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노래,역사 기타방

권농도

모링가연구가 2008. 5. 18. 17:25

※ 청대(淸代) 화가 진매(陳枚)의 <경직도(耕織圖)>

 

布穀催耕啼樹頭  杏花村外雨初收
勸農使者來何晩  遠近林園綠已稠
(포곡최경제수두 행화촌외우초수
 권농사자래하만 원근임원녹이조)


뻐꾸기는 어서 논 갈라고 울며 재촉하고
살구꽃 핀 마을 너머 이제 비가 그쳤구나
권농하는 사람은 왜 아직 나타나지 않는고
원근의 동산에는 벌써 잎이 많이 돋았는데


☞ 원천석(元天錫), <야유음(野臾吟)>


※ 포곡(布穀): 뻐꾸기(소쩍새). 봄철 씨 뿌릴(布穀) 때에 뻐꾸기가 뻐꾹뻐꾹(布穀布穀)하며 운다고 하여 붙여진 별명.

※ 臾는 '잠깐'이라는 부사로 쓰일 때 '유'로 읽지만 '권하다'라는 동사로 쓰일 때에는 '용'으로 읽는다. 여기서는 전자(前者)로 보았다. 
 

※ 농촌에서는 살구꽃이 필 무렵 농사를 시작한다. 곡식의 씨를 뿌릴 때가 된 것이다. 그리고 창포(菖蒲) 잎이 피면 밭을 갈기 시작한다. 그래서 행화창엽(杏花菖葉)이라는 말이 생겼다. 농사를 시작한다는 뜻이다.

 

※ 청(淸)나라 화가 왕운(王雲)의 <권농도(勸農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