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날 ,글 ,그림방

유수낙화도(流水落花圖

모링가연구가 2008. 4. 13. 06:43

※ 현대 중국화가 유어상(兪語霜)의 <유수낙화도(流水落花圖)> 
 

落花流水認天臺  半醉閑吟獨自來
惆愴仙翁何處去  滿庭紅杏碧桃開
(낙화유수인천대 반취한음독자래
 추창선옹하처거 만정홍행벽도개)


꽃 떨어지고 물 흐르는데서 넓은 세상 알았거니
반쯤 취하여 한가롭게 읊으며 홀로 찾아왔네
선옹이 어디로 갔는지 알지 못해 낙담해 있는데
뜰에 붉은 살구꽃 푸른 복사꽃 활짝 피었네


☞ 고변(高騈), <방은자불우(訪隱者不遇)>

※ 추창(惆愴): 실망(낙담)하거나 슬퍼하는 모양.

 

※ 명대(明代) 화가 석전(石田) 심주(沈周)의 <수류화사(水流花謝)>, 일명 <낙화시의도(落花詩意圖)>.

 

※ 인구(人口)에 널리 회자(膾炙)되고 있는 '낙화유수'(落花流水)라는 말은 바로 이 시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낙화유수는 직역하면 "떨어지는 꽃과 흐르는 물"이라는 뜻으로 늦은 봄의 경치를 표현한 말이다. 살림살이나 세력이 보잘 것 없이 쇠미해진 상태를 비유적으로 일컫기도 한다.

 

또 떨어지는 꽃과 흐르는 물을 각각 남자와 여자에 비유하여 남녀가 서로 그리워하는 정을 나타내기도 한다. 세상사의 영화(榮華)와 성세(盛勢)도 다 한 때의 일, 시간이 흐르면 어김없이 세잔영락(勢殘零落)하니 세월의 무상함을 나타내는 뜻으로 이해하면 크게 어긋나지 않을 듯하다.  


※ 고변(高騈): 당(唐)나라 때의 관리이자 문인. 시서화(詩書畵)에도 뛰어나 삼절(三絶)로 일컬어졌다. 복건(福建)성 일대 10명의 재자가인을 일컫는 <민중십재자(閩中十才子)>의 한 사람으로도 꼽혔다. 

 

시선집(詩選集)인 ≪당시품휘(唐詩品彙)≫를 편찬했다. 당시(唐詩)를 초당(初唐)·성당(盛唐)·중당(中唐)·만당(晩唐)으로 나누는 사변설(四變說)은 이 시선집을 통해 정착했다. 


'황소(黃巢)의 난' 때 최치원(崔致遠)이 제도행영병마도통(諸道行營兵馬都統)으로 파견된 그의 종사관으로 복무하면서 유명한 <토황소격문(討黃巢檄文)>을 지은 바 있다.


落花有意隨流水  流水無情戀落花

(낙화유의수류수 유수무정연낙화)


떨어지는 꽃은 뜻이 있어 흐르는 물을 따르고
흐르는 물은 무정해도 떨어진 꽃 그리워 하네


※ 선문(禪門) 역대 조사(祖師)들의 어록을 기록한 ≪속전등록(續傳燈錄)≫(제29권)에 나오는 구절이다. 자료에 따라  "流水無情戀落花"는 流水無情送落花(흐르는 물은 무정하게 떨어진 꽃 떠나보내네)로 나오기도 한다.

 

※ 명대(明代) 서화가 거절(居節)의 <방은도(訪隱圖)>

 

'옛날 ,글 ,그림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병촉야유도(秉燭夜遊圖  (0) 2008.04.22
황신(黃愼)의 <답설심매(踏雪尋梅  (0) 2008.04.17
증최시어  (0) 2008.04.13
악무가려  (0) 2008.04.13
조선시대 최고의 걸작품  (0) 2008.03.18