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산 님이 보내온 작자미상의 "느낌을 주는 이야기"입니다.
소위 "공자 말씀"을 이렇게 잊고 지냈나 하는 생각이 드는군요.
허나, 지난 세월을 말하다 보면 힘이 빠지기 마련!
왁스의 젊고 명랑한 음악을 붙쳐보는데 괜찮을지....
벌써 금요일...또 한 주간이 다 지나는군요.
멋진 마무리에 행복한 주말을!
너희가 늙어봤니? 나는 젊어봤다.
"너희가 늙어봤느냐, 우리는 젊어봤다."
벌써 30여년 전 우리보다 한 세대 위의 아버지 뻘 대선배의 말씀이다.
당시에도 우리가 그 말씀의 뜻을 모른 바는 아니었지만,
이제 우리가 선배님의 나이가 되어보니, 선배님의 그 말씀이 더욱 절실해 지며,
이제는 후배들에게 그 말씀을 되들려 주고 싶다.
"너희가 늙어봤느냐, 우리는 젊어봤다!"
이는 한마디로 인생에는 늙은이만이 가지고 있는 노하우가 있다는 말씀이다.
사실 세상에는 나이 값을 제대로 못하는 늙은이도 적지 않고,
반면에 나이 답지 않게 어른스러운 젊은이도 많이 있지만.
일반적으로 인생은 그 년륜과 함께 성숙하는 것이 사실이다.
공자는 73 세에 세상을 떠나면서 (BC 552-479), 이런 말씀을 남겼다
나는 (十五有而志干學) 15 세에 학문에 뜻을 두었고
(三十而立) 30 세에 주체성을 가지고 사회에 나갔으며
(四十而不惑) 40 세에 유혹에 빠지지 않게 되었고
(五十而知天命) 50 세에 인생의 소명을 깨달았다.
(六十而耳順) 60 세에는 어떤 말을 들어도 귀에 거슬리지 않았고
(七十而從心所欲不踰距) 70 세가 되니 하고 싶은 짓을 해도 도리에서 벗어나지 않았다
사람마다 차이는 있겠지만, 공자의 입장에서 보면,
인생은 그 나이와 함께 경륜이 쌓이고 성숙하게 마련임을 알 수 있다.
만일 공자가 40 세에 세상을 떠났다면 그도 역시 미완성 인생이 되었을 것이다.
아무리 공자인들 30 대의 인생이 어찌 70 대의 자기 인생을 알 수 있었겠는가!
그러나 비록 아직 미숙한 젊은이라 할지라도
인생의 노하우를 지닌 선배의 충고를 받아드릴 수만 있다면,
그 연륜의 공백을 메워 나갈 것이며, 성숙한 인생을 앞당길 수 있지 않겠는가.
그래서 공자는 옛것을 익이고
나아가 새것을 알아야 스승이 될 수 있다고 했다
말하자면 신세대가 새것만 알게 아니라,
옛 것을 잘 익이고 소화를 시켜서 새세대를 이끌어가야 한다는 말이다.
<혼자 보기 아까운 것들 중에서>
',유머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복한 사람이란? (0) | 2008.03.10 |
---|---|
우리 이런 인연으로 살면 안될까 (0) | 2008.03.08 |
중국 네티즌들의 김정일 유머 베스트7 | 時事, 斷想, 평가, 풍자 (0) | 2008.03.05 |
느낌과 상상의 작품들 (0) | 2008.03.05 |
우스게 소리 360선.. | 유모어, 활력소 (0) | 2008.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