宓子彈琴邑宰日 終軍棄繻英妙時
承家節操尙不泯 爲政風流今在玆
可憐賓客盡傾蓋 何處老翁來賦詩
楚江巫峽半雲雨 淸簟疏簾看奕棋
(복자탄금읍재일 종군기수영묘시
승가절조상불민 위정풍류금재자
가련빈객진경개 하처노옹래부시
초강무협반운우 청점소렴간혁기)
복자(宓子)가 거문고를 타며 읍(邑)을 다스리던 날
종군이 비단 부신(符信)을 내던지던 패기찬 젊은 시절
가풍 이은 절개와 지조 아직 끊이지 않으니
위정(爲政)과 풍류(風流)가 지금 예 있구나
손님을 아껴 진심으로 머리 숙여 말하는데
노인은 어디에서 와 시를 짓는고
초강과 무협은 비구름에 반쯤 젖었는데
맑은 대자리와 성긴 발 사이로 바둑 두는 모습 보이네
☞ 두보(杜甫), <칠월일일제종명부수루(七月一日題終明府水樓)>(二首之二)
※ 두보(杜甫)가 만년에 사천(四川)성 기주(夔州)에서 오두막살이 생활을 하며 어렵게 살던 시기에 지은 시(詩). 입추(立秋)시기 종명부(終明府)의 수루(水樓)로 읍재(邑宰)의 초청을 받고 찾아가 바둑을 두며 읍재의 풍류와 수루의 아름다운 풍광을 시로 묘사한 것이다.
※ 宓子彈琴: 춘추시대 노(魯)나라 사람인 복자천(宓子賤/宓不齊)이 거문고를 타(彈琴) 교화했다는 고사.
공자의 제자였던 복자천이 선보(單父)의 원이 되어 거문고를 타면서 관아의 당(堂) 아래로 내려가지 않고도 고을을 잘 다스렸다 [宓子賤治單父 彈鳴琴 身不下堂而單父治 ☞ ≪여씨춘추(呂氏春秋)≫ <개춘론(開春論)>]한다.
※ 경개(傾蓋): 수레를 멈추고 덮개를 기울이고 잠시 이야기를 나눈다는 뜻. 우연히 한 번 보고 서로 친해짐을 이르는 말. 공자(孔子)와 정본(程本)이 길에서 우연히 만나 수레를 세워 서로 수레의 덮개(蓋)를 젖히고 다가서서 종일 친숙하게 이야기를 나누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 말. ≪공자가어(孔子家語)≫ <치사(致思)>에 나온다.
※ 邑宰: 한 고을을 다스리는 사람
※ 終軍棄繻: 종군(從軍)이 비단 신표를 집어던지다. 한(漢)나라 때 종군(終軍)이 시골서 서울로 가기 위해 關을 통과할 때 관원이 백부(帛符: 비단을 찢어 가지는 신표)를 주면서 "이것이 있어야 나중에 관(關)을 나올 때에 증명이 된다" 고 하였다.
종군은 그것을 집어던지며 "내가 나올 때에 임금의 명령으로 절(節)을 가지고 올 것이므로 필요 없다"고 한 고사. 棄繻는 비단으로 만든 부신(符信)인 수(繻)를 버린다는 뜻. 변하여 확고한 결심을 의미한다.
※ 楚江: 굴원(屈原)이 빠져 죽은 멱라수(汨羅水)
※ 巫峽: 삼협(三峽)의 하나로 사천(四川)성 무산(巫山)현과 호북(湖北)성 파동(巴東)현 사이에 있다. 협곡의 양쪽에 서왕모(西王母)의 딸 요희(瑤姬)가 12자매와 함께 하우(夏禹)의 치수(治水)를 돕다가 시간이 늦어 봉우리로 변했다는 12선녀봉이 있다.
※ 근현대 중국화가 이가염(李可染)의 <무협범영(巫峽帆影)>
'글.서예 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파산사후선원(題破山寺後禪院 (0) | 2008.05.03 |
---|---|
소문충공입극도(蘇文忠公笠屐圖 (0) | 2008.05.03 |
유마힐경변(維摩詰經變 (0) | 2008.05.03 |
국경의 밤 (0) | 2008.04.22 |
한향청몽도(寒香淸夢圖 (0) | 2008.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