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명말청초(明末淸初)의 서화가 운수평(惲壽平)의 <국향천제도(國香春霽圖)>
庭前芍藥妖無格 池上芙蓉淨少情
唯有牡丹眞國色 花開時節動京城
(정전작약요무격 지상부용정소정
유유모단진국색 화개시절동경성)
뜰 앞의 작약 요염하나 격조가 없고
못 위의 연꽃 깔끔하나 정이 부족하지
오직 모란이 있어 나라 최고의 꽃이 되니
모란꽃 필 제 온 장안을 들썩이게 하리라
☞ 유우석(劉禹錫), <상모란(賞牡丹)>
※ 芙蓉은 자료에 따라 芙蕖(부거)로 나오기도 한다. 둘 다 연꽃(蓮/荷花).
※ 원대(元代) 화가 왕연(王淵)의 <모란도(牡丹圖)>
'글.서예 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촉규도(蜀葵圖)> (0) | 2008.05.19 |
---|---|
<백락상마도(伯樂相馬圖)> (0) | 2008.05.19 |
옥훈 장금철 한시 (0) | 2008.05.17 |
踏雪,서산대사,禪詩[서예 (0) | 2008.05.15 |
춘야연 도리원서 (0) | 2008.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