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
※ 운허용하(耘虛龍夏) 스님이 휘호한 <금강경 사구게(金剛經 四句偈)>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무릇 있는 바 상은 다 허망한 것이니
만약 모든 상을 상이 아닌 줄로 보면 곧 여래를 볼 것이니라
☞ ≪금강경≫ 제1권 제1 사구게(四句偈) 제5 여리실견분 중에서
若似色見我 以音聲求我
是人行邪道 不能見如來
(약사색견아 이음성구아
시인행사도 불능견여래)
만일 모양으로 나를 보려 하거나 음성으로 나를 구하거나 하면
이 사람은 사도(邪道)를 행하는 것이니 능히 여래를 보지 못하리라
☞ ≪금강경(金剛經)≫ 제2권 제1 사구게(四句偈) 제26 법신비상분 중에서
一切有爲法 如夢幻泡影
如露亦如電 應作如是觀
(일체유위법 여몽환포영
여로역여전 응작여시관)
모든 하염 있는 법은 꿈·환영·물거품·그림자와 같고
또한 이슬이나 번개와 같으니 마땅히 이와 같이 관할지니라
☞ ≪금강경≫ 종결 사구게(四句偈) 제31 응화비진분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