짚을 이용해 만든 귀한 작품들... 구경하세요
민족 문화와 함께 해온 볏짚
쌀은 우리에게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먹을거리이다. 먹을 것이 부족했던 시절에는 쌀을 생산하는 벼를 하늘이 내린 보물로 생각할 정도였다고 한다. 볏단에서 알갱이를 털고 남은 볏짚은 참으로 쓸 때가 많았다. 초가집 지붕과 우장을 엮었고, 짚신을 삼아 신었다.
뿐만 아니라 삼태기, 가마니, 새끼, 멧방석, 섬, 멱서리, 망태기 등 생활에 필요한 도구를 만드는 원료로 쓰였고, 때로는 땔감, 소먹이, 퇴비 등으로 다양하게 쓰였다.
하지만, 산업화와 공업화가 급속도로 진전되면서 쉽게 그리고 싸게 만들어져 나오는 플라스틱 제품에 밀려 조상의 슬기가 담긴 물건들이 점점 사라지고 말았다.
행복한 돼지가족... 비록 짚으로 만든 작품이지만 돼지가족의 모성애 물씬 느껴지는 작품이다.
농촌 어르신들의 숨은 실력, 놀라와라...
최근 농촌진흥청은 한국인의 평균수명이 길어지면서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농촌 어르신들의 활력있는 노후생활 지원을 위해 전국에 농촌건강장수마을을 육성하고 있다.
농촌 어르신들의 건강을 위한 게이트볼, 건강관리실 운영은 물론 오래전부터 배우고 익혀온 솜씨 등을 활용하여 소득을 올리도록 하는 사업을 추진하여 좋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
특히 볏짚을 활용한 짚풀공예 작품 공모전을 개최하면서 전국 농촌각지에 숨겨져 있던 어르신들의 장인정신이 되살아나 진기한 짚풀 작품이 쏟아지고 있다.
11월 11일. 농업인의 날인 오늘부터 이달 말까지 수원에 있는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관에서 전시하는 짚풀공예 전시회에 출품된 작품들을 소개한다.
예술이 따로 없네... 짚을 이용해 만든 항아리. 전통문양과 글자의 새김이 예술이다.(논산, 박준식)
종갓집 항아리... 크기와 선이 굵어 힘이 있어 보이는 항아리 작품(인천 강화, 황현구)
공든탑이 무너지랴... 짚으로 정성을 들여 만든 7층탑의 위용(충남 청양, 최용주)
농부와 소... 이~랴 낄낄. 길마에 짐을 싣고 힘겹게 가는 소를 몰고 가는 농부(전북 남원, 최동석)
쟁기질 하는 소년... 어린시절 추억이 새록새록 떠오르는 정겨운 풍경(경기 이천, 이천식)
사랑해요. 순자씨... 볏짚과 닥나무 껍질을 이용해 만든 구애하는 사슴 모양(전남 곡성, 신남균)
누구의 꼬추(?)인고... 정말 힘있게 생긴 강원 양양의 송이버섯(당원 양양, 손종문)
장수마을 맷방석... 곡물을 말리거나 여름철 가족의 돗자리로 쓰였던 맷방석(강원 홍천, 신흥근)
역동적인 양태극... 색상의 조화와 태극의 힘이 느껴지는 작품성이 뛰어난 볏짚공예 작품
농심이 시집가는 날... 새색시가 가마를 타고 시집가는 모습을 재현한 탁월한 작품(화순, 문충열)
풍성한 식탁을 꿈꾸며... 막걸리 한 사발에도 풍성함을 느낄것 같은 시골 밥상(경기 연천, 신효철)
추억속의 삼태기... 퇴비나 재 등 거름을 운반할 때 사용했던 추억 속의 삼태기(전북 남원, 서갑칠)
고급 병싸개... 깨지기 쉬운 병 등을 안전하게 감싸 주는 감각있는 병싸개(전남 나주, 김종철)
우리의 소원은 통일... 남북통일을 염원하는 마음을 담아 새긴 짚풀공예품(경기 이천, 김진권)
< 김용길 : 농촌진흥청 정책홍보담당관실 ☎ 299-2417 >
'민속 ,역사 .인물,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정자 (0) | 2008.05.10 |
---|---|
중국 56개 민족 전통 의상 (0) | 2008.05.07 |
♡ 누군가를 사랑할 때 세상은 아름다운 것 ♡ (0) | 2008.05.01 |
세상에서 보기드문 조형물 (0) | 2008.04.28 |
목 공애품 (0) | 2008.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