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서예 방

산원소매(山園小梅

모링가연구가 2008. 4. 12. 19:04

 

衆芳搖落獨暄姸  占盡風情向小園
疏影橫斜水淸淺  暗香浮動月黃昏
(중방요락독훤연 점진풍정향소원
 소영횡사수청천 암향부동월황혼)


온갖 꽃 떨어진 뒤 매화 홀로 곱게 피어
작은 동산 풍치 홀로 다 차지했네
성긴 그림자는 맑고 얕은 개울에 비끼고
그윽한 향기는 어스름 달 아래 감도누나

 

☞ 매선(梅仙) 임포(林逋), <산원소매(山園小梅)> 중에서

 

송나라 때의 은사 임포는 세속을 떠나 절강(浙江)성 서호(西湖) 고산(孤山)에 우거(寓居)했다. 학(鶴)을 자식으로, 매화(梅花)를 아내로 삼는다는 이른바 매처학자(梅妻鶴子)를 자처하며 유유자적했다.

 

어느 봄날 저녁 그가 서호(西湖)에서 물에 거꾸로 비친 매화의 정취에 취해 즉흥적으로 읊었다는 시가 <산원소매(山園小梅)>다. 그가 죽자 황제인 인종(仁宗)은 화정선생(和靖先生)이라는 시호(諡號)를 내려 그의 죽음을 애도했다.

 

※ 暄姸(훤연):  따스하고 경치가 아름다움.
    暗香疏影(암향소영): 그윽한 향기(香氣)와 성긴 그림자. 매화(梅花)를 두고 한 표현. 빙용(氷容)이라는 표현도 쓴다. '얼음같은 얼굴'이란 뜻일 게다.

 

※ 그림은 청전(靑田) 이상범(李象範)의 <매화(梅花)>. 화제시(畵題詩)로 임포(林逋)의 <산원소매(山園小梅)>를 올려놓고 있다.

'글.서예 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거도(溪居圖  (0) 2008.04.12
부지도포함어형상지외  (0) 2008.04.12
매화도권(梅花圖卷  (0) 2008.04.12
악양루도(岳陽樓圖  (0) 2008.04.12
포의풍류도(布衣風流圖  (0) 2008.0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