0015.jpg) 서울 성곽과 남산 타워
![](http://blogfile.paran.com/BLOG_336288/200710/1191817771_0016.jpg)
![](http://blogfile.paran.com/BLOG_336288/200710/1191817771_0017.jpg)
![](http://blogfile.paran.com/BLOG_336288/200710/1191817771_0018.jpg)
![](http://blogfile.paran.com/BLOG_336288/200710/1191817771_0026.jpg) 멀리 관악산 정상이
![](http://blogfile.paran.com/BLOG_336288/200710/1191817771_0027.jpg)
![](http://blogfile.paran.com/BLOG_336288/200710/1191817771_0029.jpg)
선바위(서울특별시 중요민속자료 제4호)는 인왕산 서쪽 기슭에 있는 두 개의 거석이다. 형상이 마치 중이 장삼을 입고 서 있는 것 같아서 '선(禪)'자를 따서
선바위라 불렀다고 한다. 또 조선 태조와 무학대사의 상이라는 전설, 또는 이성계 부부의
상이라는 전설도 있다. 자식 없는 사람이 이 바위에 빌면 효험이 크다고 하여
정성을 드린다고.
![](http://blogfile.paran.com/BLOG_336288/200710/1191817771_0030.jpg)
부처님바위(아슬바위)는 정상 부근 좌측으로 높게 솟아 있는 바위로서
앉아 있는 부처와 같아 부처님바위라 불리운다. 머리부분이 곧 떨어질 것같이 아슬아슬하다.
![](http://blogfile.paran.com/BLOG_336288/200710/1191817771_0033.jpg)
삿갓바위는 인왕산 정상 한가운데 있으며 바위 이름 그대로
삿갓을 벗어 놓은 듯 하다.
이 바위를 기점으로 남릉과 북릉, 동면과 서면 등으로 나뉘어진다.
![](http://club.nate.com/cindex8/533/book46/19332928/1/0090[20071008170327].jpg)
또한 바위산이기 때문에 조망도 좋고 곳곳에 기암들이 산재해 있다. 능선 곳곳에 기차바위, 치마바위, 매바위, 범바위, 이슬바위,
모자바위, 선바위, 지렁이바위등
이름만 들어도 형상이 절로 떠오르는 기암들이 산재해 있다. 그 많은 바위에 누가 언제 이름을 붙였는지는 알 수 없으나
표현이 너무 절묘해 감탄스럽다. 다 ?O아 보기는 힘들고 여의도6,3빌딩이 한강을 끼고
![](http://blogfile.paran.com/BLOG_336288/200710/1191817771_0048.jpg)
![](http://blogfile.paran.com/BLOG_336288/200710/1191817771_0049.jpg)
![](http://blogfile.paran.com/BLOG_336288/200710/1191817771_0051.jpg) 인왕산 코스는 짧으며, 험한 구간이 없다.
굳이 등산화가 없어도 큰 무리 없이 산행이 가능하다. 하지만 계단 형태의 오르막이 어느 정도 버티고 있기 때문에
쉬지 않고 오르면 꽤 숨이 차다.
오르면 확트인 시내 중심부가 다가온다.
![](http://blogfile.paran.com/BLOG_336288/200710/1191817771_0054.jpg)
한참개발중인 월드컵 경기장이 있는 상암벌
![](http://blogfile.paran.com/BLOG_336288/200710/1191817771_0056.jpg) 월드컵 경기장과 하늘공원이
![](http://blogfile.paran.com/BLOG_336288/200710/1191817771_0058.jpg) 아파트에 둘러쌓여 경기장 지붕만
![](http://blogfile.paran.com/BLOG_336288/200710/1191817771_0067.jpg)
![](http://blogfile.paran.com/BLOG_336288/200710/1191817771_0069.jpg)
![](http://blogfile.paran.com/BLOG_336288/200710/1191817771_0070.jpg) 서울 시내 중심부 중구
![](http://blogfile.paran.com/BLOG_336288/200710/1191818416_0075.jpg) 남산 타워
![](http://blogfile.paran.com/BLOG_336288/200710/1191818416_0078.jpg)
![](http://blogfile.paran.com/BLOG_336288/200710/1191818416_0079.jpg)
북한산 비봉에서 보현봉까지
![](http://blogfile.paran.com/BLOG_336288/200710/1191818416_0085.jpg) 기차바위 : 정상에서 북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바위 이름 그대로
기관차가 객차를 이끌고 가는 모습을 하고 있다.
이 바위는 홍제동 환희사 쪽에서 보면 제대로 볼 수 있다고.
![](http://blogfile.paran.com/BLOG_336288/200710/1191818416_0087.jpg) 기차바위에 촬영중인 카메라 맨
![](http://blogfile.paran.com/BLOG_336288/200710/1191818416_0089.jpg)
![](http://blogfile.paran.com/BLOG_336288/200710/1191818416_0090.jpg) 보기 힘든 경복궁 전경이 펼쳐진다.
![](http://blogfile.paran.com/BLOG_336288/200710/1191818416_0092.jpg)
![](http://blogfile.paran.com/BLOG_336288/200710/1191818416_0094.jpg)
![](http://blogfile.paran.com/BLOG_336288/200710/1191818416_0095.jpg)
![](http://blogfile.paran.com/BLOG_336288/200710/1191818416_0096.jpg)
![](http://blogfile.paran.com/BLOG_336288/200710/1191818416_0097.jpg)
경복궁 근정전
![](http://blogfile.paran.com/BLOG_336288/200710/1191818416_0098.jpg) 창경궁 뒤편으로 아파트군이~~~
![](http://blogfile.paran.com/BLOG_336288/200710/1191818416_0101.jpg)
![](http://blogfile.paran.com/BLOG_336288/200710/1191818416_0111.jpg)
![](http://blogfile.paran.com/BLOG_336288/200710/1191818416_0113.jpg)
![](http://blogfile.paran.com/BLOG_336288/200710/1191818416_0121.jpg) 아쉽지만 야간 산행금지구역! 서울의 야경은 뒤로 미루기로 했다.
철조망은 조금 있지만 찰영하는데는 지장 없다.
서울을 부감할수있는 좋은 산이다.
![](http://blogfile.paran.com/BLOG_336288/200710/1191818416_0122.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